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5.02] 문장의 형식을 구성하는 요소풀어 쓴 기초영문법/27. 문장의 5형식, 문장을 만드는 원리 2018. 1. 29. 12:19
문장을 형식을 결정하는 요소에는 주어, 동사, 목적어, 간접목적어, 직접목적어, 보어, 목적격 보어, 이렇게 7가지가 있다고 했습니다. 이것들이 서로 결합해 문장이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따라서 문장의 형식을 알려면 이것들이 뭔지부터 알아야 합니다.
(1) 주어(S)와 동사(V)
문장이 되려면 주어와 동사 이 두 가지는 꼭 있어야 합니다. 이 둘만 가지고도 간단한 문장을 만들 수 있습니다.
she wept.1)
그녀는 울었다.
wept가 동사입니다. 동사는 ‘가다’, ‘자다’, ‘쉬다’처럼 행동이나 움직임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하지만 ‘생각하다’, ‘꿈꾸다’ 등과 같이 보통은 행동이라 하지 않는 걸 나타내는 말도 동사일 수 있습니다.
주어는 동사가 가리키는 행동의 주체를 나타내는 말입니다. 예를 들어, ‘울었다’라고 할 때 운 것이 무엇이지 말해주는 것이 주어입니다. 위의 문장에서는 she가 주어 입니다.
주어가 직접 뭔가 행동을 해야 하는 건 아닙니다. 다른 무언가가 한 행동의 영향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This letter was written by him.
이 편지는 그에 의해 쓰여 졌다.
여기서 주어는 this letter(이 편지) 입니다. 하지만 이것이 ‘쓰는’ 행동을 한 건 아닙니다. 쓰는 행동을 한 건 him(그)이고, 주어인 this letter는 그 행동의 영향으로 쓰여진 것입니다. 이런 것을 수동이라 한다고 했습니다.
문장의 주어가 되려면 조건이 있습니다. 반드시 명사나 명사의 자격을 가진 말이어야 합니다. 대표적인 것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명사
대명사
동명사
to부정사
이밖에 명사구와 명사절도 있습니다.
명사구란 여러 단어가 모여 하나의 명사처럼 쓰이는 걸 말합니다.
a boy and a girl
소년 한 명과 소녀 한 명
two men
두 남자
the airplane
비행기
to make a house
집을 만들기
how to make it
그것을 만드는 방법
being a doctor
의사가 되기
killing a mockingbird
앵무새 죽이기
A book on the table
책상 위의 책
a brave man
용감한 남자
That picture of his own painting
그가 직접 그린 그 그림
이들과 달리 명사절은 명사의 역할을 하는 문장입니다. 문장이니까 당연히 문장의 5형식에 따라 만들어질 거고, 꼭 주어와 동사가 나와야 합니다. 이때 문장 속의 문장, 즉 ‘절’임을 나타내는 말이 붙는 데 특히 that이 잘 쓰입니다.2)
that he is honest
그가 정직하다는 것
that she was kind
그녀가 친절했다는 것
that you should do it
네가 그것을 해야 한다는 것
(2) 목적어(O)
목적어는 주어가 하는 행위의 대상이 되는 말입니다.3) 우리말로는 대개 ‘~을’이나 ‘~를’로 새겨집니다. 주어가 될 수 있는 말들은 거의 모두 목적어가 될 수 있습니다.4)
She studies Chinese.
그녀는 중국어를 공부한다.
Chinese(중국어)가 목적어입니다. 주어 she(그녀)가 하는 행위, 즉 ‘공부하기’의 대상이 되기 때문입니다.
목적어는 동사 다음에 전치사 없이 바로 나와야 합니다. 전치사와 합쳐지면 둘이 함께 부사구나 형용사구의 역할을 하기 떄문에 주어가 될 수 없습니다.
He goes to school.
그는 학교에 간다.
여기서 명사 school은 동사의 목적어가 아닙니다. 앞에 전치사 to가 있어서 함께 ‘학교에’란 뜻을 갖는 부사어가 되었습니다. 부사어는 문장의 형식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이 문장은 주어(He)와 동사(goes)만 있는 1형식 문장입니다.
(3) 간접목적어(IO)와 직접목적어(DO)
동사 중에는 두 개의 목적어를 갖는 것이 있습니다. 수여동사라고 하는 것들입니다. 앞에 나오는 목적어는 ‘~에게’란 뜻이 되고, 뒤에 나오는 목적어는 ‘~을’이란 뜻이 됩니다.
I showed him a picture.
나는 그에게 그림을 보여주었다.
대명사 him과 명사 a photo가 둘 다 목적어입니다. 이처럼 목적어가 둘일 때 앞에 나와 ‘~에게’란 뜻을 갖는 것을 간접목적어라고 하고, 그 뒤 ‘~를’이란 뜻을 갖는 것을 직접목적어라고 합니다. 단, '~에게’란 뜻이라 해서 다 간접목적어는 아닙니다.
He gave it to me.
그는 내게 그것을 주었다.
to me가 ‘나에게’란 뜻이지만 앞에 '~에게’란 뜻의 전치사 to가 있기 때문에 동사의 목적어라 할 수 없습니다. 목적어와 동사 사이에는 전치사가 없어야 합니다.
