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어 쓴 기초영문법
-
[2.28] 불완전타동사풀어 쓴 기초영문법/06 동사, 시제변화를 한다(4/4) 2012. 7. 6. 13:25
타동사도 자동사처럼 두 종류가 있습니다. 완전타동사와 불완전타동사입니다. 완전타동사는 뒤에 목적어만 나오면 되는 동사입니다. 이와 달리 불완전타동사는 목적어만으로 부족합니다. 그 부족함을 메워주는 보어가 있어야 합니다. 자동사든 타동사든 보어를 필요로 한다면 앞에 ‘불완전’이란 말이 붙습니다. She made1) me happy. 그녀는 나를 행복하게 만들었다.2) 끝의 happy(행복하게)가 없다면 이 문장은 “그녀는 나를 만들었다.”가 됩니다. 그녀가 신이고 내가 그녀의 창조물이라면 이 문장은 맞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일상의 상황, 즉 그녀가 신이 아니라면 이 문장은 이상한 뜻이 되고 맙니다. 그래서 그녀가 나를 ‘어떠어떠하게’ 만들었는지 설명해 주는 말이 있어야 합니다. 그녀는 나를 의사로 만들..
-
[2.29] 두 개 이상의 단어가 모여 이루어진 동사, 구동사풀어 쓴 기초영문법/06 동사, 시제변화를 한다(4/4) 2012. 7. 6. 13:20
영어의 동사 가운데는 다른 단어와 함께 쓰여 새로운 뜻을 갖게 되는 것들이 있습니다. 우리말에서 ‘먹다’가 ‘버리다’와 붙어 ‘먹어 버리다’가 되는 것과 비슷합니다. ‘먹다’도 ‘버리다’도 아닌 또 다른 뜻의 낱말이 됩니다. sit down 앉다 앉아 있는 상태를 말하는 동사 sit와 ‘아래로’란 뜻의 부사1) down이 합쳐져서 자리에 앉는 동작을 강조하는 새로운 뜻의 동사가 되었습니다. 이렇게 동사와 다른 낱말이 합쳐져서 만들어지는 동사를 구동사2)라고 합니다. ‘구’로 된 동사라는 뜻인데, ‘구’란 여러 개의 낱말이 한 덩어리로 뭉쳐 의미를 가지게 된 것입니다.3) 구동사는 낱말들을 따로 뜯어보는 것만으로는 뜻을 짐작하기 힘듭니다. come by 들르다, 얻다 ‘오다’란 뜻의 동사 come과 ‘옆으..
-
[2.30] 구동사는 이렇게 만들어진다풀어 쓴 기초영문법/06 동사, 시제변화를 한다(4/4) 2012. 7. 6. 13:15
구동사의 앞부분은 대개 짧고 간단한 동사입니다. 영어를 배울 때 기본 단어로 외우게 되는 동사들입니다. be 있다 come 오다 do 하다 get 얻다, give 주다 go 가다 …… 뒤에 따라 나오는 낱말들1)도 아주 쉬운 것들이 대부분입니다. 짧고 간단한 부사나 전치사들로 주로 위치나 방향을 나타내는 것들이 많습니다. along ~을 따라, 한참 down ~ 아래로, 아래로 in ~안에, 안으로 off ~에서 떨어져, 떨어져, on ~위에, 위로 over ~위로, 넘어, 위에서 under ~아래, 아래에 up ~위로, 위로 …… 간단하고 쉬운 말들을 결합해 만든 것이 구동사이기 때문에 영어가 모국어인 사람들은 즐겨 사용합니다. 자기들끼리는 이게 더 쉬운 말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영어를 외..
