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어 쓴 기초영문법/33. 관계사절, 관계사가 이끄는 절
-
[18.09] 관계대명사로 쓰이는 as, but, than풀어 쓴 기초영문법/33. 관계사절, 관계사가 이끄는 절 2018. 2. 12. 13:15
원래 이 셋은 접속사였지만, 관계대명사로 쓰이게 되었습니다. 앞에 나온 선행사를 받아서 관계사절을 이끌 수 있습니다. 문법에서는 유사관계대명사 또는 의사관계대명사라고 합니다. 유사와 의사1)는 모두 ‘닮은’ 또는 ‘비슷한’이란 뜻입니다. 진짜 관계대명사는 아니지만 관계대명사의 자리에서 관계대명사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입니다. (1) as 선행사에 the same, such, as와 같은 말이 나올 때 사용합니다. 이들은 원래 as와 짝을 이루길 좋아합니다. This is the same bag as I lost. 이것은 내가 잃어버린 것과 같은 가방이다. Read such books as will benefit you. 너에게 도움을 줄 책을 읽어라. As many people as came ..
-
[18.10] 관계형용사는 <관계사+형용사>의 역할이다풀어 쓴 기초영문법/33. 관계사절, 관계사가 이끄는 절 2018. 2. 12. 12:57
관계대명사가 형용사처럼 쓰일 때가 있습니다. 관계형용사라고 합니다. which, what1) 관계형용사는 관계절 속에서 형용사의 역할을 합니다. 뒤에 있는 명사를 꾸밈과 동시에 관계절을 이끕니다. I said nothing, which fact made him angry. 나는 아무 말도 안했는데, 그 사실이 그를 화나게 했다. which의 선행사는 바로 앞의 문장입니다. 내가 말을 안 했다는 사실입니다. 그런데 which 뒤에 명사 fact가 나왔습니다. which가 이걸 꾸미고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그냥 fact가 아니라 which fact, 즉 ‘그가 말을 안했다는 사실’이 된 것입니다. 관계형용사는 뒤에 나온 명사와 짝을 이루어 관계절의 주어 또는 목적어가 될 수도 있습니다. 위의 문장이 가 주..
-
[18.11] 관계부사는 <관계사+부사>의 역할이다풀어 쓴 기초영문법/33. 관계사절, 관계사가 이끄는 절 2018. 2. 12. 12:47
관계부사는 관계사절 속에서 부사의 역할을 합니다. 부사의 역할이란 동사의 부족한 부분을 보충해 주는 것입니다. ‘갔다’라는 말로만 부족하니까 어디로 갔는지, 언제 갔는지, 왜 갔는지, 어떻게 갔는지를 부사나 부사구를 가지고 보충해줍니다. 주로 장소, 시간, 이유, 방법을 나타내는 부사나 부사구를 사용합니다. 관계부사도 마찬가지입니다. 장소, 시간, 이유, 방법, 이 네 가지를 나타내고, 종류도 네 가지입니다. where 장소 when 시간 why 이유 how 방법 관계부사도 관계사라서 당연히 선행사가 있습니다. 이 또한 장소, 시간, 이유, 방법을 나타내는 말들입니다. 모든 관계부사가 로 바꿔쓸 수 있다는 것도 함께 알아둡시다. (1) 장소의 관계부사 where 장소를 나타내는 선행사와 함께 쓰입니다. ..
-
[18.12] [좀 더 넓게] 복합관계부사도 있다풀어 쓴 기초영문법/33. 관계사절, 관계사가 이끄는 절 2018. 2. 12. 12:04
관계부사 where, when, how에 -ever를 붙이면 복합관계부사가 됩니다. wherever 어디서/어디로 ~하든, ~하는 곳은 어디든 whenever 언제 ~하든, ~할 때는 언제든 however 어떻게 ~하든, 아무리 ~하도 선행사까지 이미 포함하고 있어서 앞에 선행사가 필요 없습니다. 간단히 ‘어디든’, ‘언제든’, ‘어떠하든’의 뜻이라고 알고 있으면 됩니다. 모두 양보절을 이끕니다. I will follow you, wherever you go. 네가 어디로 가든지, 나는 너를 따른 것이다. Let me know, whenever you come here. 네가 언제 여기 오든, 내게 알려줘. However tired you may be, you must do it. 네가 아무리 피곤해도,..
