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6.03] 부가의문문을 알아두자풀어 쓴 기초영문법/29. 문장의 종류, 주어와 동사를 본다 2018. 2. 7. 17:17
의문문이 아닌 문장에 짤막한 의문문을 덧붙일 수 있습니다. 부가의문문1)이라 하는데 여기서 ‘부가’란 '덧붙였다'라는 뜻입니다. 문장의 뒤에 살짝 덧붙이는 의문문이 부가의문문인 것입니다. “그 연극 정말 재밌었어.”라는 평서문 뒤에 “그렇지 않니?”란 질문을 살짝 덧붙이는 식입니다.
“그 연극 정말 재밌었어, 그렇지 않니?”
뭘 물으려 한다기보다 연극이 재밌었다는 사실을 강조하려는 것 같지 않나요? 영어의 부가의문문도 비슷합니다. 물을 때보다 강조하려 할 때 많이 사용합니다.
The show was very nice, wasn't it?
쇼가 아주 좋았어, 그렇지 않니?
John did his best, didn't he?
존은 최선을 다했어, 그렇지 않니?
Jenny can drive a car, can't she?
제니는 차를 운전할 줄 알아, 그러지 않니?
He is not kind, is he?
그는 친절하지 않아, 그렇지?
You don't like fish, do you?
너는 생선을 좋아하지 않아, 그렇지?
이 예문들을 잘 살펴보면 부가의문문을 만드는 방법을 눈치 챌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습니다.
(1) 부가의문문은 앞의 문장과 반대다
앞 문장이 긍정문이면 부정문, 앞 문장이 부정문이면 긍정문으로 묻게 됩니다. 앞 문장의 동사가 is였다면 부가의문문의 동사는 isn't가, 앞 문장의 동사가 isn't였다면 부가의문문의 동사는 is가 되는 식입니다.
(2) 부가의문문에 쓰인 not은 축약형이다
was not 대신 wasn't, cannot 대신 can't, did not 대신 didn't를 쓰는 식입니다. 부가의문문은 간결해야 합니다.
(3) 부가의문문은 간단히 <동사(V)+주어(S)>만으로 이루어진다.
부가의문문은 다른 요소 없이 <동사(V)+주어(S)>만으로 끝이 납니다. 나머지 것들은 이미 앞 문장에 나와 있습니다. 의문문임을 알게 하는 최소한의 형식만 남는 것입니다.
(4) 부가의문문의 주어는 꼭 대명사다
부가의문문의 주어는 꼭 인칭대명사여야 합니다. 앞 문장의 주어를 받는 대명사를 쓰는 것입니다. 그게 원래 대명사의 역할이기도 합니다. I, you, he, she, it, we, they만이 부가의문문의 주어가 될 수 있습니다.
(5) 부가의문문의 동사는 앞에 나오는 동사에 따라 달라진다.
앞 문장의 동사가 뭐냐에 따라 부가의문문의 동사가 달라집니다.
■ be동사나 조동사가 쓰였을 경우
→ be동사나 조동사를 그대로 쓴다
■ 일반동사가 쓰였을 경우
→ do동사를 대신 쓴다
물론 긍정의 동사는 부정으로, 부정의 동사는 긍정으로 바꿔야 합니다. 그외 시제와 인칭은 앞 문장의 것을 그대로 따르면 됩니다.
예외적인 경우2)도 있지만 일단 다섯 가지가 기본입니다. 몇 개의 예문을 가지고 연습해 보면 금방 원리를 알 수 있을 것입니다. 격식을 차린 의문문보다 편하고 가벼운 느낌을 주는 게 부가의문문의 장점이니까 그런 느낌을 살려 실제로 써 보는 것도 중요합니다. 평소 연습해 두지 않으면 실제 상황에서 제대로 쓰기가 쉽지 않으니 영어로 말할 기회가 있으면 의도적으로라도 써 보는 게 좋습니다.
1) 부가의문문은 영어로 tag question[tæg kwéstʃən 택 퀘스천]이라고 합니다. tag은 ‘꼬리’고 question,은 ‘질문’입니다. '꼬리에 붙은 질문'이란 뜻입니다.
2) 명령문 뒤에도 부가의문문을 붙일 수 있습니다. 방법은 간단합니다. 긍정의 명령이든 부정의 명령이든 무조건 will you?를 붙이는 것입니다.Do it now, will you?
지금 해. 그럴 거지?
Don’t do it now, will you?
지금 하지 마, 그럴 거지?
명령문은 주어 you가 생략되는 게 보통입니다. 부가의문문에서 그걸 다시 살려내는 것입니다. 유사하게 Let's로 시작하는 문장에도 부가의문문이 붙을 수 있습니다. 이때는 무조건 shall we?입니다.
Let’s go to the movies, shall we?
우리 영화 보러 가요. 그럴래요?
Let’s는 ‘우리 ~하자’란 뜻의 명령문을 만듭니다. Let us의 줄임말인데, 대개 명령이 you에게 하는 것이라면 Let’s는 우리(we)에게 합니다. 그래서 부가의문문의 주어로 we를 쓰는 것입니다.
ⓒinsightonweb.com 김유철(분당 정자동 인사이트영어학원 031-717-1957)
'풀어 쓴 기초영문법 > 29. 문장의 종류, 주어와 동사를 본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16.01] 의문문에는 두 종류가 있다 (0) 2018.02.07 [16.02] 의문사가 없는 의문문 (0) 2018.02.07 [16.04] 의문사가 있는 의문문 (0) 2018.02.02 [16.05] 의문사의 종류 (0) 2018.02.02 [16.06] 의문사 앞에 전치사가 올 때 (1) 2018.0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