-
[2.31] 구동사에서 중요한 것풀어 쓴 기초영문법/06 동사, 시제변화를 한다(4/4) 2012. 7. 6. 13:10
영어에는 구동사가 아주 많습니다. 동사 하나에 이러 저런 부사나 전치사를 붙여 꽤나 많은 구동사를 만들어냅니다. 구동사만 따로 모은 ‘구동사 사전’1)이 있을 정도이지요. 부피가 좀 되는 사전에는 약 6천개 정도가 실려 있다고 합니다. 모두 외워야 하는 것은 아니니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구동사 사전을 반드시 살 필요도 없습니다. 영어에 관심에 있어 깊이 공부하려는 사람이 아니라면 보통 사전으로도 충분합니다. 공부하다가 그때그때 만나는 것들을 하나하나 알아나가면 됩니다. 급한 마음에 한꺼번에 많이 외워두고 싶다면 참고서나 학습서를 봐도 됩니다. 꼭 외워야 할 구동사 정도는 정리해 놓고 있습니다. 구동사가 어려운 이유는 그 수 때문만이 아닙니다. 문법적으로 까다로운 부분이 있습니다. 목적어와 함께 쓸 때..
-
[2.32] [총정리] 꼭 기억해두자!!풀어 쓴 기초영문법/06 동사, 시제변화를 한다(4/4) 2012. 7. 6. 13:05
동사는 영어에서 가장 까다롭고 어려운 부분입니다. 영어의 반은 동사라는 사람도 있고, 전부라는 사람도 있습니다. 일리가 있는 말입니다. 영어는 동사 없이 문장이 만들어지지 않습니다. 동사는 영어의 기둥입니다. 동사의 변화에 따라 문장도 달라지고 뜻도 달라집니다. 이해가 될 때까지 철저히 반복해 공부해야 합니다. 그러면 영어공부가 점차 쉬워집니다. 동사에는 시제가 있다. 동사에 시제가 있다는 사실이 특히 중요합니다. 명사가 수와 성과 격을 갖는 말이라면, 동사는 시제를 갖는 말입니다. 원형, 과거형, 과거완료형 시제를 공부하기에 앞서 알아두어야 할 것은 동사의 세 가지 변화형입니다. 이 세 가지는 사전에도 뜻풀이 앞서 나올 정도로 중요합니다. 동사형에 따라 문장의 모양, 즉 문형이 결정된다. DNA가 생물..
-
[2.33] [좀 더 깊게] 동사형과 문장의 5형식풀어 쓴 기초영문법/06 동사, 시제변화를 한다(4/4) 2012. 7. 6. 13:00
앞서 다섯 가지 종류의 동사형에 대해 배웠습니다. 영어의 모든 동사는 반드시 이 중 하나에 속합니다. 완전자동사 완전타동사 목적어가 두 개인 동사(수여동사) 불완전자동사 불완전타동사 다섯 종류의 동사가 있다는 것은 이에 따라 만들어지는 문장의 형식 또한 다섯 가지라는 뜻입니다. 동사형이 문장의 모양, 즉 형식을 결정하기 때문에 문장의 형식 또한 그 수만큼 존재합니다. 문법에서는 이들 다섯 가지 종류의 문장 형식을 ‘문장의 5형식’이라고 합니다. 영어의 문장은 이 다섯 가지 형식 중 하나에 속합니다. 무척 많은 종류의 문장이 있을 것 같지만, 모두 이 가운데 하나에 속할 수 있다는 것이 신기할 정도입니다. 영어를 배우는 입장에서는 아주 다행한 일입니다. 동사의 종류만큼 문장의 종류가 있다고 생각하면 동사 ..
-
[1.00] 명사란?풀어 쓴 기초영문법/01 명사, 복수형과 격이 있다(1/2) 2012. 7. 5. 23:50
명사는 이름 명(名) 말 사(詞)로 이름하는 말1)이란 뜻입니다. 이름에는 여러 종류가 있습다. ‘태희’, ‘병헌’와 같이 사람 이름도 있고, ‘설악산’, ‘한라산’, ‘종로’, ‘서울’처럼 장소의 이름도 있습니다. 세상에 하나밖에 없는 고유한 것들을 가리킨다 해서 고유명사라 부릅니다. Paul 폴(남자이름) Jisu 지수 Seoul 서울 New York 뉴욕 China 중국2) 지수란 이름의 사람이 많이 있은데 이를 고유명사라 할 수 있을까? 그래도 그 하나하나의 지수는 이 세상에 하나밖에 없습니다. 온 세상을 다 뒤져도 완전히 똑같은 또다른 지수를 찾지는 못합니다. 똑같은 여명의 지수는 있을 수 없습니다. 누구에게나 개성이란 게 있으니까 각 사람은 고유힙니다. 고유명사란 바로 그러한 것에 붙이는 이름..
