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어 쓴 기초영문법
-
[2.08] 단순형풀어 쓴 기초영문법/03 동사, 시제변화를 한다(1/4) 2012. 7. 6. 15:15
말 그대로 현재, 과거, 미래를 단순하게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현재는 ‘~한다’로, 과거는 ‘~했다’로, 미래는 ‘~할 것이다’로 새길 수 있습니다. (1) 단순현재 동사의 현재형을 사용합니다. 영어는 be동사를 제외한 모든 동사가 동사의 원형(RV)을 현재형으로 사용합니다. I eat. 나는 먹는다. 여기서 동사 eat는 원형처럼 보이지만 실은 현재형입니다. 원형이 문장의 주어 뒤에서 단독으로 쓰이면 단순현재시제를 나타냅니다. 그런데 현재형이 원형과 다를 때도 있습니다. 주어가 3인칭 단수일 때입니다. 3인칭이란 I(나)도 you(너)도 아닌 모든 것이고, 단수는 하나임을 뜻합니다. He eats. 그는 먹는다. He는 I도 아니고, you도 아니니까 3인칭입니다. 또 ‘그’란 한 사람을 가르키기 때문..
-
[2.09] 동사의 3인칭 단수 현재형 만들기풀어 쓴 기초영문법/04 동사, 시제변화를 한다(2/4) 2012. 7. 6. 15:05
주어가 3인칭 단수일 때 동사의 원형에 -s나 -es를 붙여 현재형으로 사용한다고 했습니다. 이것을 동사의 ‘3인칭 단수 현재형’이라고 합니다. 대부분은 동사의 원형 뒤에 -s를 붙이는 것으로 만들어집니다. walk 걷다 → walks run 달리다 → runs hit 때리다 → hits -es를 붙이는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명사의 복수형을 만들 때도 -s 대신 -es를 붙이는 경우가 있었는데 그와 똑같습니다. 원형이 -o로 끝나거나 한글의 ㅅ과 관계있는 소리로 끝날 때입니다. ■ -o로 끝나는 경우 do 하다 → does ■ -s로 끝나는 경우 miss 놓치다 → misses ■ -x로 끝나는 경우 mix 섞다 → mixes ■ -ch로 끝나는 경우 catch 잡다 → catches ■ -sh로 끝나..
-
[2.10] [좀 더 넓게] 3인칭 단수 현재형의 발음풀어 쓴 기초영문법/04 동사, 시제변화를 한다(2/4) 2012. 7. 6. 15:00
동사의 뒤에 붙은 -s와 -es를 발음하는 방법은 명사의 복수형에 붙은 -s와 -es를 발음하는 방법과 같습니다. ① [s 쓰]로 발음하는 경우 원형이 [f], [p], [k], [t]와 같은 소리로 끝나면 [s]로 발음합니다. puffs 훅 불다 keeps 떨어뜨리다 lets 시키다 kicks 발로 차다 ② [z 즈]로 발음하는 경우 원형이 [b], [d], [g], [l], [m], [n], [ɳ], [v] 등의 소리로 끝나거나 모음, , 로 끝나면 [z]로 발음합니다. grabs 잡다 leads 이끌다 digs 파다 feel 느끼다 dreams 꿈꾸다 learns 배우다 sing 노래하다 loves 사랑하다 sees 보다 grows 자라다 masters 정복하다 예외가 하나 있습니다. says는 [..
-
[2.11] 진행형풀어 쓴 기초영문법/04 동사, 시제변화를 한다(2/4) 2012. 7. 6. 14:55
우리말의 ‘~하는 중이다’, ‘~하고 있다’ 정도로 새겨지는 시제 표현 방법입니다. be+V-ing(현재분사1)) 현재분사는 동사의 원형에 -ing를 붙인 것입니다. 원형이 어떻게 끝나느냐에 따라 ing를 붙이는 방법이 약간씩 달라지지만 공부하기는 쉽습니다. ed를 붙여 과거분사형을 만드는 방법과 비슷합니다. 단, 과거분사와 달리 모두 규칙변화입니다. 잘 봐야 하는 것은 be동사의 시제입니다. be동사의 시제가 진행형 전체의 시제를 나타냅니다. be동사가 현재면 현재진행, 과거면 과거진행, 미래면 미래진행이 됩니다. (1) 현재진행 be동사 부분이 현재형입니다. 현재진행 = am/are/is+V-ing 기본적으로 지금 현재 일어나고 있는 일을 말할 때 사용합니다. 우리말로는 ‘~하고 있다’, ‘~하는 중..
