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3.01] 대명사도 명사다풀어 쓴 기초영문법/07 대명사, 명사보다 더 명사답다(1/3) 2012. 7. 11. 16:55
대명사는 기본적으로 명사의 성질을 다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인칭대명사라고 하는 것들은 명사보다 더 명사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대명사에도 수와 격과 성이 있다. 대명사는 수와 성의 구별도 아주 분명하고, 격에 따른 변화도 더 엄격합니다. ‘나’, ‘너’, ‘그’처럼 일상에서 자주 사용되는 말이기도 하고, 분명한 의사 전달에 꼭 필요한 것이기도 해서 바뀌기가 쉽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예로부터 가지고 있던 문법적인 성질들을 지금도 대부분 유지하고 있습니다. 대명사는 보통의 명사보다 문법적으로 더 복잡하다. 수에 따라, 성에 따라, 격에 따라 잘 구별해서 써야 한다는 뜻입니다. 하지만 그게 대명사의 장점입니다. 그래야 뜻을 더 분명하게 해 줄 수 있습니다. 만약 대명사가 명사처럼 단순하게 쓰인다면 영어..
-
[3.02] 알아두어야 할 대명사들풀어 쓴 기초영문법/07 대명사, 명사보다 더 명사답다(1/3) 2012. 7. 11. 16:50
대명사도 명사처럼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하지만 쓰임이 명사와 달라 구분하는 방식도 다릅니다. 수는 명사보다 훨씬 적지만 알아두어야 할 종류는 더 많습니다. 그중 여기서 공부할 것은 다섯 가지입니다.1) 인칭대명사 소유대명사 재귀대명사 지시대명사 부정대명사 종류가 다섯 가지나 되고 각각 명칭도 생소하지만 어려워할 필요는 없습니다. 영어를 조금만 공부했다면 이미 알고 있는 단어들이 대부분입니다. 그것들이 어떻게 쓰이는지 좀 더 자세히 알아보는 게 여기서 할 일입니다. 어찌보면 문법적인 명칭은 그다지 중요하지 않습니다. 정말 중요한 것은 대명사로 쓰이는 단어 하나하나를 아는 것입니다. 이런저런 명칭들을 쓰는 것은 그렇게 부르는 게 편하서입니다. 그렇다고 이들 명칭에 익숙해지는 게 나쁠 것도 없습니다. 문법을..
-
[3.03] 인칭대명사는 인칭에 따라 구분된다풀어 쓴 기초영문법/07 대명사, 명사보다 더 명사답다(1/3) 2012. 7. 11. 16:40
인칭은 사람 인(人)에 일컬을 칭(稱), 즉 사람을 일컫는다는 뜻입니다. 이름 대로라면 인칭대명사1)는 사람을 일컬을 때 쓰는 대명사2)입니다. 그렇지만 인칭대명사가 사람이 아닌 것에 쓰일 때도 많습니다. 사물이나 생물체, 머릿속의 생각, 신 등 온갖 것에 인칭대명사를 쓸 수 있습니다. 사람을 가리킬 때도 쓰지만 그보다 훨씬 폭넓게 쓰이는 게 인칭대명사입니다. 인칭대명사에 ‘인칭’이란 말이 들어간 건 ‘사람을 일컫는 대명사’라서가 아닙니다. ‘사람을 가리키는 대명사’란 설명은 이해하기 쉬우라고 하는 말입니다. 인칭대명사는 인칭에 따라 구별되는 대명사다. 인칭이란 말하는 사람을 기준으로 세상을 구별하는 방식입니다. 누군가와 말을 한다고 해 봅시다. 그럼 말하는 사람과 말하는 사람 쪽의 사람들이 있습니다. ..
-
[3.04] 인칭대명사의 종류풀어 쓴 기초영문법/07 대명사, 명사보다 더 명사답다(1/3) 2012. 7. 11. 16:30
인칭대명사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1) 1인칭 우리말로 ‘나’와 ‘우리’에 해당하는 말입니다.1) 영어에는 단수인 I(나)와 복수인 we(우리)가 있습니다. (2) 2인칭 우리말로 ‘너’, ‘너희들’에 해당하는 말입니다.2) 영어에서는 모두 you라고 합니다. 단수와 복수의 구별이 없어서 나와 이야기하는 상대방이 한 명이라도 you이고 여러 명이라도 you입니다. 또, 나보다 나이가 많든 적든 상관없이 모두 you입니다. 어린 꼬마라도 할아버지를 you라고 부릅니다. 영어로 대화할 때 처음에는 버릇 없다고 혼이 날까 봐 you란 말을 감에 입에 올리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럴 일은 전혀 없습니다. 애초 그런 구별이 없는 언어라서 영어를 쓰는 사람들은 그런 생각을 전혀 하지 않습니다...