-
[1.01] [좀 더 넓게] 이름을 영어로 써 보자풀어 쓴 기초영문법/01 명사, 복수형과 격이 있다(1/2) 2012. 7. 5. 23:40
명사 중 가장 중요한 것은 뭐니 뭐니 해도 나 자신의 이름입니다. 세상에서 가장 소중한 존재인 나를 가리키는 말이면서,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가장 많이 듣고 써야 하는 게 바로 자신의 이름이지요. 영어를 배울 때 가장 먼저 알아두어야 할 것도 바로 자신의 이름입니다. 자기 이름조차 제대로 쓰지 못하면서 영어를 잘 하길 바라는 건 부끄러운 일입니다. 성과 이름, 이렇게 딱 두 부분으로 된 우리 이름과 달리 영어식 이름은 세 부분으로 이루어 집니다. John Fitzgerald Kennedy1) 존피츠제럴드 케네디 John처럼 제일 앞에 나오는 이름을 first name2)이라고 합니다. ‘첫 번째 이름’이란 뜻인데, 가장 앞에 나오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었습니다. 그 뒤의 Fitzgerald처럼 중간에 ..
-
[1.02] 명사에는 '수'가 있다풀어 쓴 기초영문법/01 명사, 복수형과 격이 있다(1/2) 2012. 7. 5. 23:30
명사에는 다른 품사들에 없는 여러 특징들이 있습니다. 그 중 가장 중요한 것이 '수'입니다. 하나, 둘, 셋, 넷…… 하며 세어나가는 바로 그 수를 말합니다. 수라면 갑자기 골치가 아파지는 사람도 있지만 그럴 필요는 없습니다. 하나를 나타내는 단수와 하나 이상 모두를 말하는 복수, 이렇게 두 가지밖에 없습니다.1) 영어에서는 수의 구별이 매우 중요합니다. 명사가 가리키는 게 단수인지 복수인지 반드시 나타내 주어야 합니이다. 숲에 나무가 많다. 숲에 나무들이 많다. 우리말에서는 이 둘 모두 맞는 문장입니다. 아니 사실은 위의 짧은 문장이 더 좋게 느껴지기까지 합니다. 하지만 영어라면 위의 문장은 틀렸습니다. 나무가 ‘많다’고 했으니 ‘나무’가 아니라 ‘나무들’이라고 해야 합니다. There are many..
-
[1.03] 규칙변화와 불규칙변화풀어 쓴 기초영문법/01 명사, 복수형과 격이 있다(1/2) 2012. 7. 5. 23:20
영어는 복수형을 쓰는 게 선택이 아니라 필수입니다. 명사가 가리키는 게 두 개 이상이 분명하다면 반드시 단수형 대신 복수형으로 만들어 써야 합니다. pencils 연필들 girls 소녀들 cars 차들 houses 집들 영어의 복수형 명사는 대부분 이처럼 -s나 -es로 끝이 납니다. 이런 것을 규칙변화라고 합니다. men 남자들 하지만 -s나 -es가 붙지 않는 복수형도 있습니다. 불규칙변화입니다. men의 경우 단수형은 man이지만 복수형은 가운데 a가 e로 바뀐 men입니다. 명사의 복수형을 공부할 때는 규칙변화에 대해 먼저 알아야 합니다. 대부분의 명사들이 규칙변화를 합니다. 불규칙변화는 말 그대로 규칙이 없기 때문에 어느 명사가 불규칙변화를 하는지, 또 그게 어떻게 변하는지 알 수가 없습니다. ..
