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어 쓴 기초영문법/35. 가정법, 또 하나의 동사 사용법
-
[20.00] 가정법이란...풀어 쓴 기초영문법/35. 가정법, 또 하나의 동사 사용법 2018. 12. 28. 23:30
사실을 그대로 말하려 할 때가 있고, 사실에 관한 자신의 마음을 말하려 할 때가 있습니다. 방안에 탁자가 하나 있고 그 위에 아름다운 꽃이 한 송이 있다고 해 봅시다. 탁자 위에 꽃이 한 송이 있다. 탁자 위에 꽃이 없다. 둘 다 사실을 그대로 전달하려는 말입니다. 아래 문장은 거짓이지만 그래도 분명한 건 있는 사실을 말하려 한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다음 문장은 다릅니다. 탁자 위에 꽃이 없었으면 좋겠어. 이건 사실을 말하려는 게 아닙니다. 탁자 위에 꽃이 없었으면 하는 자신의 바람을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죠. 그럼 이제 탁자 위의 꽃을 치웠다고 해 봅시다. 탁자 위에 꽃이 없다. 탁자 위에 꽃이 있었다. 두 문장 모두 사실을 말하고 있습니다. 위의 것은 현재의 사실이고, 아래 것은 과거의 사실입니다. 하..
-
[20.01] [좀 더 넓게] 가정하기의 힘풀어 쓴 기초영문법/35. 가정법, 또 하나의 동사 사용법 2018. 12. 28. 23:00
사실인 말이 있고, 사실이 아닌 말이 있습니다. 사실인 말을 참이라고 하고, 사실이 아닌 말을 거짓이라고 합니다. 사람들은 참은 좋은 것이고, 거짓은 나쁜 것이라고 생각해서 습관적으로 거짓을 말하는 사람은 거짓말쟁이, 즉 나쁜 사람이 되어버리고 말죠. 그런데 사실이 아닌 것이 분명함에도 거짓이라 할 수 없는 말이 있습니다. '사실이 아님에도 나쁜 말이라 비난할 수 없는 말'입니다. 사실과 다르길 꿈꾸고 바라고 희망하는 말입니다. 만일 세상에 전쟁이 없다면. “세상에 전쟁이 없다.”고 했다면 거짓이겠지만 이것은 그와 분명 달라서 잘못된 생각이라 할 수 없습니다. 오히려 이런 생각을 통해 전쟁 없는 멋진 세상을 꿈꿀 수도 있고, 그를 위해 헌신하겠다고 결심하는 사람이 나올 수도 있습니다. 사실과 반대되는 멋..
-
[20.02] 가정법 현재의 쓰임풀어 쓴 기초영문법/35. 가정법, 또 하나의 동사 사용법 2018. 12. 28. 22:30
가정법 현재는 원래 동사의 원형을 쓰는 것이 원칙입니다. be동사면 늘 be만 써야 하고, do동사면 늘 do만 써야 합니다. 주어가 3인칭 단수라고 해서 뒤에 -s나 -es를 붙이면 그건 가정법이 아닌 직설법입니다. 이런 의미에서 어쩌면 '가정법 현재'라고 하기 보다는 '동사 원형을 쓰는 가정법'이라고 하는 것이 더 정확한 표현일 수도 있습니다. 가정법 현재가 쓰이는 가장 대표적인 경우는 if를 사용해서 ‘만일 ~라면 ...일 것이다’라는 뜻의 문장을 만들 때입니다. 현재나 미래에 대해 가정하고 상상할 때, 특히 그것이 가능성이 있는 일일 때 주로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사용합니다. If+주어+동사원형, 주어+조동사의 원형1)+동사원형 if로 시작하는 문장과 if가 없는 문장 두 개가 연결되어 있습니다...
-
[20.03] [좀 더 넓게] 가정법 현재가 쓰이는 여러 경우들풀어 쓴 기초영문법/35. 가정법, 또 하나의 동사 사용법 2018. 12. 28. 22:00
직설법과는 다른 방식으로 동사를 사용하는 것을 가정법이라고 했습니다. if절을 써야만 가정법이 아니라는 것입니다.1) 가정법 현재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동사원형이 쓰였다면, 특히 주어가 3인칭 단수일 때 동사원형이 쓰였다면 가정법 현재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① that으로 시작하는 절(THAT절)에서 THAT절에 주장, 명령, 권유, 요구, 제안 등의 내용이 담겨 있을 때 가정법 현재를 사용합니다. ‘사실’을 말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He insists that she come. 그는 그녀가 와야 한다고 주장한다. insist2)는 ‘주장하다’라는 뜻입니다. 그 주장의 내용이 뒤에 나오는 THAT절입니다. 그런데 THAT절을 보면 주어가 she인데도 동사는 comes가 아닌 come이 쓰였습니다..
