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어 쓴 기초영문법/07 대명사, 명사보다 더 명사답다(1/3)
-
[3.00] 대명사란?풀어 쓴 기초영문법/07 대명사, 명사보다 더 명사답다(1/3) 2012. 7. 11. 17:20
대명사1)의 ‘대’는 대신할 대(代)입니다. 대명사는 명사를 대신하는 말입니다. 세상 온갖 것들은 모두 이름이 있습니다. 존재하는 것들만큼이나 많은 게 그것들을 일컫는 명사입니다. 그에 비해 그것들을 대신하는 단어의 수는 극히 적습니다. 소, 말, 연필, 책, 컴퓨터……, 이 모두를 대신해 간단히 ‘그것(it)’이란 대명사를 쓸 수도 있습니다. 대명사가 명사를 대신한다는 건 무엇일까요? 혜원은 조선후기의 유명한 화가이다. 그는 자신이 살던 시대의 모습을 담은 풍속화를 많이 그렸다. 첫 문장은 ‘혜원’이란 사람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누군가를 소개한 뒤 다시 그 이름을 반복하지 않으려면, 그 이름을 대신하는 대명사를 쓰게 됩니다. 둘째 문장의 ‘그’가 바로 앞에 나오는 ‘혜원’이란 명사를 대신하는 대..
-
[3.01] 대명사도 명사다풀어 쓴 기초영문법/07 대명사, 명사보다 더 명사답다(1/3) 2012. 7. 11. 16:55
대명사는 기본적으로 명사의 성질을 다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인칭대명사라고 하는 것들은 명사보다 더 명사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대명사에도 수와 격과 성이 있다. 대명사는 수와 성의 구별도 아주 분명하고, 격에 따른 변화도 더 엄격합니다. ‘나’, ‘너’, ‘그’처럼 일상에서 자주 사용되는 말이기도 하고, 분명한 의사 전달에 꼭 필요한 것이기도 해서 바뀌기가 쉽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예로부터 가지고 있던 문법적인 성질들을 지금도 대부분 유지하고 있습니다. 대명사는 보통의 명사보다 문법적으로 더 복잡하다. 수에 따라, 성에 따라, 격에 따라 잘 구별해서 써야 한다는 뜻입니다. 하지만 그게 대명사의 장점입니다. 그래야 뜻을 더 분명하게 해 줄 수 있습니다. 만약 대명사가 명사처럼 단순하게 쓰인다면 영어..
-
[3.02] 알아두어야 할 대명사들풀어 쓴 기초영문법/07 대명사, 명사보다 더 명사답다(1/3) 2012. 7. 11. 16:50
대명사도 명사처럼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하지만 쓰임이 명사와 달라 구분하는 방식도 다릅니다. 수는 명사보다 훨씬 적지만 알아두어야 할 종류는 더 많습니다. 그중 여기서 공부할 것은 다섯 가지입니다.1) 인칭대명사 소유대명사 재귀대명사 지시대명사 부정대명사 종류가 다섯 가지나 되고 각각 명칭도 생소하지만 어려워할 필요는 없습니다. 영어를 조금만 공부했다면 이미 알고 있는 단어들이 대부분입니다. 그것들이 어떻게 쓰이는지 좀 더 자세히 알아보는 게 여기서 할 일입니다. 어찌보면 문법적인 명칭은 그다지 중요하지 않습니다. 정말 중요한 것은 대명사로 쓰이는 단어 하나하나를 아는 것입니다. 이런저런 명칭들을 쓰는 것은 그렇게 부르는 게 편하서입니다. 그렇다고 이들 명칭에 익숙해지는 게 나쁠 것도 없습니다. 문법을..
-
[3.03] 인칭대명사는 인칭에 따라 구분된다풀어 쓴 기초영문법/07 대명사, 명사보다 더 명사답다(1/3) 2012. 7. 11. 16:40
인칭은 사람 인(人)에 일컬을 칭(稱), 즉 사람을 일컫는다는 뜻입니다. 이름 대로라면 인칭대명사1)는 사람을 일컬을 때 쓰는 대명사2)입니다. 그렇지만 인칭대명사가 사람이 아닌 것에 쓰일 때도 많습니다. 사물이나 생물체, 머릿속의 생각, 신 등 온갖 것에 인칭대명사를 쓸 수 있습니다. 사람을 가리킬 때도 쓰지만 그보다 훨씬 폭넓게 쓰이는 게 인칭대명사입니다. 인칭대명사에 ‘인칭’이란 말이 들어간 건 ‘사람을 일컫는 대명사’라서가 아닙니다. ‘사람을 가리키는 대명사’란 설명은 이해하기 쉬우라고 하는 말입니다. 인칭대명사는 인칭에 따라 구별되는 대명사다. 인칭이란 말하는 사람을 기준으로 세상을 구별하는 방식입니다. 누군가와 말을 한다고 해 봅시다. 그럼 말하는 사람과 말하는 사람 쪽의 사람들이 있습니다. ..
