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어 쓴 기초영문법
-
[3.12] 재귀대명사풀어 쓴 기초영문법/08 대명사, 명사보다 더 명사답다(2/3) 2012. 7. 11. 15:10
재귀대명사는 인칭대명사의 소유격이나 목적격에 ‘자신’이란 뜻의 self가 붙여 만듭니다. 복수에는 selves가 붙습니다. 모두 여덟 개가 있습니다. myself 나 자신 yourself 너 자신 himself 그 자신 herself 그녀 자신 itself 그것 자신 ourselves 우리들 자신 yourselves 너희들 자신 themselves 그들 자신 재귀대명사1)의 ‘재귀’는 ‘다시 돌아온다’는 뜻입니다. 다시 재(再)에 돌아올 귀(歸)입니다. 주어의 동작이 다시 주어에게 돌아오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었습니다. He killed him. 그는 그를 죽였다. ‘그’를 가리키는 말이 두 번 나왔습니다. 하나는 주어로 쓰인 he이고 다른 하나는 목적어로 쓰인 him입니다. 그런데 궁금한 게 있습니다..
-
[3.13] 재귀대명사를 쓸 때 주의할 것풀어 쓴 기초영문법/08 대명사, 명사보다 더 명사답다(2/3) 2012. 7. 11. 15:00
재귀대명사를 쓸 때는 반드시 앞에 짝을 이루는 명사나 대명사가 있어야 합니다. Myself bought it. X 나 자신이 그것을 샀다. (?) 재귀대명사 myself가 생뚱맞게 홀로 쓰였기 때문에 잘못 되었습니다. 앞에 짝을 맞춰줄 대명사(여기서는 I)가 있어야 합니다. I myself bought it.1) 나 자신이 그것을 샀다. 재귀대명사가 목적어로 쓰일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재귀대명사와 짝을 짓는 말이 있어야 합니다. I love myself. 난 나 자신을 사랑한다. myself가 홀로 쓰인 게 아니라 주어 I와 함께 쓰여서 제대로 된 문장입니다. 재귀대명사는 주어를 강조할 수도, 목적어를 강조할 수도 있습니다. 그 자체 아무런 변화도 하지 않기 때문에 그 모양 그대로 유지한 채 적당한 위..
-
[3.14] 재귀대명사가 들어간 관용적 표현들풀어 쓴 기초영문법/08 대명사, 명사보다 더 명사답다(2/3) 2012. 7. 11. 14:50
재귀대명사를 사용하는 독특한 관용적 표현이 많습니다. say to oneself 생각하다, 혼잣말하다 여기서 oneself는 모든 재귀대명사를 대표하는 말입니다. 실제 문장에서는 쓰이지 않습니다. one은 마치 수학의 x와 같아서 적당하게 바꿔주어야 합니다.1) 단, 사람을 가리키는 말이어야 합니다.2) I said to myself. 나는 생각했다. She says to herself. 그녀는 생각한다. He said to himself. 그는 생각했다. 먹는 일과 관련해 많이 쓰이는 표현도 있습니다. help oneself to ~을 마음껏 먹다 help는 보통 ‘돕다’는 뜻이지만 이때는 ‘먹다’란 뜻입니다. 재귀대명사 yourself를 써서 보통 다음과 같이 씁니다. Help yourself to ..
-
[3.15] 지시대명사풀어 쓴 기초영문법/08 대명사, 명사보다 더 명사답다(2/3) 2012. 7. 11. 14:40
무언가를 손가락으로 가리켜 보여주는 것을 ‘지시한다’고 말합니다. ‘지시’라는 한자말도 그런 뜻입니다. 손가락 지(指)1)와 보일 시(示)를 합친 말입니다. 지시대명사도 무언가 손가락으로 가리키는 대명사, 즉 공간상의 무언가를 가리키는 대명사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지시대명사는 거리와 수에 따라 분류됩니다. 거리란 지시하는 것이 멀리 있느냐, 가까이 있느냐를 말합니다. 5미터 이하면 가깝고 그 이상이면 멀다는 식이 아닙니다. 여기냐 저기냐가 기준입니다. 여기 있으면 가깝고, 저기 있으면 먼 것입니다. 어디까지가 여기고, 어디서부터가 저기인지 따질 필요가 없습니다. 편히 말할 때 '여기'와 '저기'가 기준입니다. 거리 수 단수 복수 여기 here this 이것 these 이것들 저기 there that 그것..