-
[18.13] 선행사의 생략풀어 쓴 기초영문법/33. 관계사절, 관계사가 이끄는 절 2018. 2. 12. 12:02
굳이 밝힐 필요가 없다면 관계부사 앞에서 선행사를 생략해도 문제가 없습니다. 관계부사 자체에 이미 선행사의 의미가 들어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the place(장소), the time(시간), the day(날), the reason(이유), the way(방법)가 선행사라면 생략해도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This is the place where I stayed. 이곳은 내가 머물던 곳이다. 여기서 the place는 ‘장소’, ‘곳’ 정도의 의미밖에 없습니다. where에 이미 그런 뜻이 들어 있으니 생략해도 됩니다. This is where I stayed. 이곳은 내가 살던 곳이다. 단, 선행사가 어떤 구체적인 장소를 가리킨다면 남겨두어야 합니다. This is the hotel where..
-
[18.14] that은 관계부사로도 쓰인다풀어 쓴 기초영문법/33. 관계사절, 관계사가 이끄는 절 2018. 2. 12. 11:44
that이 관계부사의 역할을 할 때가 있습니다. where, when, why, how 등 모든 관계부사를 대신할 수 있으니 만능일 것 같지만, 무조건 다 되는 건 아닙니다. 선행사가 자주 쓰이는 place, time, year, day, reason, way 등의 명사일 때만 가능합니다. This is the place that he died. 이곳이 그가 죽은 곳이다. He died on the day that I arrived. 그는 내가 도착한 날 죽었다. Is that the reason that you went there? 그게 네가 거기에 간 이유니? Show me the way that1) you made it. 네가 그걸 만든 방법을 보여줘. 네 문장 모두에서 that은 관계부사입니다. ..
-
[18.15] 관계사의 생략풀어 쓴 기초영문법/33. 관계사절, 관계사가 이끄는 절 2018. 2. 10. 00:15
관계사절의 핵심은 관계사입니다. 관계사가 있어야 관계사절이 만들어집니다. 그런데 핵심적인 것이라면 제 자리를 든든히 지켜줘야 하는데 그렇지가 못합니다. 사람들은 번거롭게 격식을 차리보다는 간단하고 편한 걸 좋아합니다. 없어도 아무렇지 않다면 가능하면 없애려 합니다. 관계사도 예외는 아닙니다. 조건이 허락한다면 관계대명사와 관계부사를 생략하기도 합니다. (1) 관계대명사의 생략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언제든 생략할 수 있습니다.1) 동사의 목적어든 전치사의 목적어든 가리지 않습니다. The boy you met yesterday is my son. 당신이 어제 만난 소년이 내 아들이다. 관계절의 주어 you 앞에 관계대명사 whom2)이나 that이 사라졌습니다. 타동사 met3)의 목적어로 쓰인 관계대명사가..
-
[18.16] 꼭 기억해두자!풀어 쓴 기초영문법/33. 관계사절, 관계사가 이끄는 절 2018. 2. 10. 00:05
선행사에 대해 말하는 문장을 관계사절이라고 합니다. 관계사절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건 관계사입니다. 관계사로 시작하기 때문에 관계사절이라 합니다. 관계대명사 관계형용사 관계부사 관계사절 속에서의 역할에 따라 관계사는 세 종류로 나뉘어집니다. 관계대명사는 대명사의 역할을, 관계형용사는 형용사의 역할을, 관계부사는 부사의 역할을 합니다. 대명사, 형용사, 부사의 개념을 분명히 알고 있다면 이해하는 건 어렵지 않습니다. who(whom, whose), which, that, what whoever(whomever, whosever), whichever, whatever, as, but, than 이것들은 관계대명사입니다. 각각 어떻게 쓰이는지 알아두도록 합시다. who, which, that, what..
-
[18.17] [좀 더 깊게] 관계사절이 있는 문장 해석하기풀어 쓴 기초영문법/33. 관계사절, 관계사가 이끄는 절 2018. 2. 10. 00:00
영어는 우리말과 어순이 다른데 거기에 관계사절까지 더해지면 해석하기가 꽤나 까다로워집니다. 대충 뭔 뜻인지 안다 해도 막상 우리말로 옮기려면 막막해지기 쉽습니다. 뭔가 요령이 필요합니다. What was the name of the boy who won the race? 경기에서 우승한 그 소년의 이름은 무엇이었니? 영어와 우리말의 어순이 크게 다르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경기에서 이긴’이란 말만 봐도 우리말에서는 제일 앞에 나왔지만, 영어에서는 제일 뒤에 나왔습니다. 영어와 우리말의 순서가 반대인 상황입니다. 하지만 이렇게 반대라고 해서 무조건 뒤에서부터 해석하려 들면 안 됩니다. 때론 앞에서부터 해석해야 하는 것도 있습니다. 대책 없이 앞뒤로 왔다 갔다 하다가는 뜻을 놓치기 쉽습니다. 좋은 방법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