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6.13] [좀 더 깊게] not을 써서 부정문 만들기풀어 쓴 기초영문법/30. 문장의 종류, 주어와 동사를 본다 2018. 2. 2. 10:31
‘무엇은 무엇이다’, ‘무엇이 무엇을 하다’라는 식의 문장을 긍정문이라고 하고, ‘무엇은 무엇이 아니다’, ‘무엇이 무엇을 하지 않는다’라는 식의 문장을 부정문이라고 합니다. ‘아니다’, ‘않다’, ‘없다’ 등과 같은 부정의 뜻을 가진 낱말들이 들어가서 만들어집니다. 영어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많이 쓰입니다.
not, no, nothing,
never, neither, nor
이들 단어가 문장에 쓰이면 ‘~가 아니다’, ‘~하지 않다’, ‘~가 결코 아니다’란 뜻을 가진 부정문이 만들어집니다. 이중 가장 대표적인 게 not입니다. 부정문을 만드는 가장 기본이 되는 단어지만, 다른 것들과 달리 쓰임이 좀 복잡한 편입니다. 부정하는 게 be동사냐 일반동사냐 조동사냐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입니다.1)
① be동사로 된 문장의 부정문
평서문일 때 be동사 뒤에 not만 붙이면 됩니다.
She isn't kind to others.
그녀는 남에게 친절하지 않다.
He was not happy.
그는 행복하지 않았다.
의문문일 때는 기본적으로는 주어의 뒤에 나오게 됩니다. be동사만 주어의 앞으로 간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Was he not late?
그는 늦지 않았니?
<be동사+not>의 축약형으로 바꾸어 주어 앞에 놓은 방법도 많이 쓰입니다.
Wasn't he late?
그는 늦지 않았니?
별난 경우는 명령문입니다. 동사 be 앞에 don't를 붙여 부정하기 때문입니다. be not의 형태는 쓰지 않습니다.
Don't be afraid of the dog.2)
개를 무서워하지 마세요.
감탄문은 어떻게 될까요? 감탄문은 부정문으로 쓰지 않으니까 신경 쓸 필요 없습니다. 무언가가 대단하다고 말하는 게 감탄문인데, 그걸 부정하면 대단하지 않다고 말하는 것입니다. 대단하지 않다는 말을 감탄문을 써서 할 필요는 없겠지요.
② 일반동사로 된 문장의 부정문
<do동사+not>을 일반동사 앞에 붙이면 만들어집니다. 시제와 인칭에 따른 변화는 do동사가 하니까 일반동사는 원형으로만 쓰입니다. 줄임형으로도 많이 쓰이니 알아두는 게 좋습니다.
do not = don't
does not = doesn't
did not = didn't
평서문의 경우입니다.
I don't think so.
나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He does not like music.
그는 음악을 좋아하지 않는다.
We didn't have coffee.
우리는 커피를 마시지 않았다.
의문문의 경우입니다.
Don't you hear me?
내 말 들리지 않니?
Doesn't she do the shopping everyday?
그녀는 매일 쇼핑을 하지 않니?
Didn't he do that?
그는 그것을 하지 않았니?
Why didn't you do that.
너는 왜 그것을 하지 않았니?
끝으로 명령문입니다. 앞에 don't만 붙이면 됩니다. ‘~을 하지 말라’란 뜻이 됩니다.
Don't touch me.
내 몸에 손대지 마.
③ 조동사로 된 문장의 부정문
간단합니다! 조동사 뒤에 not만 넣으면 됩니다. 조동사가 여러 개 뭉쳐 있을 때는 첫째 조동사 뒤에만 not을 넣습니다. 이 또한 축약형이 많이 쓰이니 잘 익혀둡시다.
조동사의 부정형은 평서문과 의문문에만 쓰입니다. 명령문에는 조동사를 쓸 일이 없고, 감탄문에는 부정문이 없습니다.
먼저 평서문의 경우입니다.
I won't stand any nonsense.
난 쓸데없는 말을 참지 못해.
You must not say the truth.
너는 진실을 말하면 안 된다.3)
You shouldn't have come.
너는 오지 말았어야 했다.4)
다음은 의문문입니다.
Can't you see I am busy now.
내가 지금 바쁜 거 안 보이니?
Why shouldn't we use imported5) drugs.
왜 우리는 수입된 약을 쓰지 말아야 하는가?
not 말고 다른 단어를 사용해 부정문을 만들 수도 있습니다.
He has no mother.
그는 어머니가 없다.
I said nothing.
나는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Never stop.
멈추지 마.
I have neither money nor job.
나는 돈도 직업도 없다.
이런 것들을 따로 공부하지 않는 것은 굳이 그럴 필요가 없을 정도로 간단하기 때문입니다. 그냥 부정의 뜻을 갖는 명사, 형용사, 접속사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사전을 찾아 예문만 몇 개 보고나면 어떻게 쓰는지 금방 알 수 있을 것입니다.
I did not say nothing. X
나는 아무 말도 하지 않은 것이 아니다(?)
이처럼 부정의 뜻을 가진 말들을 겹쳐 쓰지 않아야 합니다. 우리말은 이렇게 되면 부정의 부정, 즉 긍정의 뜻이 되지만 영어에서는 같은 뜻의 말을 쓸데없이 겹치는 것이 됩니다.
1) 동사를 이렇게 세 가지로 구분하는 건 영문법의 기본이니까 잘 알아두도록 합시다. 의문문을 만들 때와 명령문을 만들 때도 이런 식으로 동사를 구분했습니다.
2) be afraid of는 ‘~을 두려워하다’라는 뜻의 숙어입니다.
3) must not은 ‘금지’입니다.
4) 오지 말았어야 하는데 왔다는 뜻입니다.
5) import[impɔ́ːrt 임포트]의 과거분사입니다. ‘수입된’이란 수동의 뜻을 가집니다.
ⓒinsightonweb.com 김유철(분당 정자동 인사이트영어학원 031-717-1957)
'풀어 쓴 기초영문법 > 30. 문장의 종류, 주어와 동사를 본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16.08] 명령문은 you에게 하는 말 (0) 2018.02.02 [16.09] 명령문은 정말 ‘명령’이다 (0) 2018.02.02 [16.10] 감탄문은 두 가지 형식을 기억해 둔다 (0) 2018.02.02 [16.11] [좀 더 넓게] 명령문, and, or (0) 2018.02.02 [16.12] 꼭 기억해두자! (0) 2018.0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