-
[1.04] 셀 수 있는 명사, 셀 수 없는 명사풀어 쓴 기초영문법/01 명사, 복수형과 격이 있다(1/2) 2012. 7. 5. 23:15
단수형의 명사를 복수형으로 바꾸려면 먼저 복수형을 만들 수 있는 명사인지부터 알아야 합니다. 문법에서는 복수형을 만들 수 있는 명사를 ‘셀 수 있는 명사’라 하고, 복수형을 만들 수 없는 명사를 ‘셀 수 없는 명사’라 고 합니다.1) 셀 수 있는 명사가 가리키는 것들은 대부분 하나, 둘, 셋 하는 식으로 쉽게 구별해 셀 수 있는 것들입니다. 눈으로 보기에도 하나하나 딱딱 나누어져 있는 것들이지요. 주로 쪼개거나 나누면 원래의 가치를 잃게 되는 것들입니다. apple 사과 bag 가방 cup 컵2) 셀 수 없는 명사가 가리키는 것들은 하나씩 나누어 세기 힘들거나, 아예 그럴 수조차 없는 게 많습니다. 셀 수 없으니까 당연히 하나인지 여럿인지 분간할 수 없고, 당연히 복수형도 없습니다. water 물 air..
-
[1.05] 복수형을 만드는 규칙(규칙변화)풀어 쓴 기초영문법/01 명사, 복수형과 격이 있다(1/2) 2012. 7. 5. 23:10
셀 수 있는 명사는 다음과 같은 규칙에 따라 -s나 -es를 붙이면 복수형이 됩니다. 단, 규칙변화를 하는 명사여야 합니다. (1) -s를 붙여 만드는 경우 다음 (2), (3)의 경우에 해당하지 않으면 단수형 뒤에 -s를 붙여 복수형을 만듭니다. leg 다리 → legs bell 종 → bells pet 애완동물 → pets (2) es를 붙여 만드는 경우 달랑 -s만을 붙였을 때 좀 이상해지는 단어들에는 -es를 붙입니다. 그런데 여기서 이상해진다는 건 우리들 눈에 그렇다는 게 아니라 영어를 쓰는 사람들 눈에 그렇다는 것입니다. 그러니 처음에는 그냥 외우는 게 답입니다. ■ -s로 끝나는 명사 class 수업 → classes ■ -x로 끝나는 명사 box 상자 → boxes ■ -ch로 끝나는 명사..
-
[1.06] [좀 더 넓게] 규칙변화의 발음풀어 쓴 기초영문법/01 명사, 복수형과 격이 있다(1/2) 2012. 7. 5. 23:07
영어의 알파벳은 한 글자에서 한 소리만 나지 않습니다. 복수형을 만드는 -s나 -es도 마찬가지입니다. 앞에 어떤 소리가 나오느냐에 따라 [s]나 [z] 또는 [iz]의 세 가지 소리가 가능합니다. 발음을 편하게 하기 위한 것이지만 배우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하나하나 공부해야 합니다. 다행인 건 규칙이 있다는 것입니다. ① [s 쓰]로 발음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소리로 끝나는 명사의 복수형은 s를 [s]로 발음합니다. 한글로 ‘쓰’쯤에 해당합니다. [f], [p], [k], [t], [ɵ] 한글로 적자면 ㅍ1), ㅌ, ㅋ, ㄸ2)쯤에 해당하는 거친 소리들입니다.3) 그런데 이를 뒤따르는 소리도 이런 소리를 닮게 됩니다. 그래야 발음이 편하기 때문이지요. chiefs 우두머리 taps 꼭지 pants
-
[1.07] 규칙을 벗어난 복수형(불규칙변화)풀어 쓴 기초영문법/01 명사, 복수형과 격이 있다(1/2) 2012. 7. 5. 23:00
뒤에 -s나 -es를 붙여 복수형을 만드는 것을 규칙변화라 한다면, 그 외의 방법으로 복수형을 만드는 것은 불규칙변화라 합니다. 단어 하나하나 일일이 공부해야 하지만 그렇다고 크게 부담 가질 필요는 없습니다. 불규칙변화가 그리 많지는 않습니다. 게다가 나름대로 규칙이 있어서 그걸 깨우쳐 나가는 재미도 쏠쏠합니다. 문법책 같은 곳에 이런 것들을 모아 정리해 놓은 것이 있습니다. 그 정도로 알아두면 충분합니다. (1) 단수형과 복수형이 똑같은 것들 fish 물고기 sheep 양 deer 사슴 Chinese 중국사람 이것들은 분명 셀 수 있는 명사라서 단수형과 복수형이 있으며, 그 둘이 똑같은 것입니다. 물고기 한 마리도 fish, 여러 마리도 fish입니다. (2) 단어 중간의 모음이 변하는 것들 feet(..
