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06] [좀 더 깊게] 쪼개진 to부정사풀어 쓴 기초영문법/22. to부정사, 동사 아닌 동사(1/1) 2012. 10. 25. 11:58
to부정사란 부정사에 to가 붙어 만들어지기 때문에 붙은 이름입니다. to와 부정사의 결합력은 매우 강해서 여간해선 떨어지지 않으려 하지만 가끔 깨질 때도 있습니다.
이렇게 깨진 부정사를 ‘분리부정사1)’라고 하는 데, 그 사이에는 부사가 들어갑니다.
to+부사+동사원형
원래 부사는 동사 다음에 오는 게 정상입니다. to부정사일 경우는 다르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to부정사가 쪼개지면서 그 사이에 부사가 들어가는 데는 충분한 이유가 있어야 합니다. 한 이유는 부사가 부정사를 꾸민다는 것을 분명히 해 주기 위해서이고, 또다른 이유는 강조입니다.
I want you to understand it clearly.
끝에 나온 부사 clearly(분명히)는 원리적으로 문장 속 두 개 동사 어느 것이나 수식할 수 있습니다. understand와 want입니다. 이런 상황을 애매하다고 합니다.2)
■ understand를 꾸밀 때
나는 네가 그것을 분명히 이해하기를 원한다.
■ want를 꾸밀 때
나는 네가 그것을 이해하기를 분명히 원한다.
만약 clearly가 to부정사의 understand를 꾸민다는 사실을 분명히 하고 싶으면 분리부정사의 형태로 만듭니다.
I want you to clearly understand it.
나는 네가 그것을 분명히 이해하기를 원한다.
이제 꾸미는 관계가 명확해졌고 부수적으로 clearly가 강조되는 효과도 얻었습니다. 우리말로 이런 느낌입니다.
나는 네가 그것을 '아주' 분명히 이해하기를 원한다.
1) 영어로는 split infinitive입니다. split[split 스플릿]은 ‘쪼개진’이란 뜻입니다.
2) 논리에서는 어떤 말이 한 가지 이상의 뜻을 가질 때 ‘애매하다’고 합니다. 다음은 애매한 말들입니다. 왜 애매한지 생각해 봅시다.
예쁜 그 여자의 옷
나는 그걸 먹지 않았다
배를 샀다
ⓒinsightonweb.com 김유철(분당 정자동 인사이트영어학원 031-717-1957)
'풀어 쓴 기초영문법 > 22. to부정사, 동사 아닌 동사(1/1)'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01] 'to부정사'는 동사가 아니다 (0) 2012.10.25 [10.02] 'to부정사'는 동사다 (0) 2012.10.25 [10.03] [좀 더 넓게] 대명사와 대동사가 있듯 대부정사도 있다 (0) 2012.10.25 [10.04] [좀 더 깊게] 문장 전체를 꾸미는 to부정사 (0) 2012.10.25 [10.05] 꼭 기억해두자! (0) 2012.1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