-
[3.16] [좀 더 넓게] 지시대명사는 지시형용사다풀어 쓴 기초영문법/09 대명사, 명사보다 더 명사답다(3/3) 2012. 7. 11. 14:35
지시대명사가 그 모양 그대로 명사를 꾸밀 때가 있습니다. 이를 지시형용사라고 합니다. 홀로 쓰이면 지시대명사, 뒤에 명사가 나오면 지시형용사입니다. this coat 이 코트 that coat 저 코트 뒤에 나오는 명사가 복수형일 때는 these나 those를 써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꾸밈을 받는 말이 단수냐 복수냐에 따라 변하는 것이 지시형용사입니다. these coats 이 코트들 those coats 저 코트들 쉬워 보이지만 뜻밖에도 잘못 쓰기 쉽습니다. 우리말에서는 이런 일이 없고, 영어에서도 다른 형용사들은 이렇게 쓰지 않습니다. 복잡하다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그나마 영어는 쉬운 편에 속합니다. 모든 형용사가 뒤에 나오는 명사의 수와 성에 따라 변하는 언어도 있습니다. ⓒinsightonwe..
-
[3.17] 지시대명사에 관해 알아둘 것들풀어 쓴 기초영문법/09 대명사, 명사보다 더 명사답다(3/3) 2012. 7. 11. 14:10
네 개밖에 되지 않지만 정말 자주 쓰이는 것이 지시대명사입니다. 정확히 알고 사용해야 합니다. 다음 세 가지를 꼭 기억해 두는 게 좋습니다. (1) 사람을 가리킬 수도 있다 이 사람, 저 사람, 이 사람들, 저 사람들 등의 뜻으로 쓰입니다. Who is this? 이 사람은 누구입니까? These are my children, Paul and Susan.1) 이들은 우리 아이들 폴과 수잔입니다. (2) 지시형용사로 쓰일 때는 가장 앞에 나온다 지시형용사로 쓰일 때는 명사를 꾸미는 다른 말들보다 앞서 나와야 합니다.2) 우리말에서는 ‘아름다운 그 여자’라 해도 되고, ‘그 아름다운 여자’라고 해도 되지만, 영어에서는 ‘그 아름다운 여자’만 가능합니다. that beautiful woman ○ beautif..
-
[3.18] 부정대명사풀어 쓴 기초영문법/09 대명사, 명사보다 더 명사답다(3/3) 2012. 7. 11. 14:00
분명히 정해지지 않는 막연한 것을 가리킬 때 사용하는 대명사입니다. ‘부정’이란 말이 붙은 것도 바로 그 때문입니다. 1) 아닐 부(不)에 정할 정(定), 즉 정해지지 않았다는 뜻입니다. some, any, no, every 등이 붙어 만들어진 것들2)이 대표적입니다. someone, somebody, something, anyone, anybody, anything, no one3), nobody, nothing, everyone, everybody, everything4) 원래는 형용사나 부사지만 부정대명사의 역할을 하는 것도 있습니다. one, others, another, the other, the others, some, any, each, all, either, neither, many, se..
-
[3.19] 부정대명사의 특징풀어 쓴 기초영문법/09 대명사, 명사보다 더 명사답다(3/3) 2012. 7. 11. 13:50
부정대명사는 종류도 많고 그 쓰임도 까다롭습니다. 다음 몇 가지는 꼭 알아둡시다. (1) 격변화가 단순하다 목적격이 따로 있지는 않지만, 소유격은 있는 것도 있고 없는 것도 있습니다. 소유격은 명사의 소유격처럼 -’s를 붙입니다. one은 one's가 되고, everybody는 everybody's가 됩니다. 소유격이 없는 것도 있습니다. both나 each, all과 같은 것들입니다. both's니 each's니 all's 같이 쓰지 않습니다. 부정대명사가 다양한 단어에서 만들어졌기 때문에 어떤 것이 소유격이 있고, 어떤 것이 없는지 정해진 규칙이 없습니다. 외워야 합니다. 아니, 자연스럽게 익혀야 합니다. 영어를 자주 접하다 보면 저절로 알게 됩니다. (2) 성이 없다 사람이나 사물, 동물들을 막연히..
