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6.02] 의문사가 없는 의문문풀어 쓴 기초영문법/29. 문장의 종류, 주어와 동사를 본다 2018. 2. 7. 18:30
의문사가 없는 의문문1)은 평서문을 의문문으로 만드는 것입니다. 간단히 동사를 주어 앞으로 보내어 <동사(V)+주어(S)>의 순서로 만들면 될 것 같지만 그게 안 될 때가 있습니다. 주어의 뒷자리에 떡 버티고 앉아 절대 움직이지 않으려는 동사가 있기 떄문입니다. 뭔가 다른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의문문을 만드는 방법에 여러 가지가 있는 건 그 때문입니다.
(1) be동사가 쓰였을 때
be동사는 본동사로 쓰였든 조동사로 쓰였든 쉽게 주어 앞으로 갈 수가 있습니다. 그래서 바로 의문문이 만들어집니다.
He was smart.
그는 똑똑했다.
was가 be동사입니다. 동사는 이것 하나밖에 없으니 본동사이면서 일반동사로 쓰인 것입니다. 이걸 부담 없이 주어 앞으로 보내면 의문문이 만들어집니다.
Was he smart?
그는 똑똑했니?
be동사가 조동사로 쓰였을 때도 마찬가지 입니다. 함께 쓰인 본동사는 놔두고 be동사만 앞으로 보내면 됩니다.
She is doing her homework.
그녀는 숙제를 하고 있다.
be동사 is와 doing으로 만들어진 현재진행시제 문장입니다. be동사가 조동사로 쓰였습니다. 이때도 be동사만 앞으로 보내면 의문문이 만들어집니다.
Is she doing her homework?
그녀는 숙제를 하고 있니?
(2) 일반동사가 쓰였을 때
문장에서 동사 자리에 일반동사2)만 왔을 때가 있습니다. 일반동사는 고집이 세서 원래의 자리를 지키려하기 때문입니다. 주어의 뒷자리를 떠나지 않으려 합니다. 그래서 쓰는 방법이 다른 동사를 대신 써주는 것입니다. 조동사 do입니다.
She likes music.
그녀는 음악을 좋아한다.
likes가 일반동사라서 주어의 앞으로 보낼 수가 없습니다. 그래도 do를 쓰면 <동사+주어>가 들어간 의문문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Does she like music?
그녀는 음악을 좋아하니?
앞에 나오는 do동사로 시제와 인칭을 나타낸다는 걸 기억해야 합니다. does가 쓰인 것은 이 때문입니다. 원래의 일반동사는 원형으로 바뀌게 됩니다. likes가 아닌 like를 씁니다.
(3) 조동사가 쓰였을 때
문장의 동사 자리에 <동사+본동사>가 왔을 때는 조동사만 주어 앞으로 보내면 됩니다.
You have been there.
너는 거기에 가 봤다.
조동사 have을 앞으로 보내서 <동사+주어>의 순서가 되면 의문문이 만들어집니다.
Have you been there?
너는 거기에 가 봤니?
때론 조동사 여럿이 묶여 쓰일 때도 있는데 그래도 마찬가지입니다. 단, 제일 앞의 조동사만 앞으로 보내야 합니다.
Have you been reading the book?
너는 그 책을 읽고 있었니?
have 이외의 다른 조동사도 모두 같은 방법을 써서 의문문을 만듭니다.
Can he play the piano?
그는 피아노를 칠 수 있니?
Could you lend me some money?
제게 돈을 좀 빌려주실 수 있나요?
Must I do it now?
제가 이걸 지금 해야 하나요?
Will he do me a favor.
그가 내 청을 들어줄까요?
May I leave now?
지금 떠나도 될까요?
의문사가 없는 의문문에 답할 때는 yes나 no로 쓰는 게 원칙입니다. '그렇다' 또는 '그렇게 하겠다'고 할 때는 yes, '그렇지 않다' 또는 '그렇게 하지 않겠다'고 할 때는 no입니다.3) 그리고 뒤에는 극히 짧은 문장이 따라 나오게 되는데 대명사와 의문문의 앞쪽에 쓰인 동사를 사용합니다. be로 시작되는 의문문이면 be동사를, do동사로 시작하는 의문문이면 do동사를, 조동사로 시작하는 의문문이면 그 조동사를 사용합니다.
Yes, she is. / No, she isn't.
Yes, I did. / No, I didn't.
Yes, he does. / No, she doesn't.
Yes, I have. / No, I haven't.
Yes, he can. / No, he can't.
Yes, I could. / No, I couldn't.4)
이들 각각 앞서 나온 의문문 중 무엇에 대한 답이 될 수 있을지 생각해 봅시다. 어떤 동사로 시작하는 의문문인지, 무엇에 대해 묻는지 잘 생각해 보면 쉽게 알 수 있습니다.
1) Yes나 No로 답하기 때문에 Yes/No Question이라고 합니다.
2) 일반동사의 역할을 하는 do동사와 have동사도 여기에 속합니다.
3) 부정문으로 물었을 때 yes와 no는 우리말과 반대의 뜻입니다. 예를 들어, “너 밥 안 먹었지?”라는 질문에 대해 우리말의 ‘예’는 안 먹었다는 뜻이지만, 영어의 ‘Yes’는 먹었다는 뜻입니다. 또 우리말의 ‘아니오’는 먹었다는 뜻이지만, 영어로 ‘No’는 안 먹었다는 뜻입니다. 영어의 yes는 긍정의 뜻으로 '그렇다', '그렇게 하겠다'는 뜻을 갖고, no는 부정의 뜻으로 '그렇지 않다', '그렇게 하지 않겠다'는 뜻을 가집니다.
4) yes 다음에는 꼭 긍정문이, no에는 꼭 부정문이 옵니다. ‘No, I can.’이나 ‘Yes, I can't.’와 같은 대답은 있을 수 없습니다. 우리말에서는 ‘아니오, 할 수 있어요.’나 ‘예, 할 수 없어요.’와 같은 표현이 전혀 어색하지 않지만 영어에서 그런 일은 있을 수 없습니다.
ⓒinsightonweb.com 김유철(분당 정자동 인사이트영어학원 031-717-1957)
'풀어 쓴 기초영문법 > 29. 문장의 종류, 주어와 동사를 본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16.00] 문장의 종류란... (0) 2018.02.07 [16.01] 의문문에는 두 종류가 있다 (0) 2018.02.07 [16.03] 부가의문문을 알아두자 (0) 2018.02.07 [16.04] 의문사가 있는 의문문 (0) 2018.02.02 [16.05] 의문사의 종류 (0) 2018.0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