-
[3.05] [좀 더 넓게] 표로 정리한 인칭대명사풀어 쓴 기초영문법/07 대명사, 명사보다 더 명사답다(1/3) 2012. 7. 11. 16:20
인칭대명사를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단수 복수 1인칭 I(나) we(우리) 2인칭 you(너, 너희들) 3인칭 남성 he(그) they (그들, 그것들) 여성 she(그녀) 중성 it(그것) 인칭대명사는 인칭, 수, 성에 따라 분류된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특히 3인칭은 남성, 여성, 중성, 복수로 세밀하게 구별됩니다. 1인칭과 2인칭은 성의 구별이 없다는 것도 알 수 있습니다. 나는 나고, 너는 너면 되지 굳이 성을 따질 필요는 없습니다. 2인칭에는 단수와 복수의 구별이 없습니다. 단점이면서 장점이기도 합니다. 대뜸 you가 툭 튀어 나오면 그게 ‘너’인지 ‘너희들’인지 알 수 없다는 게 단점입니다. 장점이라면 이것저것 따질 필요 없이 무조건 you로 다 통한다는 것이지요. ⓒinsighto..
-
[3.06] 인칭대명사의 격변화풀어 쓴 기초영문법/07 대명사, 명사보다 더 명사답다(1/3) 2012. 7. 11. 16:10
인칭대명사는 문장에서의 역할에 따라 모양이 달라지기도 합니다. 주어나 보어로 쓰일 때는 주격, 목적어로 쓰일 때는 목적격, 소유의 뜻을 나타낼 때는 소유격의 모양으로 변합니다. 명사는 소유격만 알면 됐지만, 대명사는 주격, 목적격, 소유격을 다 알아야 합니다. 주격 소유격 목적격 I my me you your you he his him she her her it its it we our us they their them 이미 외우고 있는 사람도 있겠지만, 혹시 그렇지 않다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순서에 따라 외우면 됩니다. 'I(아이)-my(마이)-me(미)' 하는 식입니다. (1) 주격 인칭대명사가 주어나 보어가 될 때 쓰입니다.1) 우리말은 ‘~은’, ‘~는’, ‘~이’, ‘~가’ 따위가 뒤에 붙어 주..
-
[3.07] [좀 더 넓게] ‘아무나’란 뜻으로 쓰이는 인칭대명사풀어 쓴 기초영문법/07 대명사, 명사보다 더 명사답다(1/3) 2012. 7. 11. 16:00
‘우리’, ‘너’, ‘그들’의 뜻으로 알고 있는 인칭대명사 we, you, they가 그냥 일반적인 사람을 가리킬 때가 있습니다. 아무나 we가 될 수 있고, you도 될 수 있으며, they가 될 수 있습니다. We speak Korean in Korea. 한국에서는 한국어를 쓴다. They speak English in England. 영국에서는 영어를 쓴다. 여기서 we나 they1)가 가리키는 건 ‘우리’도 ‘그들’도 아닌 일반적인 사람입니다. 위의 문장에서는 한국사람 모두를, 아래 문장에서는 영국사람 모두를 가리킵니다. ‘우리’와 ‘그들’로 새기면 안 됩니다. 우리는 한국에서 한국어를 쓴다. X 그들은 영국에서 영어를 쓴다. X 보통 ‘너’라는 뜻으로 알고 있는 you도 이렇게 쓰일 때가 있습니..
-
[3.08] [좀 더 넓게] 비인칭대명사 it풀어 쓴 기초영문법/08 대명사, 명사보다 더 명사답다(2/3) 2012. 7. 11. 15:50
it이 3인칭의 무엇, 즉 앞서 말한 ‘그것’을 가리킬 때 인칭대명사로 쓰인다고 합니다. 주로 사물이나 동물을 가리키고 성은 중성이 됩니다. 그런데 it이 ‘그것’이 아닐 때가 있습니다. 앞서 말한 사람은커녕 사물이나 동물 그 어느 것도 가리킨다고 볼 수 없는 경우입니다. 이것을 비인칭대명사 it이라고 합니다. 1시이다. 서울까지 300킬로미터이다. 둘 다 아무 문제가 없는 우리말 문장입니다. 하나는 시간을, 하나는 거리를 말합니다. 그런데 이 두 우리말 문장에는 주어가 없습니다. ‘~은’, ‘~는’, ‘~이’, ‘~가’로 시작되는 말이 없다는 것입니다. 우리말은 주어가 없어도 되기 때문입니다. 이제 영어로 바꾼다고 해 봅시다. 우리말처럼 그대로 주어 없이 써서는 문장이 되지 않습니다. 그냥 단어만 나열..
