풀어 쓴 기초영문법/28. 문장의 5형식, 문장을 만드는 원리
-
[15.08] 4형식 문장, 두 개의 목적어가 나온다풀어 쓴 기초영문법/28. 문장의 5형식, 문장을 만드는 원리 2018. 1. 26. 10:42
의 형식으로 된 문장입니다. 기본적으로 ‘~에게 ...을 주다’란 뜻을 가집니다. 이런 문장을 아무렇게나 만들 수 있는 건 아닙니다. 이런 문장을 만들 수 있는 동사를 써야 합니다. 수여동사라고 하는 것들입니다. ‘상을 수여하다’라고 할 때의 바로 그 수여로 ‘주다’란 뜻입니다. 누군가에게 무언가를 준다는 의미의 동사들이라서 이런 이름이 붙었습니다. He gave me a ball. 그는 내게 공을 주었다. I sent him a letter. 나는 그에게 편지를 보냈다. I bought her a new bag. 나는 그녀에게 새 가방을 사 주었다. Mother made me a dress. 엄마가 나에게 새 옷을 만들어 주었다. He lent me five dollars. 그는 나에게 5달러를 빌려 ..
-
[15.09] 4형식 문장은 3형식 문장으로 바꿀 수 있다풀어 쓴 기초영문법/28. 문장의 5형식, 문장을 만드는 원리 2018. 1. 22. 12:41
4형식 문장은 3형식으로 문장으로 바뀔 수 있습니다. 4형식 문장을 만드는 동사는 3형식 문장을 만드는 동사이기도 합니다. He gave me a ball. 그는 내게 공을 주었다. 이 문장의 간접목적어 me를 ‘전치사구’로 바꾸어 뒤로 보내면 3형식 문장이 됩니다. He gave a ball to me. 그는 내게 공을 주었다. 문장의 형식을 따질 때 to me같은 전치사구는 생각하지 않는다고 했습니다. 따라서 이 문장은 로 이루어진 3형식 문장입니다. 4형식 문장을 3형식으로 바꿀 때 중요한 건 어떤 전치사를 쓰느냐입니다. 동사 give는 to와 함께 쓰이지만 동사에 따라서는 for나 of 또는 on을 쓰기도 합니다. (1) 대부분의 경우는 to를 쓴다 bring, give, hand, pay, se..
-
[15.10] [좀 더 넓게] 대명사는 직접목적어가 될 수 없다풀어 쓴 기초영문법/28. 문장의 5형식, 문장을 만드는 원리 2018. 1. 22. 12:24
4형식 문장에서 대명사는 직접목적어로 쓸 수 없다는 것에 주의해야 합니다. He gave me it. X 그는 내게 그것을 주었다. She find me them. X 그녀는 내게 그것들을 찾아주었다. Bring me those. X 그것들을 내게 가져와라. 정말 대명사를 목적어로 쓰고 싶다면 꼭 3형식 문장으로 써야 합니다. He gave it to me. 그는 내게 그것을 주었다. She find them for me. 그녀는 내게 그것들을 찾아주었다. Bring those to me. 그것들을 내게 가져와라. 다른 경우지만 간접목적어는 반드시 대명사여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는데 그렇지는 않습니다. 이제까지 본 예문들에서처럼 간접목적어로 대명사가 많이 쓰이는 건 사실이지만 그냥 명사가 쓰일 때도..
-
[15.11] 5형식 문장, 목적어를 설명하는 말이 나온다풀어 쓴 기초영문법/28. 문장의 5형식, 문장을 만드는 원리 2018. 1. 22. 12:14
의 형식으로 된 문장입니다. 이런 문장을 만들 수 있는 동사를 불완전타동사라고 합니다. 목적어만으론 부족해서 보어까지 함께 가지는 동사입니다. 학생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것이 5형식 문장입니다. 형태가 다양하기 떄문입니다. 기본적으로 ‘~이 ...하게 하다’ 혹은 '~이 ...라고 --하다'는 뜻의 문장이지만 우리말로 늘 그렇게만 새겨지는 건 아닙니다. 더욱이 목적격 보어로 쓰이는 것들이 여러가지여서 외워야 할 것도 있습니다. 5형식 문장의 핵심은 '목적어'와 '목적격 보어'의 관계입니다. 목적격 보어는 모두 목적어에 관해 서술합니다. 즉, 는 '~가 ...하다' 혹은 '~가 ...이다'의 뜻을 가집니다. 이 부분만 보면 '주어'와 '술어'의 관계인 것입니다. 다음의 문장들에서 목적격 보어가 어떤 방식으로..
