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어 쓴 기초영문법/29. 문장의 종류, 주어와 동사를 본다
-
[16.00] 문장의 종류란...풀어 쓴 기초영문법/29. 문장의 종류, 주어와 동사를 본다 2018. 2. 7. 18:43
크게 보면 영어에는 모두 네 종류의 문장이 있습니다. 평서문, 의문문, 명령문, 감탄문 평서문은 '무엇이 어찌어찌 하다'고 주장하는 문장으로 글로 쓰면 마침표(.)로 끝납니다. 주장이 사실일 필요는 없습니다. “지구는 목성 주위를 돈다.”는 문장은 거짓이지만 문장이고, 그중에서도 평서문입니다. 의문문은 무언가를 묻는 문장입니다. 묻는다는 건 답을 요구하는 것입니다. 글로 쓸 때는 물음표(?)로 끝나고, 말로 할 때는 보통 끝을 올리는 게 특징입니다. 명령문은 남에게 뭔가 요구한다는 점에서는 의문문과 비슷합니다. 의문문이 말로 답해 주기를 요구한다면 명령문은 행동으로 답해 주기를 요구합니다. 글로 쓸 때는 평서문과 같이 마침표로 끝납니다. 끝으로 감탄문1)은 자신의 느낌을 강하게 표현하는 문장입니다. 듣는..
-
[16.01] 의문문에는 두 종류가 있다풀어 쓴 기초영문법/29. 문장의 종류, 주어와 동사를 본다 2018. 2. 7. 18:35
‘의문'은 의심할 의(疑)에 물을 문(問)입니다. 의심이 생겨 묻는다는 뜻입니다. 의문문은 바로 그런 일을 하는 문장입니다. 그런데 영어에서 문장이 그런 일을 하려면 반드시 동사가 주어 앞에 나와서 의 형식을 가져야 합니다. 그런데 여기에 두 종류가 있습니다. 그냥 로 시작하는 경우와 먼저 의문사가 나오고 그 뒤에 가 나오는 경우입니다. 앞의 것을 의문사가 있는 의문문이라 하고 뒤의 것을 의문사가 있는 의문문이라고 합니다. ■ 의문사가 없는 의문문: Are you Korean? 당신은 한국인입니까? ■ 의문사가 있는 의문문: Who are you? 당신은 누구입니까? 의문사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주로 많이 쓰입니다. who, when, where, what, why, how1) 물론 이게 다는 아닙니다..
-
[16.02] 의문사가 없는 의문문풀어 쓴 기초영문법/29. 문장의 종류, 주어와 동사를 본다 2018. 2. 7. 18:30
의문사가 없는 의문문1)은 평서문을 의문문으로 만드는 것입니다. 간단히 동사를 주어 앞으로 보내어 의 순서로 만들면 될 것 같지만 그게 안 될 때가 있습니다. 주어의 뒷자리에 떡 버티고 앉아 절대 움직이지 않으려는 동사가 있기 떄문입니다. 뭔가 다른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의문문을 만드는 방법에 여러 가지가 있는 건 그 때문입니다. (1) be동사가 쓰였을 때 be동사는 본동사로 쓰였든 조동사로 쓰였든 쉽게 주어 앞으로 갈 수가 있습니다. 그래서 바로 의문문이 만들어집니다. He was smart. 그는 똑똑했다. was가 be동사입니다. 동사는 이것 하나밖에 없으니 본동사이면서 일반동사로 쓰인 것입니다. 이걸 부담 없이 주어 앞으로 보내면 의문문이 만들어집니다. Was he smart? 그는 똑똑했니?..
-
[16.03] 부가의문문을 알아두자풀어 쓴 기초영문법/29. 문장의 종류, 주어와 동사를 본다 2018. 2. 7. 17:17
의문문이 아닌 문장에 짤막한 의문문을 덧붙일 수 있습니다. 부가의문문1)이라 하는데 여기서 ‘부가’란 '덧붙였다'라는 뜻입니다. 문장의 뒤에 살짝 덧붙이는 의문문이 부가의문문인 것입니다. “그 연극 정말 재밌었어.”라는 평서문 뒤에 “그렇지 않니?”란 질문을 살짝 덧붙이는 식입니다. “그 연극 정말 재밌었어, 그렇지 않니?” 뭘 물으려 한다기보다 연극이 재밌었다는 사실을 강조하려는 것 같지 않나요? 영어의 부가의문문도 비슷합니다. 물을 때보다 강조하려 할 때 많이 사용합니다. The show was very nice, wasn't it? 쇼가 아주 좋았어, 그렇지 않니? John did his best, didn't he? 존은 최선을 다했어, 그렇지 않니? Jenny can drive a car, ca..