-
[3.20] 알아두어야 할 부정대명사풀어 쓴 기초영문법/09 대명사, 명사보다 더 명사답다(3/3) 2012. 7. 11. 13:30
뭐든 미리 알고 있으면 자신이 생깁니다. 부정대명사에도 그런 것이 있습니다. 조금이나마 미리 지식을 갖추어 놓으면 새로운 표현에 접해도 주눅 들지 않습니다. (1) one ‘일(1)’, ‘하나’란 뜻뿐 아니라 정해지지 않은 무언가를 가리키는 말로도 쓰입니다. 복수는 ones고 소유격은 one's입니다. 사람, 동물, 사물 어디에나 쓸 수 있습니다. easy one 쉬운 것 하나 easy ones 쉬운 것들 one이 ‘일(1)’이라는 수로 쓰일 때는 앞에는 꾸미는 말이 올 수 없고, 복수형으로 쓰일 수도 없습니다. 앞에 꾸미는 말이 왔거나 복수(ones)로 쓰였다면 부정대명사입니다. One must keep one's word.1) 사람은 자신의 약속을 지켜야 한다. one이 일반적인 사람을 뜻하고 있습니..
-
[3.21] [좀 더 넓게] 부정대명사가 쓰이는 관용적 표현들풀어 쓴 기초영문법/09 대명사, 명사보다 더 명사답다(3/3) 2012. 7. 11. 13:20
부정대명사가 쓰이는 관용적 표현들이 있습니다. 많이 쓰이는 몇 가지만 봐 둡시다. each other 서로(서로) one another 서로(서로) one after another 하나씩 차례로 first of all 무엇보다 먼저 after all 결국 in one way or another 어떻게 하든지 간에 각각의 낱말들만 봐서는 전체 덩어리의 뜻을 알기 어려운 표현들입니다. 자주 접하는 것들이니까 기억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관용적 표현을 공부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사전을 활용하는 것입니다. 부정대명사를 사전에서 찾았을 때, 대충 뜻만 확인하고 넘어가선 안 됩니다. 사전을 아래로 쭉 읽어 내려가다 보면 관용적 표현들을 정리해 놓은 부분이 있습니다. 그것들을 예문과 함께 눈여겨 봐 둡시다. ⓒins..
-
[3.22] 꼭 기억해두자!!풀어 쓴 기초영문법/09 대명사, 명사보다 더 명사답다(3/3) 2012. 7. 11. 13:10
모두 다섯 종류의 대명사를 설명했습니다. 각각 나름대로의 독특한 성질이 있습니다. 그게 뭔지 머릿속으로 정리해 둡시다. 인칭대명사 소유대명사 재귀대명사 지시대명사 부정대명사 대명사에 대해서는 다음 사실을 꼭 명심해야 합니다. 대명사도 명사다. 대명사란 명사를 대신하는 말이기 때문에 명사의 기능을 가져야 합니다. 명사처럼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로 쓰일 수 있습니다. 당연히 명사와 마찬가지로 성과 수와 격도 가집니다. 특히 인칭대명사는 그게 아주 분명합니다. 성, 수, 격을 가질 뿐 아니라 인칭에 따른 변화까지 있습니다. 명사보다 더 명사다운 게 인칭대명사입니다. ⓒinsightonweb.com 김유철(분당 정자동 인사이트영어학원 031-717-1957)
-
[3.23] [좀 더 깊게] 대명사와 형용사풀어 쓴 기초영문법/09 대명사, 명사보다 더 명사답다(3/3) 2012. 7. 11. 13:05
명사를 꾸미는 말을 형용사라고 합니다. ‘아름다운 산’이라 할 때 '아름다운'이 바로 형용사입니다. 뒤에 나오는 명사 ‘산’을 꾸밉니다. 대명사도 명사라고 했지만, 영어에서는 명사와 크게 다른 점이 있습니다.. 용감한 그녀 부지런한 우리 우리말로는 가능하지만 영어는 이렇게 쓸 수 없습니다. brave she X diligent we X 이런 표현을 쓸 수 없다면 무척 답답하겠지만 영어를 쓰는 사람들은 그런 걸 느낄 수가 없습니다. 애초 이런 표현이 없기 때문에 그런 생각은 머리에 떠오르지 않는다. ‘용감한 그녀’와 같은 말을 하고 싶을 땐 다른 방법을 써야 합니다. She, being brave, didn't fear to speak in his presence. 용감한 그녀는 그의 앞에서 말하는 것을 ..