-
[3.09] 소유대명사풀어 쓴 기초영문법/08 대명사, 명사보다 더 명사답다(2/3) 2012. 7. 11. 15:40
소유대명사가 가리키는 것은 사람의 소유물입니다. 손에 책을 들고 있는 남자를 가리켜 말할 때는 ‘그’라고 하지만, 그 남자가 손에 든 것은 ‘그의 것’이라고 합니다. ‘그’에 해당하는 것이 인칭대명사라면 ‘그의 것’에 해당하는 것이 소유대명사입니. 우리말로는 ‘그의 것’, ‘나의 것’처럼 몇 개 단어를 묶어 말하지만 영어에서는 한 단어로 된 소유대명사를 씁니다. 소유대명사는 인칭대명사가 변한 것입니다. it을 제외한1) 모든 인칭대명사는 소유대명사의 형태로 바뀔 수 있습니다. 인칭대명사 (주격) 소유대명사 I mine 나의 것 you yours 너의 것, 너희들의 것 he his 그의 것 she hers 그녀의 것 it - we ours 우리들의 것 they theirs 그들의 것 ‘~의 것’이란 뜻이지..
-
[3.10] 소유대명사는 인칭대명사가 아니다풀어 쓴 기초영문법/08 대명사, 명사보다 더 명사답다(2/3) 2012. 7. 11. 15:30
소유대명사는 인칭대명사가 변한 것이지만1) 몇 가지 다른 점이 있습니다. (1) 무조건 3인칭이다 ‘나’는 1인칭이지만 ‘나의 것’은 1인칭이 아니고, ‘너’는 2인칭이지만, ‘너의 것'은 2인칭이 아닙니다. 내가 가진 휴대폰은 ‘나의 것’이지만 ‘나’는 아닙니다. 네가 가진 자전거도 ‘너의 것’일 뿐 ‘너’는 아닙니다. 소유대명사가 가리키는 것은 이처럼 ‘나’도 아니고 ‘너’도 아니기 때문에 모두 3인칭입니다. (2) 수의 구별이 없다 ‘나’가 단수라고 ‘나의 것’이 단수일 필요는 없습니다. ‘우리’가 복수라고 ‘우리의 것’이 복수일 필요도 없습니다. 나는 하나지만 '나의 것'은 많을 수 있고, 우리는 여럿이지만 '우리의 것'은 하나일 수도 있습니다. 즉, 소유대명사는 한 개를 가리킬 수도 있고 여러 ..
-
[3.11] <of+소유대명사>의 형식으로 쓸 때풀어 쓴 기초영문법/08 대명사, 명사보다 더 명사답다(2/3) 2012. 7. 11. 15:20
소유대명사가 전치사 of와 함께 쓰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a friend of mine 나의 한 친구 이 독특한 영어식 표현 방식을 모르고 그냥 뒤쪽부터 새기면 ‘내 것의 한 친구’라는 이상한 말이 됩니다. 왜 다음과 같이 쓰지 않을까요? a my friend1) X my a friend2) X a와 my의 순서 때문입니다. 보통 a나 an, the와 같은 관사는 명사를 꾸미는 말 중 제일 앞에 와야 합니다. 그런데 인칭대명사의 소유격(여기서는 my)도 다른 꾸미는 말보다 앞에 나와야 합니다. 그러니 둘을 같이 쓸 수가 없습니다. of를 쓴 건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입니다. 형태를 바꿀 수 있는 my를 소유대명사 mine으로 바뀌어 of의 뒤로 보내서 순서의 문제를 해결합니다. 명사를 꾸미는 말들 가..
-
[3.12] 재귀대명사풀어 쓴 기초영문법/08 대명사, 명사보다 더 명사답다(2/3) 2012. 7. 11. 15:10
재귀대명사는 인칭대명사의 소유격이나 목적격에 ‘자신’이란 뜻의 self가 붙여 만듭니다. 복수에는 selves가 붙습니다. 모두 여덟 개가 있습니다. myself 나 자신 yourself 너 자신 himself 그 자신 herself 그녀 자신 itself 그것 자신 ourselves 우리들 자신 yourselves 너희들 자신 themselves 그들 자신 재귀대명사1)의 ‘재귀’는 ‘다시 돌아온다’는 뜻입니다. 다시 재(再)에 돌아올 귀(歸)입니다. 주어의 동작이 다시 주어에게 돌아오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었습니다. He killed him. 그는 그를 죽였다. ‘그’를 가리키는 말이 두 번 나왔습니다. 하나는 주어로 쓰인 he이고 다른 하나는 목적어로 쓰인 him입니다. 그런데 궁금한 게 있습니다..