-
[1.08] 복수형만 있는 것, 복수형처럼 생긴 것풀어 쓴 기초영문법/01 명사, 복수형과 격이 있다(1/2) 2012. 7. 5. 22:55
명사에는 복수형과 단수형이 있고, 거기에 규칙변화와 불규칙변화가 있다는 것까지 알았습니다. 명사의 수에 관해 중요한 것은 거의 다 안 셈입니다. 그런데 언어를 공부하다 보면 다 안다고 생각한 순간 생각지 못한 것들이 불쑥불쑥 튀어나와 당황스러울 때가 있습니다. 그런 것들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1) 단수형 없이 그냥 복수의 의미를 갖는 것 뒤에 -s가 붙지 않아 복수형이라 하지 않는데도 복수의 뜻을 가집니다. 대표적인 게 people입니다. 그 자체로 ‘사람들’이란 뜻이고 복수로 취급합니다.1) cattle 소들 swine 돼지들 vermin 해충들2)…… (2) 복수형처럼 보이지만 단수로 취급하는 것 -s가 붙어 있어서 복수형처럼 보이지만 단수로 취급합니다. news가 대표적입니다. ■ 게임 이름 bi..
-
[1.09] 수를 정해 주어야 하는 명사도 있다풀어 쓴 기초영문법/01 명사, 복수형과 격이 있다(1/2) 2012. 7. 5. 22:50
명사의 수가 특히 문제되는 건 문장을 만들 때입니다. 주어로 쓰인 명사가 단수냐 복수냐에 따라 뒤에 붙는 동사가 변합니다. 문장을 만들 때 주어가 되는 명사가 단수인지 복수인지 분명히 해 두어야 합니다. 보통의 셀 수 있는 명사라면 간단합니다. 단수형이면 단수형에 맞는 단수 동사를, 복수형이면 복수형에 맞는 복수 동사를 쓰면 된다. 셀 수 없는 명사는 약간 복잡하지만 그래도 별 문제가 없습니다. 홀로 쓰일 때라면 단수로 여겨서 그에 맞는 동사를 붙이면 됩니다. Water is a clear liquid. 물은 투명한 액체다. 셀 수 없는 명사인 water가 단독으로 쓰였기 때문에 단수로 취급해서 동사 is가 왔습니다. is는 앞의 명사가 단수일 때만 쓸 수 있는 동사입니다. 때론 셀 수 없는 명사가 단위..
-
[1.10] [좀 더 넓게] 명사의 양을 나타내기풀어 쓴 기초영문법/02 명사, 복수형과 격이 있다(2/2) 2012. 7. 5. 22:45
셀 수 있는 명사의 양을 나타내는 방법은 쉽습니다. one, two, three…… 같이 개수를 나타내는 말을 앞에 붙입니다. 둘을 넘으면 명사를 복수형으로 바꿔줍니다. one apple 사과 하나 two apples 사과 둘 three apples 사과 셋 셀 수 없는 명사라고 해서 양이 없는 건 아닙니다. '물’은 셀 수 없는 명사지만 분명 많고 적음이 있습니다. 하지만 개수를 나타내는 말을 앞에 붙일 수 없습니다. 이때 단위를 나타내는 말을 사용합니다. ‘물 하나’, ‘물 둘’ 하지 않고, ‘병’같은 단위를 붙여 ‘물 한 병’, ‘물 두 병’하는 식으로 말합니다. a bottle of water1) 물 한 병 two bottles of water 물 두 병 명사에 따라 단위도 달라집니다. sugar..
