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어 쓴 기초영문법
-
[16.05] 의문사의 종류풀어 쓴 기초영문법/29. 문장의 종류, 주어와 동사를 본다 2018. 2. 2. 12:53
의문사라는 품사가 따로 있는 건 아닙니다. 의문문에 사용되어서 의문사라고 하는 것입니다. 대명사로 쓰이는 것, 형용사로 쓰이는 것, 부사로 쓰이는 게 있어서 의문대명사, 의문형용사, 의문부사로 나눌 수 있습니다. 하지만, 중요한 건 품사의 구분이 아니라 의문사 각각의 뜻입니다. 무엇을 묻고 있는지 알면 됩니다. (1) 의문대명사 who1), what, which와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대명사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주어나 보어, 목적어가 될 수 있습니다. ■ 주어 Who did it? 누가 이것을 했니? ■ 보어 Who is she? 그는 누구니? ■ 목적어 What did you do? 너는 무엇을 했니? ■ 목적어 Which do you like? 너는 어느 것을 좋아하니? (2) 의문형용사 who의..
-
[16.06] 의문사 앞에 전치사가 올 때풀어 쓴 기초영문법/29. 문장의 종류, 주어와 동사를 본다 2018. 2. 2. 12:46
의문사의 가장 큰 특징은 문장의 제일 앞에 나온다는 것입니다. 우리말에는 ‘무엇’, ‘누구’, ‘언제’와 같은 말이 문장의 중간에 들어가도 아무 문제없지만, 영어의 의문사는 반드시 문장의 제일 앞에 있어야 합니다. ‘순생순사’, 순서에 살고 순서에 죽는 영어의 특징이 여기서도 그대로 통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제껏 보아왔듯 원칙이란 것이 자연의 법칙처럼 절대적으로 지켜지는 건 아닙니다. 대개 그렇다는 거지 반드시 그런 건 없었습니다. I am going out this evening. 나는 오늘 저녁 외출할 거야. 이 말을 듣고 “누구랑?”이라고 물을 수 있습니다. 이때 영어에선 ‘함께’란 뜻의 전치사 with를 사용합니다. 만약 with이 없다면 전혀 엉뚱한 질문이 되고 맙니다. Who are goin..
-
[16.07] 명령문의 형식을 갖춰야 명령문이다풀어 쓴 기초영문법/29. 문장의 종류, 주어와 동사를 본다 2018. 2. 2. 12:37
남에게 무언가 행동을 하라고 하는 게 명령입니다. 공부해. 그만 해. 대답해! 영어에서는 남에게 무언가 행동을 요구할 때 명령문을 사용합니다. 기본적으로 주어 없이 동사원형으로 시작합니다. Stop crying. 그만 울어. Be1) strong and courageous.2) 강하고 담대하라. 반드시 이런 형식을 갖추어야 명령문이 됩니다. 부정의 명령문일 때는 무조건 앞에 Don't를 붙입니다. be동사로 시작한다고 Be not이나 Not be를 쓰면 안 됩니다. Don't be nervous. 초조해 하지 마. Be not nervous. X Not be nervouse. X 남에게 무언가 행동을 요구한다 해도 이런 형식을 갖추지 않았다면 명령문이라 할 수 없습니다. Can you help me? 저..
-
[16.08] 명령문은 you에게 하는 말풀어 쓴 기초영문법/30. 문장의 종류, 주어와 동사를 본다 2018. 2. 2. 12:28
명령문에서 주어를 쓰지 않는 건 주어가 늘 2인칭 you이기 때문입니다. 다시 말해 너나 너희들, 또는 당신들에게만 하는 말이 명령문이니까 애써 you를 넣지 않는 것입니다. 그러다 보니 명령문을 주어 you가 생략된 현재시제의 문장이라 생각하기 쉽습니다. 사실, 그렇게 생각해도 틀릴 일은 별로 없습니다. You do your best. 너는 최선을 다 한다. 이 문장에서 you를 쏙 빼기만 하면 간단히 명령문이 만들어집니다. Do your best. 최선을 다 해라. 하지만 이건 do동사의 현재형이 우연히 동사원형과 같아서 생긴 일입니다.be동사를 쓰다면 사정이 달라집니다. You are diligent. 너는 부지런하다. 이때는 you만 빼서 "Are diligent."로 한다고 명령문이 되진 않습니..
-
[16.09] 명령문은 정말 ‘명령’이다풀어 쓴 기초영문법/30. 문장의 종류, 주어와 동사를 본다 2018. 2. 2. 11:55
남에게 명령조의 말을 듣는다는 건 별로 유쾌하지 않습니다. 이유 없이 ‘~해라’조의 말을 듣게 되면 울컥 하고 기분이 크게 상할 수도 있습니다. 명령문이 바로 ‘~해라’라는 식의 말입니다. 느낌도 우리말의 ‘~해라’와 아주 비슷합니다. 아주 친하거나 잘 이해해 줄 수 있는 사람이 아니라면 함부로 쓰지 않는 게 좋습니다. 그럼에도 명령문을 써야 한다면 좀 더 부드럽게 만드는 방법이 있습니다. 보통 ‘제발’이란 뜻으로 새기는 please를 함께 쓰게 되면 명령이 마치 부탁처럼 들리게 됩니다. Please come here. 제발 이리로 와 주십시오. Come here, please! 이리 와 주십시오, 제발. 이렇게 하면 상당히 듣기 편해지는 건 사실이지만 그래도 ‘명령’의 느낌을 완전히 지울 수는 없습니다..