-
[15.12] [좀 더 넓게] 4형식 문장과 5형식 문장 구분하기풀어 쓴 기초영문법/28. 문장의 5형식, 문장을 만드는 원리 2018. 1. 22. 11:31
4형식 문장과 5형식 문장이 언뜻 비슷해 보일 때가 있습니다. 둘 다 동사 뒤에 두 개의 명사가 연달아 나올 때입니다. 4형식 문장에 나오는 건 간접목적어와 직접목적어이고, 5형식 문장에 나오는 건 목적어와 목적격 보어라서 둘이 분명 다르지만 겉모양 때문에 헷갈리기 쉽습니다. ① 4형식 문장의 간접목적어와 직접목적어는 다른 대상에 대해 말한다 I paid him the money. 나는 그에게 돈을 지불했다. him(그)이 가리키는 건 사람이고 the money(돈)가 가리키는 건 사물입니다. 둘이 가리키는 게 서로 다릅니다. him ≠ the money 이렇게 동사 뒤에 나오는 두 말이 각각 다른 대상에 대해 말하면 하나는 간접목적어, 다른 하나는 직접목적어입니다. ② 5형식 문장의 목적어와 목적격 보..
-
[15.13] 꼭 기억해두자!풀어 쓴 기초영문법/28. 문장의 5형식, 문장을 만드는 원리 2018. 1. 22. 11:17
문장의 형식을 안다는 건 문장이 만들어지는 원리를 아는 것입니다. 그 원리를 알아야 스스로 문장을 만들 수 있고, 남이 만든 문장을 정확히 이해할 수도 있습니다. 영어를 잘하는 비법이란 것이 모두들 고리타분하다며 싫어하는 문장의 형식을 아는 데 있는지도 모릅니다. 1형식, 2형식이니 하는 숫자는 부르기 쉽도록 붙여 놓은 이름일 뿐 중요한 것은 아닙니다. 문법 시험에서 4형식인지 5형식인지를 묻는 것이 사라진 건 꽤 오래 전의 일 입니다. 지금은 이 문장이 말하는 게 정확히 뭐냐고 묻는 일이 많습니다. 문장의 형식이 중요한 것은 사실 이 때문입니다. 문장이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알아야 내가 읽고 듣고 말하고 쓰는 것이 정확하다고 확신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동사 공부가 곧 문장의 형식 공부다. 문장의 형식에..
-
[15.14] [좀 더 깊게] 잘못 쓰기 쉬운 동사들풀어 쓴 기초영문법/28. 문장의 5형식, 문장을 만드는 원리 2018. 1. 22. 11:11
우리말로는 자동사지만 영어로는 타동사로 표현하고, 우리말로는 타동사지만 영어로는 자동사로 표현하는 게 있습니다. 우리말과 영어의 표현 방식이 달라서 생긴 차이입니다. ① 타동사로 착각하기 쉬운 자동사 ∼을 졸업하다 graduate from ∼을 불평하다 complain of ∼을 기다리다 wait for ∼을 동정하다 sympathize with ∼을 방해하다 interfere with ∼을 승낙하다 consent to 우리말로는 ‘~을’ 또는 ‘~를’이 들어가는 타동사로 표현하지만, 영어로는 의 형태로 표현하는 것들입니다. 전치사구는 문장의 형식에 포함되지 않으니 모두 1형식 문장입니다. ② 자동사로 착각하기 쉬운 타동사 ∼에 참석하다 attend ∼에 어울리다 become ∼에 관하여 토의하: d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