(4) 보어(C)와 목적격 보어(OC)
보어는 주어나 목적어의 의미를 보충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주어의 의미를 보충해 주는 보어를 주격 보어5)라고 하고, 목적어의 의미를 보충해 주는 말을 목적격 보어 또는 목적보어라고 합니다.
보통 보어라고 하면 보통 주격 보어를 뜻합니다. 동사의 뒤에 나와 주어에 대해 어찌어찌 하다고 설명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John became a computer programmer.
존은 컴퓨터 프로그래머가 되었다.
Sally is clever.
샐리는 똑똑하다.
동사 became(← become) 뒤에 쓰인 a computer programmer와 is 뒤에 쓰인 clever가 보어입니다. 하나는 명사가, 다른 하나는 형용사가 보어로 쓰였습니다.
목적격 보어6)는 목적어가 어찌어찌 하다고 설명하는 역할을 합니다. 목적어의 뒤에 쓰입니다.
She makes me happy.
그녀는 나를 행복하게 한다.
만약 목적격 보어 happy가 없었다면 ‘그녀는 나를 만든다’란 뜻이 되었을 것입니다. happy가 들어감으로써 ‘나를 행복하게 만든다’가 되었습니다. happy가 앞에 있는 목적어 me가 어떤지 설명해 주고 있습니다.
주격 보어가 되려면 기본적으로 명사나 형용사 또는 기타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하고, 목적격 보어는 여기에 to부정사, 원형부정사, 분사 등이 더 추가됩니다.
■ 명사
He is a soldier.
그는 군인이다.
■ 대명사
It's me.7)
그건 나야.
■ 형용사
They went mad.
그들은 미쳤다.
■ 부사
School is over.
학교가 끝났다.
■ 명사절
The fact is that I was not there.
진실은 내가 거기 없었다는 것이다.
■ to부정사
I make him to go.
그는 그를 가게 만들었다.
■ 형용사구
He is out of breath.
그는 숨이 찼다.
■ 분사
I see a bird singing.
나는 새가 노래하는 것을 보았다.
보어를 필요로 하는 동사 앞에는 모두 ‘불완전’이란 말이 붙습니다. 주격 보어를 필요로 하는 동사를 ‘불완전자동사’라 하고, 목적격 보어를 필요로 하는 동사를 ‘불완전타동사’라고 합니다. 완전하기 않으니까 보충해 주는 말, 즉 보어를 필요로 한다고 보는 것입니다.
1) <주어(S)+동사(V)>로 되어 있는 1형식 문장입니다.
2) 명사절을 이끄는 것에는 that 외에도 몇 가지가 더 있습니다. what, how, when, whether, if와 같은 것들입니다.what he told me
그가 말하는 것
how much I hate him
내가 얼마나 미워하는지
how I made it
내가 어떻게 그걸 해냈는지
when he lived there
그가 거기 살았을 때
whether it is true or not
그게 참인지 거짓인지
if he can do that or not
그가 그것을 할 수 있는지 아닌지
3) ‘목적어’란 말은 ‘목적’이란 말 때문에 오해가 생기기 쉬운 것 같습니다. ‘인생의 목적’이라고 할 때의 그런 ‘목적’으로 생각하기 쉽습니다. 영어에서는 목적어를 object라고 합니다. object에는 ‘목적’이란 뜻도 있지만, 여기서는 ‘대상’이란 뜻에 가깝습니다. ‘물건', ‘사물’이란 뜻입니다. ‘사과를 먹는다’란 말을 봅시다. 여기서 사과는 ‘목적’이라기보다 ‘대상’ 또는 ‘물건’에 가깝습니다. 이런 걸 ‘목적어’라고 하는 것입니다.
4) 인칭대명사의 경우는 me, you, him, her, it, us, them과 같은 목적격이어야 합니다.
5) 보통 보어라고 하면 주격 보어를 말합니다. 하지만 때론 주격 보어와 목적격 보어를 합쳐서 ‘보어’라고도 하니까 잘 구별해 알아듣도록 합시다.
6) ‘목적격 보어’가 더 정확하지만 보통 ‘목적보어’라고도 합니다.
7) 원래 문법적으로는 목적격 me가 아니라 주격 I를 써야 합니다. 주격이 보어로 쓰이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이 경우에는 me로 쓰는 게 굳어져 버렸어습니다 I를 쓰면 오히려 이상합니다.
ⓒinsightonweb.com 김유철(분당 정자동 인사이트영어학원 031-717-1957)
'풀어 쓴 기초영문법 > 27. 문장의 5형식, 문장을 만드는 원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15.00] 문장의 5형식이란.. (0) 2018.01.29 [15.01] 문장의 5형식 공부에 앞서 미리 알아두어야 할 것들 (0) 2018.01.29 [15.03] [좀 더 넓게]가주어와 가목적어 (0) 2018.01.29 [15.04] 1형식 문장, 형식은 간단해도 긴 문장이 될 수 있다 (0) 2018.01.29 [15.05] [좀 더 넓게] <There+자동사>로 시작하는 1형식 문장 (0) 2018.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