-
[2.12] [좀 더 넓게] 현재분사 만들기풀어 쓴 기초영문법/04 동사, 시제변화를 한다(2/4) 2012. 7. 6. 14:50
동사의 원형에 -ing를 붙이면 현재분사가 되지만, 원형이 어떻게 끝나느냐에 따라 방법이 조금씩 달라집니다. 현재분사는 여기저기 쓰임이 많으니 만드는 법을 잘 익혀두어야 합니다. ① 대부분의 동사는 뒤에 -ing만 붙인다 drink 마시다 → drinking carry 나르다 → carrying ② 원형이 e로 끝난 동사일 경우, e를 떼고 -ing를 붙인다 뒤에 붙은 e가 실제로 소리가 나지 않기 때문입니다.1) 소리도 나지 않는 모음 e에 다시 모음 i까지 붙일 필요는 없습니다. come 오다 → coming have 가지다 → having 하지만 ee처럼 e가 두 개 겹칠 때는 다릅니다. e가 두 개 겹친 ee는 소리가 나는 글자입니다. 그래서 그대로 놔둔 채 -ing를 붙입니다. see 보다 → ..
-
[2.13] [좀 더 넓게] 현재분사의 발음풀어 쓴 기초영문법/04 동사, 시제변화를 한다(2/4) 2012. 7. 6. 14:45
현재분사의 발음은 아주 간단합니다. 기본형 뒤에 간단히 [iɳ 잉] 만 붙여 읽으면 됩니다. 첫째, 둘째, 셋째…… 하는 식의 복잡한 규칙은 없습니다. 빨리 발음할 때는 [in 인]처럼 들리는 경우도 있지만, 그건 정상적인 발음이 아니니 따라할 필요는 없습니다. -ing를 때로는 그렇게도 발음한다는 것만 알고 있으면 됩니다. ⓒinsightonweb.com 김유철(분당 정자동 인사이트영어학원 031-717-1957)
-
[2.14] 완료형풀어 쓴 기초영문법/04 동사, 시제변화를 한다(2/4) 2012. 7. 6. 14:40
have동사와 과거분사를 함께 쓰면 완료형이 됩니다. have동사의 시제에 따라 현재완료, 과거완료, 미래완료로 구분됩니다. have+p.p.(과거분사) 완료형은 단순현재, 과거, 진행형과 달리 딱히 뭐라 말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한 가지 형태가 완료, 경험, 계속, 결과의 네 가지 뜻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여기서는 일단, 어떤 일이 마침 완료되었거나 지금까지 계속되고 있음을 나타낸다는 정도로 알고 시작합시다. 완료형라 해서 ‘완료’만을 뜻하는 건 아니므로 명칭에 속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1) 현재완료 have동사 부분이 현재형입니다. 현재완료 = have/has1)+p.p. 뒤쪽의 과거분사는 ‘과거’와, 앞쪽의 have동사는 현재와 관계가 있다고 합니다. 한 동사 안에 과거와 현재가 동시에 들어 있..
-
[2.15] 완료진행형풀어 쓴 기초영문법/04 동사, 시제변화를 한다(2/4) 2012. 7. 6. 14:35
완료형과 진행형이 합쳐진 것이 완료진행형입니다. 완료형 have+been+V-ing(현재분사) 진행형 앞부분의 이 완료형임을 나타냅니다. been이 be의 과거분사(p.p.)이므로 의 형태입니다. 반면, 뒷부분의 는 진행형입니다. 의 형태라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완료진행형'란 명칭을 보면 ‘완료’란 말과 ‘진행’이란 말은 서로 모순되는 것 같습니다. 완료란 일을 마쳤다는 뜻이고, 진행이란 일을 계속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완료된 일을 계속 진행한다는 것도 모순이고, 진행되는 일을 완료됐다고 하는 것도 모순입니다. 그럼에도 이런 이름을 갖게 된 것은 완료형과 진행형이 합쳐진 모양 때문입니다. 생김새를 보고 붙인 이름입니다. 간단히 완료형과 비슷하다고 생각하며녀 됩니다. 어떤 일이 방금 끝났거나 아직도 계..
