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6.00] 문장의 종류란...풀어 쓴 기초영문법/29. 문장의 종류, 주어와 동사를 본다 2018. 2. 7. 18:43
크게 보면 영어에는 모두 네 종류의 문장이 있습니다.
평서문, 의문문, 명령문, 감탄문
평서문은 '무엇이 어찌어찌 하다'고 주장하는 문장으로 글로 쓰면 마침표(.)로 끝납니다. 주장이 사실일 필요는 없습니다. “지구는 목성 주위를 돈다.”는 문장은 거짓이지만 문장이고, 그중에서도 평서문입니다.
의문문은 무언가를 묻는 문장입니다. 묻는다는 건 답을 요구하는 것입니다. 글로 쓸 때는 물음표(?)로 끝나고, 말로 할 때는 보통 끝을 올리는 게 특징입니다.
명령문은 남에게 뭔가 요구한다는 점에서는 의문문과 비슷합니다. 의문문이 말로 답해 주기를 요구한다면 명령문은 행동으로 답해 주기를 요구합니다. 글로 쓸 때는 평서문과 같이 마침표로 끝납니다.
끝으로 감탄문1)은 자신의 느낌을 강하게 표현하는 문장입니다. 듣는 사람이 있건 없건 상관없습니다. 글로 썼을 땐 느낌표(!)를 보면 쉽게 알아볼 수 있습니다.
■ 평서문
너는 밥을 빨리 먹는다.
■ 의문문
너는 밥을 빨리 먹니?
■ 명령문
너는 밥을 빨리 먹어라.
■ 감탄문
너는 밥을 빨리 먹는구나!
우리말에서는 이 네 종류의 문장을 문장의 꼬리2)를 보고 구별합니다. ‘~다’가 붙은 것은 평서문, ‘~니?’가 붙은 것은 의문문, ‘~어라’가 붙은 것은 명령문, ‘~구나!’가 붙은 것은 감탄문입니다. 이를 뺀 나머지 부분, 곧 ‘너는 밥을 빨리 먹’까지는 모두 같습니다. 꼬리에 어떤 말이 붙었느냐에 따라 달라지는 게 우리말입니다.
영어는 우리말과 달리 말의 순서와 위치를 가지고 문장을 구별합니다. 특히, 주어와 동사3)가 어떤 순서로 어디에 나오느냐가 중요합니다.
■ 평서문
He is ambitions.
그는 야망이 있다.
■ 의문문
Is he ambitious?
그는 야망이 있니?
■ 명령문
Be4) ambitious.
야망을 가져라.
■ 감탄문
How ambitious he is!
그는 야망이 있구나!
주어 he와 동사 is의 순서와 위치를 봅시다. 모두 주어, 동사, 보어로 이루어진 2형식의 문장이지만 주어와 동사가 어디에 어떻게 오느냐에 따라 문장의 종류가 바뀌었습니다. 목적어니 보어니 하는 나머지 요소들은 중요하지 않습니다. ‘문장의 형식’을 결정할 뿐 ‘문장의 종류’를 결정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 평서문
주어(S)+동사(V)
■ 의문문
동사(V)+주어(S)
■ 명령문
동사의 기본형(RV)
■ 감탄문
How/What+……+주어(S)+동사(V)
네 종류의 문장 중 평서문에 대해서는 이미 다 공부한 거나 마찬가지입니다. 가장 기초가 되는 것이라서 이제까지 나온 문장들은 거의가 평서문이었습니다. 앞으로 공부해야 할 건 나머지 종류의 문장들입니다. 모두 평서문을 바탕으로 만들어지지만, 그렇다고 꼭 평서문과 연결 지어 생각할 필요는 없습니다. 실제 말을 할 때 머릿속으로 먼저 평서문을 떠올린 다음 그걸 다시 의문문, 명령문, 감탄문으로 바꾸지 는 않습니다. 그저 묻고 싶을 때 묻고, 명령하고 싶을 때 명령하고, 감동했으면 그걸 말로 표현할 뿐입니다.
1) 감탄문은 감탄사와 구별해야 합니다. 감탄사가 단어라면 감탄문은 문장입니다. ‘와’라는 말이 감탄사라면, 주어와 동사를 갖춰서 “와, 풍경이 정말 아름답구나!”하고 말하면 감탄문이 됩니다
2) 국문법에서는 ‘어미’라고 합니다. ‘꼬리에 붙은 말’이란 뜻입니다.
3) 이때의 ‘동사’란 조동사까지도 포함하는 폭넓은 의미의 동사입니다.
4) 명령문은 꼭 동사원형이 쓰여야 합니다. 그래서 is가 아니라 be가 쓰였습니다.
ⓒinsightonweb.com 김유철(분당 정자동 인사이트영어학원 031-717-1957)
'풀어 쓴 기초영문법 > 29. 문장의 종류, 주어와 동사를 본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16.01] 의문문에는 두 종류가 있다 (0) 2018.02.07 [16.02] 의문사가 없는 의문문 (0) 2018.02.07 [16.03] 부가의문문을 알아두자 (0) 2018.02.07 [16.04] 의문사가 있는 의문문 (0) 2018.02.02 [16.05] 의문사의 종류 (0) 2018.0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