-
[16.04] 의문사가 있는 의문문풀어 쓴 기초영문법/29. 문장의 종류, 주어와 동사를 본다 2018. 2. 2. 13:13
의문사1)가 있는 의문문은 의문사로 시작한다는 점만 다를 뿐 의 형식을 사용하는 것은 같습니다. be동사, 일반동사, 조동사 중 무엇이 쓰이느냐에 따라 만드는 방법이 달라지는 것도 의문사 없는 의문문과 같습니다. (1) be동사가 쓰였을 경우 be동사가 주어의 앞에 오면서 의문문의 형태를 가집니다. Where is she? 그녀는 어디 있니? What are you doing now? 너는 지금 무엇을 하고 있니? (2) 일반동사만 쓰였을 경우 주어 앞에 do동사를 써서 의 형태를 만들어준다는 점에서 의문사가 없는 의문문과 같습니다. What did you eat? 너는 무엇을 먹었니? Where does he live? 그는 어디서 삽니까? Which do you prefer, coffee or tea..
-
[16.05] 의문사의 종류풀어 쓴 기초영문법/29. 문장의 종류, 주어와 동사를 본다 2018. 2. 2. 12:53
의문사라는 품사가 따로 있는 건 아닙니다. 의문문에 사용되어서 의문사라고 하는 것입니다. 대명사로 쓰이는 것, 형용사로 쓰이는 것, 부사로 쓰이는 게 있어서 의문대명사, 의문형용사, 의문부사로 나눌 수 있습니다. 하지만, 중요한 건 품사의 구분이 아니라 의문사 각각의 뜻입니다. 무엇을 묻고 있는지 알면 됩니다. (1) 의문대명사 who1), what, which와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대명사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주어나 보어, 목적어가 될 수 있습니다. ■ 주어 Who did it? 누가 이것을 했니? ■ 보어 Who is she? 그는 누구니? ■ 목적어 What did you do? 너는 무엇을 했니? ■ 목적어 Which do you like? 너는 어느 것을 좋아하니? (2) 의문형용사 who의..
-
[16.06] 의문사 앞에 전치사가 올 때풀어 쓴 기초영문법/29. 문장의 종류, 주어와 동사를 본다 2018. 2. 2. 12:46
의문사의 가장 큰 특징은 문장의 제일 앞에 나온다는 것입니다. 우리말에는 ‘무엇’, ‘누구’, ‘언제’와 같은 말이 문장의 중간에 들어가도 아무 문제없지만, 영어의 의문사는 반드시 문장의 제일 앞에 있어야 합니다. ‘순생순사’, 순서에 살고 순서에 죽는 영어의 특징이 여기서도 그대로 통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제껏 보아왔듯 원칙이란 것이 자연의 법칙처럼 절대적으로 지켜지는 건 아닙니다. 대개 그렇다는 거지 반드시 그런 건 없었습니다. I am going out this evening. 나는 오늘 저녁 외출할 거야. 이 말을 듣고 “누구랑?”이라고 물을 수 있습니다. 이때 영어에선 ‘함께’란 뜻의 전치사 with를 사용합니다. 만약 with이 없다면 전혀 엉뚱한 질문이 되고 맙니다. Who are goin..
-
[16.07] 명령문의 형식을 갖춰야 명령문이다풀어 쓴 기초영문법/29. 문장의 종류, 주어와 동사를 본다 2018. 2. 2. 12:37
남에게 무언가 행동을 하라고 하는 게 명령입니다. 공부해. 그만 해. 대답해! 영어에서는 남에게 무언가 행동을 요구할 때 명령문을 사용합니다. 기본적으로 주어 없이 동사원형으로 시작합니다. Stop crying. 그만 울어. Be1) strong and courageous.2) 강하고 담대하라. 반드시 이런 형식을 갖추어야 명령문이 됩니다. 부정의 명령문일 때는 무조건 앞에 Don't를 붙입니다. be동사로 시작한다고 Be not이나 Not be를 쓰면 안 됩니다. Don't be nervous. 초조해 하지 마. Be not nervous. X Not be nervouse. X 남에게 무언가 행동을 요구한다 해도 이런 형식을 갖추지 않았다면 명령문이라 할 수 없습니다. Can you help me? 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