-
[2.16] [좀 더 넓게] 동사의 시제 정리풀어 쓴 기초영문법/04 동사, 시제변화를 한다(2/4) 2012. 7. 6. 14:30
12가지 종류의 시제를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표를 잘 보면 언어에도 규칙과 질서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문법을 공부하면 언어의 질서를 배우게 되고, 품위 있는 말을 쓸 수 있게 됩다. 관심을 갖고 시간이 있을 때마다 조금씩 문법을 공부해 두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그 어떤 지식보다도 요긴할 때가 있습니다. 현재 주로 현재 벌어지는 일을 말한다. 과거 주로 과거의 일을 말한다. 미래 주로 미래의 일을 말한다. 단순형 가장 단순한 시제표현으로 ‘~하다’의 뜻이다. 단순현재 단순과거 단순미래 진행형 무언가가 진행되고 있음을 나타내며, ‘~하고 있다’, '~하는 중이다’의 뜻이다. 현재진행 과거진행 미래진행 완료형 이전에 시작된 일이 막 완료되었거나 계속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현재완료..
-
[2.17] [좀 더 넓게] 시제를 표현하는 또 다른 방법들풀어 쓴 기초영문법/05 동사, 시제변화를 한다(3/4) 2012. 7. 6. 14:25
이제까지 동사를 변화시켜 시제를 표현하는 방법에 대해 공부했습니다. 하나의 동사로 열두 가지 시제를 표현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밖에도 다른 방법으로 시제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쓰기에 편하거나 독특한 뜻을 가지거나 해서 접할 일이 많으니 꼭 기억해 줍시다. (1) be going to RV to 다음에 동사의 원형1)이 나옵니다. ‘~할 것이다’, ‘~할 예정이다’, '~할 생각이다’ 등의 뜻을 가집니다. I am going to play cards. 나는 카드놀이를 할 것이다. to 다음에 go나 come과 같은 동사를 쓰면 아주 어색해지니 주의해야 합니다. be going to go be going to come 위의 것은 go란 단어가 두 번 반복되고, 아래의 것은 go란 단어와 함께 그와 반..
-
[2.18] [좀 더 깊게] 동사형, 문장의 DNA풀어 쓴 기초영문법/05 동사, 시제변화를 한다(3/4) 2012. 7. 6. 14:20
모든 생명체에는 DNA라는 것이 있습니다. 생명체 하나하나가 각각 독특한 것은 DNA가 모두 다르기 때문입니다. DNA가 생명체의 모양과 성질을 결정합니다. 영어의 문장에도 문장의 모양, 즉 문형을 결정하는 DNA가 있습니다. 동사형1)이라고 합니다. 비슷하거나 또는 같은 뜻의 동사라 하더라도 동사형이 다르면 다른 종류의 문장이 만들어집니다. ‘주다’라는 뜻의 동사 give와 ‘공급하다’라는 뜻의 동사 supply는 서로 비슷한 뜻입니다. 우리말로 하면 둘 다 ‘~에게 ...을 --하다’라는 형식으로 쓰일 수 있습니다. 우리말에서는 둘의 동사형이 같기 때문입니다. 나는 그에게 사과를 준다. 나는 그에게 음식을 공급한다. 하지만 영어에서는 둘의 동사형이 달라서 문장의 모양도 달라집낟. I give him ..
-
[2.19] [좀 더 깊게] 문장에서 동사형을 찾아보자풀어 쓴 기초영문법/05 동사, 시제변화를 한다(3/4) 2012. 7. 6. 14:15
영어 공부는 문장의 뜻을 아는 것으로 끝나지 않습니다. 문장이 우리에게 전해주려는 건 뜻이니까 우선 그 뜻부터 알아야하겠지만, 영어를 배우려는 사람이라면 뜻과 함께 알아야 할 게 몇 가지 더 있습니다. 그중 특히 관심을 갖고 봐야 할 게 바로 동사의 쓰임입니다. I bought her a book. 나는 그녀에게 책 한 권을 사 주었다. bought가 동사 buy(사주다)의 과거형이라는 것과 함께 이 문장의 뜻을 알았다면, 이제 buy라는 동사의 쓰임에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buy를 써서 ‘~에게 ...을 사 주다’라는 뜻의 문장을 만들 수 있으며, 이때 뒤에 ‘~에게’와 ‘...을’에 해당하는 말을 연달아 붙여주면 된다는 사실입니다. 바로 her(그녀에게)와 a book(책 한권)입니다. I boug..