-
[20.04] 가정법 과거의 쓰임풀어 쓴 기초영문법/35. 가정법, 또 하나의 동사 사용법 2018. 12. 28. 21:30
가정법 과거에는 과거 시제의 동사를 사용합니다. 하지만 과거가 아니라 현재 사실의 반대를 이야기합니다. if절과 함께 쓸 때는 다음과 같은 형식입니다. If+주어+과거시제, 주어+조동사의 과거시제1)+동사원형 이 형식대로 문장을 만들 수 있습니다. If I had enough money, I would buy it. 충분한 돈이 있으면, 나는 그것을 살 것이다. 눈여겨 볼 건 had입니다. 시제는 과거이지만 우리말은 현재로 새깁니다. ‘돈이 있었다면’이 아니라 ‘돈이 있으면’입니다. 마찬가지로 would buy도 현재여야 합니다. ‘샀을 것이다’가 아니라 ‘살 것이다’입니다. 가정법 과거는 ‘현재’를 이야기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가정법 과거에서 특히 주의할 건 be동사를 쓸 때 입니다. 주어가 단수든 ..
-
[20.05] [좀 더 넓게] 가정법 과거, 이럴 때도 쓰인다풀어 쓴 기초영문법/35. 가정법, 또 하나의 동사 사용법 2018. 12. 28. 20:02
현재 사실에 반대되는 경우라면 if절 없이도 가정법 과거를 쓸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몇 가지 경우만 보겠습니다. ① I wish 다음에 절이 나올 때 ‘~라면 좋을 텐데’, ‘~하면 좋으려만’이라고 말할 때 사용합니다. 다음에 나오는 절에 가정법 과거를 쓰면 됩니다.1) I wish it were true. 그게 참이면 좋을 텐데. 현재 사실의 반대니까 우리말로는 현재로 새겼습니다. 지금 당장 참이 아니라 섭섭하다는 말입니다. was가 아닌 were가 쓰인 걸 보면 가정법 과거라는 걸 알 수 있습니다. I wished it were true. 그게 참이면 좋았을 텐데. I wish가 아니라 I wished가 될 때도 뒤에 가정법 과거가 나올 수 있습니다. 이 경우, wished는 과거로, 가정법 과거 ..
-
[20.06] 가정법 과거완료의 쓰임풀어 쓴 기초영문법/35. 가정법, 또 하나의 동사 사용법 2018. 5. 25. 19:55
과거완료시제를 써서 ‘과거’ 사실의 반대를 말하는 걸 가정법 과거완료라고 합니다. 가정법 과거와 비교해서 알아둡시다. ■ 가정법 과거 과거시제를 써서 현재 사실의 반대를 말한다 ■ 가정법 과거완료 과거완료 시제를 써서 과거 사실의 반대를 말한다 과거완료는 입니다. 가정법 과거완료에도 이 형식이 들어갑니다. If+주어+had+과거분사(p.p.), 주어+조동사의 과거형1)+have+과거분사(p.p.) 약간 복잡해 보이지만 과거완료의 개념만 분명하면 따로 외울 필요는 없습니다. 예문을 하나 알아두면 좋습니다. If I had taken your advice, I should have been happier. 네 충고를 받아들였다면, 나는 더 행복했을 것이다. 과거사실의 반대라는 게 중요합니다. 과거에 누군가의..
-
[20.07] [좀 더 넓게] 가정법 과거완료, 이럴 때도 쓰인다풀어 쓴 기초영문법/35. 가정법, 또 하나의 동사 사용법 2018. 5. 25. 19:44
I wish와 as if 다음에는 가정법 과거완료가 올 수도 있습니다. 가정법 과거가 오면 ‘현재’의 반대지만, 가정법 과거완료가 나면 ‘과거’의 반대라는 것만 확실히 해 두도록 합시다. I wish I had met her. 그녀를 만났으면 좋았을 텐데. She talks as if she had read the book. 그녀는 마치 그 책을 읽은 것처럼 말한다. 주절의 동사가 과거시제일 수도 있습니다. 위의 두 예문에서 wish와 talk가 과거시제가 되더라도, 이 부분은 가정법이 아니니까 우리말로 옮길 때는 과거 시제 그대로 옮겨야 합니다. 이때 가정법 과거완료 부분(여기서는 had met와 had read)도 우리말로는 그대로 과거로 옮기면 됩니다. I wished I had met her.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