-
[2.00] 동사란...풀어 쓴 기초영문법/03 동사, 시제변화를 한다(1/4) 2012. 7. 6. 15:55
동사는 명사와 함께 문장을 만드는 가장 기본적인 재료가 됩니다. 명사 하나에 동사 하나를 더하는 것만으로도 문장을 만들 수 있습니다. Birds sing. 새들이 노래한다. 동사1)(움직일 동(動) 말 사(詞))는 움직임을 나타내는 말2)이라 해서 붙은 이름이지만, 이 ‘움직임’이란 말이 오히려 동사에 대한 이해를 가로막기도 합니다. 가다 먹다 운전하다 축구하다 달리다 이것들 모두 움직임을 나타내는 것은 분명합니다. 당연히 모두 동사이지요. 하지만 다음 동사들은 어떤가요? 생각하다 좋아하다 “생각만 말고 몸을 움직여!”라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빈다. 생각하는 것은 움직이는 게 아니란 말이지요. '좋아하기'는 어떤가요? 움직이지 않고도 좋아할 수도 있습니다. 좋아한다는 건 마음의 감정일 뿐입니다. ..
-
[2.01] 영어의 동사는 정해진 형태가 없다풀어 쓴 기초영문법/03 동사, 시제변화를 한다(1/4) 2012. 7. 6. 15:50
보이지는 않지만 말에도 형태라는 게 있습니다. 싸우다 켜다 이사하다 먹다 네 개의 단어 모두 ‘-다’로 끝났습니다. 우리말 동사는 이렇게 기본형이 모두 ‘-다’로 끝납니다. 우리말 말고 다른 많은 언어들도 그렇습니다. 예를 들어, 영어와 비슷한 서양말인 독일어는 ‘-en’이나 ‘-n’으로 끝이 나고, 프랑스어는 ‘-er’이나 ‘-ir’로 끝납니다. 하지만 특이하게도 영어의 동사만은 정해진 형태가 없습니다. go 가다 run 달리다 swim 수영하다 cut 자르다 drive 운전하다 이 다섯 개의 동사를 아무리 봐도 공통점이 보이지 않습니다. 모두 제각각으로 끝나는 글자도 모두 다릅니다. 일정하게 형태가 없다는 것이 영어의 동사가 가진 특징입니다. 여기에는 단점도 있고 장점도 있습니다. 배우는 사람의 입장..
-
[2.02] 동사와 시제풀어 쓴 기초영문법/03 동사, 시제변화를 한다(1/4) 2012. 7. 6. 15:45
명사가 수와 격에 따라 변한다면 동사는 시제에 따라 변합니다. 시제는 동사 자체로 시간을 나타내는 방법입니다. say, says1) 말한다 said 말했다 will say 말할 것이다 say나 says는 지금 말하고 있음을, said는 과거에 말했음을, will say는 미래에 말할 것임을 나타냅니다. 현재시제, 과거시제, 미래시제라고 합니다. 그리고 동사가 이렇게 변하는 걸 시제변화라고 합니다. 동사의 시제변화를 배우기에 앞서 먼저 알아야 할 게 있습니다. 변화 이전의 형태입니다. 원형(또는 기본형)2)이라고 합니다. 현재시제를 닮았지만 그렇게 보일 뿐이지 사실 시제를 드러내지 않는 형태입니다. say 말하다 사전을 찾을 때도 원형으로 찾아야 하고 단어를 외울 때도 원형으로 외워야 합니다. 사전에 표제..
-
[2.03] 시제를 공부하기 전에 알아둘 것, 동사의 변화형풀어 쓴 기초영문법/03 동사, 시제변화를 한다(1/4) 2012. 7. 6. 15:40
시제변화를 공부하기에 앞서 동사의 세 가지 형태를 알아두어야 합니다. 원형(RV) 과거형(p.t) 과거분사형(p.p.)1) 영어의 모든 시제는 이 셋을 기본으로 만들어집니다. 원형은 동사의 원래 형태입니다. 과거형과 과거분사형은 이 원형이 변한 것입니다. 규칙적으로 변하는 동사라면 둘 다 원형 뒤에 -ed가 붙어서 만들어진다. 이런 동사를 규칙동사라고 합니다. 원형(RV) 과거형(p.t.) 과거분사형(p.p.) work worked worked 과거형과 과거분사형에 -ed가 붙지 않는 동사를 불규칙동사라도 합니다. 원형(RV) 과거형(p.t.) 과거분사형(p.p.) go 가다 went gone come 오다 came come see 보다 saw seen meet 만나다 met met rise 일어나다 r..