-
[2.20] [좀 더 깊게] 사전에서 동사형 찾기풀어 쓴 기초영문법/05 동사, 시제변화를 한다(3/4) 2012. 7. 6. 14:10
문장을 접해 가면서 동사형을 하나씩 익혀 나가는 것이 가장 좋겠지만,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동사형을 공부하려면 사전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빠릅니다. 사전에는 단어의 뜻뿐 아니라 그 쓰임까지 상세히 나와 있습니다. 게다가 동사형은 매우 중요한 것이어서 사전마다 나름대로의 방법을 가지고 표시해 줍니다. 특히 학습용 사전1)으로 나온 것들이 동사형을 공부하기에 제일 좋습니다. 동사형을 잘 표시해 놓은 걸 자랑으로 삼는 것도 있습니다. 많이 사용하는 영한사전에서 동사형을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 살펴봅시다. 《엣센스 영한사전》2)의 경우입니다. 동사형이 잘 나와 있는 사전이지요. 이 사전에서 buy란 동사를 찾으면, 이 동사의 과거형과 과거분사형은 bought라는 표시가 제일 먼저 나옵니다. 그리..
-
[2.21] [좀 더 깊게] 동사형이 잘 나온 사전풀어 쓴 기초영문법/05 동사, 시제변화를 한다(3/4) 2012. 7. 6. 14:05
영영사전들 중에는 특히 동사형이 잘 표시된 것들이 많습니다. 영영사전에 도전해 보고 싶은 사람을 위해 그중 대표적인 것 하나만 골라 살펴보도록 합니다. 《콜린스 코빌드 러너즈 딕셔너리》1)라는 사전입니다. 보통 ‘코빌드사전’이라고 하지요. 이 사전은 단어의 뜻풀이 오른쪽에 단어와 관련된 중요한 정보를 일종의 코드로 바꿔 싣고 있는데, 특히 동사형에 관한 정보가 잘 나와 있습니다. 이 사전에서 ‘말하다’란 뜻의 동사 say를 찾아봅시다. 이 단어의 첫번째 뜻에 대한 설명이 시작되는 오른쪽 끝에 다섯 개의 까만 마름모(◆◆◆◆◆)가 보입니다. 이 동사가 아주 많이 사용되는 단어란 뜻입니다. 사용 빈도가 낮은 단어는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바로 이 마름모 표시 밑에 동사형이 나옵니다. VERB V..
-
[2.22] 자동사와 타동사풀어 쓴 기초영문법/05 동사, 시제변화를 한다(3/4) 2012. 7. 6. 14:00
좋은 사전보다 더 좋은 문법책은 없지만, 그렇다고 대뜸 사전만 달랑 집어 들고 시작할 수는 없습니다. 미리 어느 정도 문법 지식을 갖고 있지 않다면, 사전을 제대로 활용할 수 없습니다. 최신 성능의 휴대폰을 갖고 있지만 그 사용법을 모르는 것과 같습니다. 문법 지식 없이 사전을 보면 단순히 뜻풀이를 아는 정도에 만족할 수밖에 없습니다. 영어 사전은 문법 용어를 가지고 모든 걸 설명하기 때문입니다. 사전을 잘 활용하려면 기초적인 문법 지식을 미리 갖추어야 합니다. 동사에 대해서는 자동사와 타동사 정도는 기본적으로 구별할 수 있어야 합니다. 동사형을 50가지 정도로 나눌 수 있다고 했지만, 크게 보면 자동사와 타동사 두 가지입니다. 우리말을 통해 자동사와 타동사의 차이점을 알아봅시다. 우리말도 영어와 똑같이..
-
[2.23] 자동사와 타동사 구별하기풀어 쓴 기초영문법/05 동사, 시제변화를 한다(3/4) 2012. 7. 6. 13:55
영어도 우리말과 마찬가지로 목적어의 유무로 자동사와 타동사를 구분합니다. She weeps. 그녀는 운다. He drives a car. 그는 차를 운전한다. 첫째 문장은 주어 She 뒤에 동사(weeps)가 나오고 끝이 났습니다. 동사 뒤에 목적어라 할 만한 게 없기 때문에 자동사입니다. 반면 둘째 문장은 동사(drives) 뒤에 a car가 나오는 데 이것은 목적어입니다. 우리말과 달리 영어의 목적어는 동사의 뒤에 따라 나옵니다. 어쨌든 목적어가 있기 때문에 이때의 동사는 타동사입니다. 문장의 기본 형태만 유지되면 문장이 길어져도 동사의 성질은 변하지 않습니다. 타동사는 그대로 타동사, 자동사는 그대로 자동사로 남습니다. 문장의 세세한 뜻보다 그 기본 골격이 중요합니다. She weeps bitter..
