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어 쓴 기초영문법
-
[1.14] [좀 더 넓게] 소유격이 꼭 소유를 나타내는 건 아니다풀어 쓴 기초영문법/02 명사, 복수형과 격이 있다(2/2) 2012. 7. 5. 22:39
무언가를 소유한다는 것은 그것에 대해 대단한 권리를 갖는 것입니다. 내 맘대로 할 수 있는 권리입니다. 무엇이든 그것이 정말 내 것이라면 난 그것을 내 맘대로 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다면 온전히 소유했다고 할 수 없습니다. 세상에는 소유했다고 하지만 맘대로 할 수 없는 것들이 있습니다. 내가 소유한 강아지라 해서 내 마음대로 할 수 있을까? 내 강아지니까 맘대로 괴롭히고, 때리고 심지어는 없애 버릴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큰 착각입니다. 사실 강아지를 소유한다는 생각 자체가 잘못인지도 모릅니다. 다음과 같은 경우는 어떨까요? Sam's teacher 샘의 선생님 소유격을 나타내는 -’s가 붙었으니 Sam이 선생님을 소유하고 있는 것일까요? 사람이 사람을, 그것도 제자가 스승을 소유할 수는 없습니다..
-
[1.15] 명사에는 성이 있다풀어 쓴 기초영문법/02 명사, 복수형과 격이 있다(2/2) 2012. 7. 5. 22:38
세상 모든 것에는 성이 있습니다. 남성, 여성, 중성 이 세 가지 중 하나에 속한다는 말입니다. 마찬가지로 그것들을 가리키는 명사에도 성이 있습니다. 문법적인 성1)이라고 합니다. 주의할 것은 자연 세계에 존재하는 성과 일치하지는 않는다는 것입니다. 바다 위를 떠다니는 배의 성은 무엇일까요? 무생물이니까 굳이 성을 나누자면 중성으로 해야겠지만 영어에서는 배, 즉 ship을 여성으로 취급합니다. 왜 여성일까요? 이유는 모릅니다. 영어를 쓰는 사람들이 그렇게 써 왔을 뿐이지요. 또 황소는 수컷이고 젖소는 암컷이니까 각각 남성과 여성일 것 같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영어에서는 황소를 나타내는 bull과 젖소를 나타내는 cow는 둘 다 중성입니다. 명사의 성을 무시할 수 없는 것은 이것을 대명사로 받아야 하기 때..
-
[1.16] 명사의 성을 아는 법풀어 쓴 기초영문법/02 명사, 복수형과 격이 있다(2/2) 2012. 7. 5. 22:37
명사가 가리키는 것만을 척 보고 그 성을 알아맞힐 수 있다면 좋겠지만 안타깝게도 그렇지 못합니다. 실제의 성과 문법적인 성이 다르기 때문이니 어쩔 수 없습니다. 문법적인 성은 따로 알아두어야 합니다. 명사의 수가 굉장히 많다는 걸 생각하면 지레 걱정이 되겠지만, 간단한 두 가지 원칙만 알고 있으면 됩니다. (1) 사람이 아닌 것들은 대부분 중성으로 취급한다 의자(chair)니 책상(table)이니 하는 사물들은 말할 필요도 없고, 암수를 구별할 수 있는 동물이라 하더라도 중성으로 여깁니다. 황소(bull)도 젖소(cow)도 모두 대명사 it으로 받습니다.1) drake 수컷 오리 / duck 암컷 오리 pig 수퇘지 / sow 암퇘지 dog 수캐 / bitch 암캐 rooster 수탉 / hen 암탉 보..
-
[1.17] [좀 더 넓게] 단어만 보고 남성인지 여성인지 알 수도 있다풀어 쓴 기초영문법/02 명사, 복수형과 격이 있다(2/2) 2012. 7. 5. 22:36
명사의 모양을 보고 그 명사가 가리키는 것이 남성인지 여성인지, 암컷인지 수컷인지 알 수 있을 때가 있습니다. 명사의 앞이나 뒤에 성을 알려주는 말이 붙어 있을 경우입니다. 몇 가지 소개합니다. ① -ess로 끝나는 명사는 여성 actor 배우 / actress 여배우 god 신 / goddess 여신 prince 왕자 / princess 공주 lion 사자 / lioness 암사자 tiger 호랑이 / tigress 암호랑이 ② -man으로 끝나면 남성, -woman으로 끝나면 여성 policeman 남자경찰 / policewoman 여성경찰 salesman 판매원 / saleswoman 여성판매원 postman 우편배달원 / postwoman 여성우편배달원 ③ 앞에 he-가 붙으면 수컷, she-가 ..
-
[1.18] [총정리] 꼭 기억해두자!!풀어 쓴 기초영문법/02 명사, 복수형과 격이 있다(2/2) 2012. 7. 5. 22:35
명사에 관해 알아두어야 할 것은 이제 거의 이야기했습니다. 이것저것 복잡하게 느낄 수도 있지만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명사는 수와 격과 성을 가질 수 있는 말 명사는 보통 ‘무언가를 가리키는 말’이라거나 ‘이름하는 말’이라고 설명합니다. 그런데 더 정확한 설명이 있다면 ‘수와 격과 성을 가질 수 있는 말’이 될 것입니다. 서양말에서 문법이라는 걸 발견해 낸 고대 그리스인들도 명사를 이렇게 설명했다고 합니다. '수'란 단수와 복수를 말합니다. 즉, 명사에 수가 있다는 건 단수형과 복수형이 있다는 뜻입니다. 물론 셀 수 있는 명사에만 해당합니다. 셀 수 있는 명사는 뭘까요? 문법적으로는 복수형을 만들 수 있는 명사입니다. 격이란 문장에서 명사가 가지는 자격입니다. 주격, 목적격, 소유격 등이 있습..
-
[1.19] [좀 더 깊게] 복합명사풀어 쓴 기초영문법/02 명사, 복수형과 격이 있다(2/2) 2012. 7. 5. 22:20
무엇이든 새로운 것이 나타나게 되면 거기에 이름을 붙입니다. 새로운 것이 생겨나는 만큼 새로운 이름도 생겨납니다. 하지만 새로운 이름을 만드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이제까지 들어보지 못한 새로운 이름을 만든다 해도 문제입니다. 처음에 사람들은 그것이 뭘 말하는 건지 모를 것입니다. 생소한 이름을 새로 짓기보다는 이미 존재하는 말들을 잘 결합해 쓰는 게 더 좋을 수 있습니다. ‘그림책’이나 ‘눈사람’처럼 이미 있는 말들을 합쳐 새로운 말을 만드는 것입니다. 만들기도 쉽고 뜻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눈사람은 눈을 뭉쳐 사람처럼 만든 것이겠구나, 그림책은 그림이 많이 들어간 책이겠구나 하고 짐작할 수 있습니다. 이미 있는 말들을 모아 새롭게 만들어낸 명사를 복합명사라고 합니다. 우리가 매일 쓰는 단어들 가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