-
[1.11] 명사에는 '격'이 있다풀어 쓴 기초영문법/02 명사, 복수형과 격이 있다(2/2) 2012. 7. 5. 22:42
무슨 역할을 하든 그 역할에 맞는 자격을 갖춘 사람이 하는 게 좋습니다. 마땅한 자격을 가진 사람이 그에 맞는 역할을 맡게 되면 어쩐지 믿음이 생깁니다. 사람을 치료하려면 의사 자격을, 법정에서 남을 변호하려면 변호사 자격이 있어야 합니다. 자격이라는 게 꼭 사람에게만 있는 건 아닙니다. 명사도 문장 속에서 여러 가지 자격을 가집니다. 이것을 격1)이라고 합니다. 아기가 밥을 먹는다. ‘아기’와 ‘밥’이라는 두 개의 명사가 나오지만 각각 다른 역할을 합니다. 첫 번째 명사인 ‘아기’는 주어입니다. 주어란 문장의 주인이 되는 말입니다. 문장에서 동작을 하고 있는 게 무엇인지 나타냅니다. 위의 문장에서 ‘먹는다’는 동작을 하는 것은 바로 ‘아기’이고, 따라서 주어입니다. 여기서 ‘아기’가 주어가 될 수 있는..
-
[1.12] 명사는 소유격으로 쓰일 때만 변한다풀어 쓴 기초영문법/02 명사, 복수형과 격이 있다(2/2) 2012. 7. 5. 22:41
우리말에서 명사가 격을 가지려면 격조사1)라는 하는 것의 도움을 받습니다. 주어의 자격을 가지려면 ‘-이’나 ‘-가’과 같은 격조사가, 목적어의 자격을 가지려면 ‘-을’이나 ‘-를’과 같은 격조사가 함께 쓰입니다. 영어는 격조사가 없어서 다른 방법을 사용합니다. 명사의 모양을 바꾸는 방법입니다. 격변화라고 합니다. 우리말은 격조사가 붙어 격을 나타낸다면, 영어는 격변화를 해서 격을 나타냅니다. 다른 서양말에 비해 영어의 명사는 격변화가 극히 단순합니다. 주격과 목적격이 따로 없습니다. 문장에서의 위치에 따라 격이 바뀌기 때문입니다. Jinsu drives a car. 진수가 차를 몬다. Jinsu(진수)가 주어고, a car(차)가 목적어이다. Jinsu가 주어인 이유는 동사2) drive(몰다)앞에 놓..
-
[1.13] 소유격 만드는 법풀어 쓴 기초영문법/02 명사, 복수형과 격이 있다(2/2) 2012. 7. 5. 22:40
명사의 뒤에 -’s이 붙으면 소유격이 되지만 그걸 아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몇 가지 더 알고 있어야 할 것이 있습니다. (1) -s로 끝난 복수형의 명사일 경우 생략기호(’)만 붙입니다. girls' rings 소녀들의 반지 (2) -s로 끝난 고유명사일 경우 고유명사의 경우는 -s가 겹치더라도 -’s를 그대로 붙입니다. Gus's book 거스의 책 Jones's car 존스의 차 예외적으로 그냥 생략기호(’)만 붙일 때도 있습니다. 유명한 사람일 경우가 많고 일반적으로는 이런 방법을 쓰지 않습니다. Socrates' death 소크라테스의 죽음 Columbus' discovery of America 컬럼버스의 미국 발견 Archimedes' Principle 아르키메데스의 원리 (3) 무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