-
[2.24] 같은 동사라도 자동사냐 타동사냐에 따라 뜻이 달라진다풀어 쓴 기초영문법/05 동사, 시제변화를 한다(3/4) 2012. 7. 6. 13:50
동사에는 자동사로만 쓰이는 것, 타동사로만 쓰이는 것, 자동사와 타동사 모두로 쓰이는 것이 있습니다. 또 같은 단어라 해도 자동사냐 타동사냐에 따라 뜻이 달라지는 것도 있지요. A bird flies in the air. 새 한 마리가 하늘을 난다. A boy flies a kite. 한 소년이 연을 날린다. 두 문장에서 모두 flies1)가 동사입니다. 원형은 fly로 같지만, 각각 쓰이는 방법이 다릅니다. 위의 문장에서는 자동사, 아래 문장에서는 타동사입니다. 뜻도 달라져서 하나는 ‘난다’고, 다른 하나는 ‘날리다’입니다. 자동사 타동사 make 만들어지다 만들다 show 나타나다 보여주다 open 열리다 열다 run 달리다 달리게 하다 begin 시작되다 시작하다 turn 돌다 돌리다 자동사일 때와..
-
[2.25] 자동사냐 타동사냐에 따라 동사가 달라진다풀어 쓴 기초영문법/05 동사, 시제변화를 한다(3/4) 2012. 7. 6. 13:45
경우에 따라서는 자동사냐 타동사냐에 따라 다른 동사를 써야 될 때도 있습니다. The curtain rises. 막이 오른다. They raise a curtain. 그들이 막을 올린다. 무언가가 스스로 오를 때 사용하는 동사가 rise입니다. 목적어가 필요 없기 때문에 자동사입니다. 무언가를 올린다고 할 때는 동사 raise를 씁니다. 올려지는 무언가, 즉 목적어가 있어야 하기 때문에 타동사입니다.1) 자동사와 타동사를 바꿔 쓰면 아주 어색한 문장이 되어 버립니다. The curtain raises. X 막이 올린다. (?) They rises a curtain. X 그들이 막을 오른다. (?) 우리말로 옮긴 것을 보면 어색합니다. 영어도 자동사와 타동사를 바꿔 쓰면 비슷한 느낌이 들겠지요. 1) 비슷..
-
[2.26] 목적어가 둘인 동사풀어 쓴 기초영문법/06 동사, 시제변화를 한다(4/4) 2012. 7. 6. 13:35
타동사는 뒤에는 하나의 목적어가 나오는 것이 보통이지만, 동사에 따라서는 두 개의 목적어를 가질 수 있는 것도 있습니다. I give him an apple. 나는 그에게 사과 한 개를 준다. 동사 give 뒤의 him과 an apple이 목적어입니다. 둘 다 동사 뒤에 앞에 전치사도 없이 따라 나왔습니다. 무언가를 주고 받는 일과 관계된 동사에는 이처럼 목적어가 두 개 연달아 나올 수 있는 것들이 있습니다. 수여동사1)라고 합니다. 앞의 목적어는 ‘~에게’라는 뜻이 되고, 뒤의 목적어는 ‘~을’이란 뜻이 됩니다.2) 이런 동사들도 목적어를 한 개만 가질 수 있습니다. 문장은 길어지고 간결한 맛은 없어집니다. I give an apple to him.3) 나는 사과 한 개를 그에게 준다. 동사 give ..
-
[2.27] 불완전자동사풀어 쓴 기초영문법/06 동사, 시제변화를 한다(4/4) 2012. 7. 6. 13:30
자동사에는 완전자동사와 불완전자동사가 있습니다. 자동사란 주어와 동사만으로 문장을 만들 수 있는 동사입니다. 그 점에서 부족함이 없다면 완전자동사입니다. 부족함이 없는, 즉 완전한 자동사란 뜻입니다. 반대로 불완전자동사는 완전한 자동사가 아니란 뜻입니다. 즉, 주어와 동사만으론 뭔가 부족한 동사입니다. 따라서 그 부족함을 채워줄 것이 있어야 합니다. 그게 바로 보어1)입니다. 모자라는 것을 보탠다는 뜻의 보(補)에 말씀 어(語)가 붙어 만들어진 말입니다. He became a doctor. 그는 의사가 되었다. (He=a doctor) 이 문장에서 a doctor(의사)가 빠지면 ‘그는 되었다’가 되어 버립니다. 뭐가 되긴 되었다고 하는데 ‘어떻게’ 또는 ‘무엇이’ 되었는지 설명이 없어 허전합니다. 보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