-
[2.04] 규칙적으로 변하는 동사(규칙동사)풀어 쓴 기초영문법/03 동사, 시제변화를 한다(1/4) 2012. 7. 6. 15:35
규칙동사는 과거형과 과거분사형이 모두 -ed로 끝납니다. 하지만 아무렇게나 -ed를 붙이는 것은 아닙니다. 원형이 어떻게 끝나느냐에 따라 방법이 조금씩 달라집니다. (1) 원형이 e로 끝났을 경우 -d만 붙입니다. 이미 -e로 끝난 단어 뒤에 또 -ed를 붙이면 e가 둘이 겹쳐 -ee가 된다. 그런데 -ee는 보통 ‘-이이[i:]’ 하는 긴 소리를 읽게 됩니다. 그걸 막기 위해서 -d만 붙입니다. 원형(RV) 과거형(p.t.) 과거분사형(p.p.) smile 웃다 smiled smiled love 사랑하다 loved loved (2) 원형이 e로 끝나지 않았을 경우 규칙대로 -ed만 붙입니다. 원형(RV) 과거형(p.t) 과거분사형(p.p.) wait 기다리다 waited waited ask 묻다 ask..
-
[2.05] [좀 더 넓게] 규칙동사의 발음풀어 쓴 기초영문법/03 동사, 시제변화를 한다(1/4) 2012. 7. 6. 15:30
모든 규칙동사의 과거형과 과거분사형은 -ed라는 글자로 끝납니다. 하지만 같은 -ed라 해도 소리는 세 가지로 다르게 날 수 있습니다. ① [d 드]로 발음하는 경우 다음에 나오는 ②와 ③의 경우를 제외하면 모두 [d]로 읽습니다. 우리말의 ‘드’쯤에 해당하는 소리입니다. opened(← open) 열다 filled(← open) 채우다 ② [t 트]로 발음하는 경우 원형이 다음과 같은 소리로 끝나는 경우 -ed를 [t]로 읽습니다. 우리말의 ‘트’에 해당하는 소리입니다. [t], [k], [s], [ʃ], [tʃ], [f], [p] 한글로 적자면 ‘ㅌ', 'ㅋ', 'ㅅ', 'ㅊ', 'ㅍ' 등에 해당하는 거친 소리들입니다. 뒤따르는 -ed도 앞의 소리를 닮아 거칠게 됩니다. worked(← work) 일..
-
[2.06] 불규칙하게 변하는 동사(불규칙동사)풀어 쓴 기초영문법/03 동사, 시제변화를 한다(1/4) 2012. 7. 6. 15:25
과거형과 과거분사형이 -ed로 끝나지 않는 동사를 불규칙동사라고 합니다. 다양하게 변하기 때문에 일일이 외울 수밖에 없습니다. 이런 동사의 수는 얼마나 될까요? 꼼꼼히 만들어진 불규칙 동사표에는 약 550개 정도가 실려 있습니다. 전체 동사의 수에 비하면 적은 편이지만 만만치 않습니다. 하지만 처음부터 다 외울 필요는 없습니다. 많이 쓰이는 것들만 외우면 됩니다. 또 불규칙동사라 해서 규칙이 전혀 없는 것도 아닙니다. 불규칙 속에도 나름의 규칙이 있습니다. 원형(RV) 과거형(p.t.) 과거분사형(p.p.) come 오다 came come become 되다 became become overcome 극복하다 overcame overcome become과 overcome은 각각 동사 come 앞에 be- 또..
-
[2.07 풀어 쓴 기초영문법] 시제의 종류풀어 쓴 기초영문법/03 동사, 시제변화를 한다(1/4) 2012. 7. 6. 15:20
시제에는 현재, 과거, 미래가 있는데, 영어는 이 각각을 네 가지 방식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단순형 진행형 완료형 완료진행형 따라서 3×4=12, 모두 열 두 가지의 시제 표현이 있는 셈입니다. 시제의 표현법 나타내는 시제 시제의 명칭 단순형 현재 과거 미래 단순현재 단순과거 단순미래 진행형 현재 과거 미래 현재진행 과거진행 미래진행 완료형 현재 과거 미래 현재완료 과거완료 미래완료 완료진행형 현재 과거 미래 현재완료진행 과거완료진행 미래완료진행 이들 시제를 모두 나타내려면 앞서 배운 동사의 변화형 세 가지만으로는 부족하다. 시제 변화에 사용되는 조동사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be have will 일단 이들 조동사를 접한 적이 있을 것이라 생각하고 설명을 진행하겠습니다. 이들 조동사가 혹시 생소하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