-
[3.04] 인칭대명사의 종류풀어 쓴 기초영문법/07 대명사, 명사보다 더 명사답다(1/3) 2012. 7. 11. 16:30
인칭대명사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1) 1인칭 우리말로 ‘나’와 ‘우리’에 해당하는 말입니다.1) 영어에는 단수인 I(나)와 복수인 we(우리)가 있습니다. (2) 2인칭 우리말로 ‘너’, ‘너희들’에 해당하는 말입니다.2) 영어에서는 모두 you라고 합니다. 단수와 복수의 구별이 없어서 나와 이야기하는 상대방이 한 명이라도 you이고 여러 명이라도 you입니다. 또, 나보다 나이가 많든 적든 상관없이 모두 you입니다. 어린 꼬마라도 할아버지를 you라고 부릅니다. 영어로 대화할 때 처음에는 버릇 없다고 혼이 날까 봐 you란 말을 감에 입에 올리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럴 일은 전혀 없습니다. 애초 그런 구별이 없는 언어라서 영어를 쓰는 사람들은 그런 생각을 전혀 하지 않습니다...
-
[3.05] [좀 더 넓게] 표로 정리한 인칭대명사풀어 쓴 기초영문법/07 대명사, 명사보다 더 명사답다(1/3) 2012. 7. 11. 16:20
인칭대명사를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단수 복수 1인칭 I(나) we(우리) 2인칭 you(너, 너희들) 3인칭 남성 he(그) they (그들, 그것들) 여성 she(그녀) 중성 it(그것) 인칭대명사는 인칭, 수, 성에 따라 분류된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특히 3인칭은 남성, 여성, 중성, 복수로 세밀하게 구별됩니다. 1인칭과 2인칭은 성의 구별이 없다는 것도 알 수 있습니다. 나는 나고, 너는 너면 되지 굳이 성을 따질 필요는 없습니다. 2인칭에는 단수와 복수의 구별이 없습니다. 단점이면서 장점이기도 합니다. 대뜸 you가 툭 튀어 나오면 그게 ‘너’인지 ‘너희들’인지 알 수 없다는 게 단점입니다. 장점이라면 이것저것 따질 필요 없이 무조건 you로 다 통한다는 것이지요. ⓒinsighto..
-
[3.06] 인칭대명사의 격변화풀어 쓴 기초영문법/07 대명사, 명사보다 더 명사답다(1/3) 2012. 7. 11. 16:10
인칭대명사는 문장에서의 역할에 따라 모양이 달라지기도 합니다. 주어나 보어로 쓰일 때는 주격, 목적어로 쓰일 때는 목적격, 소유의 뜻을 나타낼 때는 소유격의 모양으로 변합니다. 명사는 소유격만 알면 됐지만, 대명사는 주격, 목적격, 소유격을 다 알아야 합니다. 주격 소유격 목적격 I my me you your you he his him she her her it its it we our us they their them 이미 외우고 있는 사람도 있겠지만, 혹시 그렇지 않다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순서에 따라 외우면 됩니다. 'I(아이)-my(마이)-me(미)' 하는 식입니다. (1) 주격 인칭대명사가 주어나 보어가 될 때 쓰입니다.1) 우리말은 ‘~은’, ‘~는’, ‘~이’, ‘~가’ 따위가 뒤에 붙어 주..
-
[3.07] [좀 더 넓게] ‘아무나’란 뜻으로 쓰이는 인칭대명사풀어 쓴 기초영문법/07 대명사, 명사보다 더 명사답다(1/3) 2012. 7. 11. 16:00
‘우리’, ‘너’, ‘그들’의 뜻으로 알고 있는 인칭대명사 we, you, they가 그냥 일반적인 사람을 가리킬 때가 있습니다. 아무나 we가 될 수 있고, you도 될 수 있으며, they가 될 수 있습니다. We speak Korean in Korea. 한국에서는 한국어를 쓴다. They speak English in England. 영국에서는 영어를 쓴다. 여기서 we나 they1)가 가리키는 건 ‘우리’도 ‘그들’도 아닌 일반적인 사람입니다. 위의 문장에서는 한국사람 모두를, 아래 문장에서는 영국사람 모두를 가리킵니다. ‘우리’와 ‘그들’로 새기면 안 됩니다. 우리는 한국에서 한국어를 쓴다. X 그들은 영국에서 영어를 쓴다. X 보통 ‘너’라는 뜻으로 알고 있는 you도 이렇게 쓰일 때가 있습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