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00] 'to부정사'란...풀어 쓴 기초영문법/22. to부정사, 동사 아닌 동사(1/1) 2012. 10. 25. 12:48
동사원형을 다른 말로 부정사1)라고 합니다. 이때 ‘부정’은 ‘부정관사’의 ‘부정’과 같은 뜻입니다. 그러니 부정사는 ‘정해지지 않은 말’이란 뜻이겠지요.2)
동사원형을 왜 정해지지 않은 말이라고 할까요? 그걸 알려면 영어의 동사가 쓰이는 두 가지 방식을 알아야 합니다. 하나는 주어와 시제에 따라 모양을 정해 쓰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사전에 나오는 원래의 형태를 그대로를 쓰는 것입니다.
첫 번째 방식은 주어가 단수냐 복수냐, 인칭이 뭐냐, 시제가 뭐냐 등등에 따라 동사의 모양이 바뀝니다.3) 주어가 3인칭 단수이고, 시제가 현재일 때는 동사 뒤에 -(e)s가 붙는다거나 시제가 과거일 때 동사 뒤에 -ed가 붙는다거나 하는 식이지요.
이와 달리 두 번째 방식은 항상 동사원형만 씁니다. 동사 뒤에 -(e)s나 -ed가 붙는 일이 없습니다. 이것을 형태가 정해지기 않은 것이라 보고 ‘정해지지 않은 말’ 즉 부정사라고 하는 것입니다.
부정사를 쓰는 몇 가지 경우가 있습니다. 대표적인 것은 조동사 뒤에 쓰는 것입니다.
He can do it.
그는 그것을 할 수 있다.
I didn't meet him.
나는 그를 만나지 않았다.
지금부터 공부할 ‘to부정사’도 대표적인 경우입니다. 동사원형, 즉 부정사가 to와 함께 쓰이기 때문에 ‘to부정사’라 합니다.
to부정사=to+동사원형
뻔한 얘기지만 그래도 강조할 건 싶은 것은 to 다음 반드시 동사원형만 온다는 것입니다. 앞에 뭐가 나오든, 뒤에 뭐가 나오든 상관없습니다. 다른 것이 온다면 그건 to부정사가 아닙니다.4)
1) 부정사는 영어로 infinitive[infínətiv 인피너티브]라고 합니다. ‘정해지지 않은’, ‘무한한’이란 뜻이 있습니다.
2) 부정사의 ‘부정’은 infinitive고, 부정관사의 ‘부정’은 indefinite입니다. 둘 다 ‘정해지지 않은’이란 뜻입니다.
3) 주어와 시제의 변화에 따라 형태가 정해지는 동사를 문법에서는 정형동사라고 합니다. 영어로는 finite[fáinait 파이나이트]라고 하는데 ‘정해졌다’는 뜻입니다. 그 반대가 infinitive(부정사)입니다.
4) to는 전치사이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뒤에 동명사(V-ing)가 올 수도 있습니다.
look forward to V-ing
~을 기대하다
ⓒinsightonweb.com 김유철(분당 정자동 인사이트영어학원 031-717-1957)
'풀어 쓴 기초영문법 > 22. to부정사, 동사 아닌 동사(1/1)'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01] 'to부정사'는 동사가 아니다 (0) 2012.10.25 [10.02] 'to부정사'는 동사다 (0) 2012.10.25 [10.03] [좀 더 넓게] 대명사와 대동사가 있듯 대부정사도 있다 (0) 2012.10.25 [10.04] [좀 더 깊게] 문장 전체를 꾸미는 to부정사 (0) 2012.10.25 [10.05] 꼭 기억해두자! (0) 2012.1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