-
[3.13] 재귀대명사를 쓸 때 주의할 것풀어 쓴 기초영문법/08 대명사, 명사보다 더 명사답다(2/3) 2012. 7. 11. 15:00
재귀대명사를 쓸 때는 반드시 앞에 짝을 이루는 명사나 대명사가 있어야 합니다. Myself bought it. X 나 자신이 그것을 샀다. (?) 재귀대명사 myself가 생뚱맞게 홀로 쓰였기 때문에 잘못 되었습니다. 앞에 짝을 맞춰줄 대명사(여기서는 I)가 있어야 합니다. I myself bought it.1) 나 자신이 그것을 샀다. 재귀대명사가 목적어로 쓰일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재귀대명사와 짝을 짓는 말이 있어야 합니다. I love myself. 난 나 자신을 사랑한다. myself가 홀로 쓰인 게 아니라 주어 I와 함께 쓰여서 제대로 된 문장입니다. 재귀대명사는 주어를 강조할 수도, 목적어를 강조할 수도 있습니다. 그 자체 아무런 변화도 하지 않기 때문에 그 모양 그대로 유지한 채 적당한 위..
-
[3.14] 재귀대명사가 들어간 관용적 표현들풀어 쓴 기초영문법/08 대명사, 명사보다 더 명사답다(2/3) 2012. 7. 11. 14:50
재귀대명사를 사용하는 독특한 관용적 표현이 많습니다. say to oneself 생각하다, 혼잣말하다 여기서 oneself는 모든 재귀대명사를 대표하는 말입니다. 실제 문장에서는 쓰이지 않습니다. one은 마치 수학의 x와 같아서 적당하게 바꿔주어야 합니다.1) 단, 사람을 가리키는 말이어야 합니다.2) I said to myself. 나는 생각했다. She says to herself. 그녀는 생각한다. He said to himself. 그는 생각했다. 먹는 일과 관련해 많이 쓰이는 표현도 있습니다. help oneself to ~을 마음껏 먹다 help는 보통 ‘돕다’는 뜻이지만 이때는 ‘먹다’란 뜻입니다. 재귀대명사 yourself를 써서 보통 다음과 같이 씁니다. Help yourself to ..
-
[3.15] 지시대명사풀어 쓴 기초영문법/08 대명사, 명사보다 더 명사답다(2/3) 2012. 7. 11. 14:40
무언가를 손가락으로 가리켜 보여주는 것을 ‘지시한다’고 말합니다. ‘지시’라는 한자말도 그런 뜻입니다. 손가락 지(指)1)와 보일 시(示)를 합친 말입니다. 지시대명사도 무언가 손가락으로 가리키는 대명사, 즉 공간상의 무언가를 가리키는 대명사라고 이해하면 됩니다. 지시대명사는 거리와 수에 따라 분류됩니다. 거리란 지시하는 것이 멀리 있느냐, 가까이 있느냐를 말합니다. 5미터 이하면 가깝고 그 이상이면 멀다는 식이 아닙니다. 여기냐 저기냐가 기준입니다. 여기 있으면 가깝고, 저기 있으면 먼 것입니다. 어디까지가 여기고, 어디서부터가 저기인지 따질 필요가 없습니다. 편히 말할 때 '여기'와 '저기'가 기준입니다. 거리 수 단수 복수 여기 here this 이것 these 이것들 저기 there that 그것..
-
[3.16] [좀 더 넓게] 지시대명사는 지시형용사다풀어 쓴 기초영문법/09 대명사, 명사보다 더 명사답다(3/3) 2012. 7. 11. 14:35
지시대명사가 그 모양 그대로 명사를 꾸밀 때가 있습니다. 이를 지시형용사라고 합니다. 홀로 쓰이면 지시대명사, 뒤에 명사가 나오면 지시형용사입니다. this coat 이 코트 that coat 저 코트 뒤에 나오는 명사가 복수형일 때는 these나 those를 써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꾸밈을 받는 말이 단수냐 복수냐에 따라 변하는 것이 지시형용사입니다. these coats 이 코트들 those coats 저 코트들 쉬워 보이지만 뜻밖에도 잘못 쓰기 쉽습니다. 우리말에서는 이런 일이 없고, 영어에서도 다른 형용사들은 이렇게 쓰지 않습니다. 복잡하다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그나마 영어는 쉬운 편에 속합니다. 모든 형용사가 뒤에 나오는 명사의 수와 성에 따라 변하는 언어도 있습니다. ⓒinsightonwe..
-
[3.17] 지시대명사에 관해 알아둘 것들풀어 쓴 기초영문법/09 대명사, 명사보다 더 명사답다(3/3) 2012. 7. 11. 14:10
네 개밖에 되지 않지만 정말 자주 쓰이는 것이 지시대명사입니다. 정확히 알고 사용해야 합니다. 다음 세 가지를 꼭 기억해 두는 게 좋습니다. (1) 사람을 가리킬 수도 있다 이 사람, 저 사람, 이 사람들, 저 사람들 등의 뜻으로 쓰입니다. Who is this? 이 사람은 누구입니까? These are my children, Paul and Susan.1) 이들은 우리 아이들 폴과 수잔입니다. (2) 지시형용사로 쓰일 때는 가장 앞에 나온다 지시형용사로 쓰일 때는 명사를 꾸미는 다른 말들보다 앞서 나와야 합니다.2) 우리말에서는 ‘아름다운 그 여자’라 해도 되고, ‘그 아름다운 여자’라고 해도 되지만, 영어에서는 ‘그 아름다운 여자’만 가능합니다. that beautiful woman ○ beautif..
-
[3.18] 부정대명사풀어 쓴 기초영문법/09 대명사, 명사보다 더 명사답다(3/3) 2012. 7. 11. 14:00
분명히 정해지지 않는 막연한 것을 가리킬 때 사용하는 대명사입니다. ‘부정’이란 말이 붙은 것도 바로 그 때문입니다. 1) 아닐 부(不)에 정할 정(定), 즉 정해지지 않았다는 뜻입니다. some, any, no, every 등이 붙어 만들어진 것들2)이 대표적입니다. someone, somebody, something, anyone, anybody, anything, no one3), nobody, nothing, everyone, everybody, everything4) 원래는 형용사나 부사지만 부정대명사의 역할을 하는 것도 있습니다. one, others, another, the other, the others, some, any, each, all, either, neither, many, se..
-
[3.19] 부정대명사의 특징풀어 쓴 기초영문법/09 대명사, 명사보다 더 명사답다(3/3) 2012. 7. 11. 13:50
부정대명사는 종류도 많고 그 쓰임도 까다롭습니다. 다음 몇 가지는 꼭 알아둡시다. (1) 격변화가 단순하다 목적격이 따로 있지는 않지만, 소유격은 있는 것도 있고 없는 것도 있습니다. 소유격은 명사의 소유격처럼 -’s를 붙입니다. one은 one's가 되고, everybody는 everybody's가 됩니다. 소유격이 없는 것도 있습니다. both나 each, all과 같은 것들입니다. both's니 each's니 all's 같이 쓰지 않습니다. 부정대명사가 다양한 단어에서 만들어졌기 때문에 어떤 것이 소유격이 있고, 어떤 것이 없는지 정해진 규칙이 없습니다. 외워야 합니다. 아니, 자연스럽게 익혀야 합니다. 영어를 자주 접하다 보면 저절로 알게 됩니다. (2) 성이 없다 사람이나 사물, 동물들을 막연히..
-
[3.20] 알아두어야 할 부정대명사풀어 쓴 기초영문법/09 대명사, 명사보다 더 명사답다(3/3) 2012. 7. 11. 13:30
뭐든 미리 알고 있으면 자신이 생깁니다. 부정대명사에도 그런 것이 있습니다. 조금이나마 미리 지식을 갖추어 놓으면 새로운 표현에 접해도 주눅 들지 않습니다. (1) one ‘일(1)’, ‘하나’란 뜻뿐 아니라 정해지지 않은 무언가를 가리키는 말로도 쓰입니다. 복수는 ones고 소유격은 one's입니다. 사람, 동물, 사물 어디에나 쓸 수 있습니다. easy one 쉬운 것 하나 easy ones 쉬운 것들 one이 ‘일(1)’이라는 수로 쓰일 때는 앞에는 꾸미는 말이 올 수 없고, 복수형으로 쓰일 수도 없습니다. 앞에 꾸미는 말이 왔거나 복수(ones)로 쓰였다면 부정대명사입니다. One must keep one's word.1) 사람은 자신의 약속을 지켜야 한다. one이 일반적인 사람을 뜻하고 있습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