-
[16.10] 감탄문은 두 가지 형식을 기억해 둔다풀어 쓴 기초영문법/30. 문장의 종류, 주어와 동사를 본다 2018. 2. 2. 11:50
무언가가 대단하다고 할 때 쓰는 말이 감탄문입니다. ‘똑똑하다’가 아니라 ‘매우 똑똑하다’, ‘멋지다’가 아니라 ‘매우 멋지다’라고 말하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 영어에서는 ‘매우’란 말 없이 그보다 훨씬 강한 느낌으로 말할 수 있습니다. How smart he is! 그는 매우 똑똑하다. How fast he runs! 그는 정말 빨리 달린다. What a wonderful sight it is! 정말 멋진 풍경이다. What beautiful flowers these are! 이것들은 정말 아름다운 꽃이다. 글로 써 놓았을 땐 끝에 붙은 느낌표(!)를 보면 감탄문임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느낌표 때문에 감탄문이 되는 건 아닙니다. 감탄문이 되려면 위의 문장들처럼 다음 두 가지 형식 중 하나를 취해야..
-
[16.11] [좀 더 넓게] 명령문, and, or풀어 쓴 기초영문법/30. 문장의 종류, 주어와 동사를 본다 2018. 2. 2. 10:49
명령문을 접속사 and나 or와 함께 쓰면 특별한 뜻이 됩니다. and니까 무조건 ‘그리고’라고, or니까 무조건 ‘또는’이라고 옮겨서는 이상한 뜻이 되어 버립니다. 간단한 공식이 있으니 알아둡시다. ① 명령문+and '~해라, 그러면 ~할 것이다’란 뜻입니다. Start now, and you will catch the train. 지금 출발해라, 그러면 기차를 잡을 것이다. 여기서 and는 ‘그리고’가 아니라 ‘그러면’입니다. ‘~면’이 있으니까 if를 써서 문장을 바꿀 수도 있습니다. If you start now, you will catch the train. 지금 출발하면 기차를 잡을 것이다. ② 명령문+or '~해라, 그렇지 않으면 ~할 것이다‘란 뜻입니다. Hurry up, or you wi..
-
[16.12] 꼭 기억해두자!풀어 쓴 기초영문법/30. 문장의 종류, 주어와 동사를 본다 2018. 2. 2. 10:35
말을 하는 목적을 가지고 문장의 종류를 나누는 방법이 있습니다. 사실을 말하는 문장, 남에게 답을 구하는 문장, 남에게 행동을 명령하는 문장, 무언가에 대한 자신의 강한 감정을 나타내는 문장으로 구별하는 방법입니다. 평서문 의문문 명령문 감탄문 영어의 모든 문장은 그 목적에 따라 이 넷 중 하나에 속하게 되어 있습니다. 이중 평서문이 가장 기본적인 문장입니다. 나머지 세 종류의 문장들은 이 평서문을 기본으로 해서 만들어집니다. 주어와 동사의 순서와 위치가 중요하다. 평서문을 이루는 기본 요소의 일부가 순서나 위치를 바뀌면 다른 종류의 문장이 됩니다. 평서문을 기초로 의문문, 명령문, 감탄문 등을 만들어보면 영어 문장의 기본원리를 알 수 있습니다. 우리말은 ‘~다’ ‘니?’ ‘~어라’ ‘~구나!’하는 식으..
-
[16.13] [좀 더 깊게] not을 써서 부정문 만들기풀어 쓴 기초영문법/30. 문장의 종류, 주어와 동사를 본다 2018. 2. 2. 10:31
‘무엇은 무엇이다’, ‘무엇이 무엇을 하다’라는 식의 문장을 긍정문이라고 하고, ‘무엇은 무엇이 아니다’, ‘무엇이 무엇을 하지 않는다’라는 식의 문장을 부정문이라고 합니다. ‘아니다’, ‘않다’, ‘없다’ 등과 같은 부정의 뜻을 가진 낱말들이 들어가서 만들어집니다. 영어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많이 쓰입니다. not, no, nothing, never, neither, nor 이들 단어가 문장에 쓰이면 ‘~가 아니다’, ‘~하지 않다’, ‘~가 결코 아니다’란 뜻을 가진 부정문이 만들어집니다. 이중 가장 대표적인 게 not입니다. 부정문을 만드는 가장 기본이 되는 단어지만, 다른 것들과 달리 쓰임이 좀 복잡한 편입니다. 부정하는 게 be동사냐 일반동사냐 조동사냐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입니다.1) ① be..
-
[15.00] 문장의 5형식이란..풀어 쓴 기초영문법/27. 문장의 5형식, 문장을 만드는 원리 2018. 1. 29. 12:45
하나의 단어만으로 생각을 전달할 수는 있지만 그건 아주 제한된 상황에서입니다. 정확히 무슨 뜻인지 알려면 문장으로 완성되어야 합니다. 뜻을 가지는 최소 단위가 낱말 또는 단어이지만, 사실 낱말 하나만으론 뜻을 충분히 전달할 수 없습니다. ‘배’ , ‘이’ , ‘차’와 같은 단어만 하나하나 따로 들었다고 해 봅시다. 사람마다 각기 다른 걸 생각할 것입니다. 반듯한 문장으로 만들어져야 각 단어의 뜻이 분명해집니다. 배가 물에 떠 있다. 이가 시리다. 새 차를 운전했다. 문장은 단어들을 엮어 만들어집니다. 아무렇게나 엮는다고 문장이 되지는 않습니다. 일정한 규칙이 있어야 합니다. 그 규칙에 따라 정해진 수의 단어를 가지고 무한한 수의 문장을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백여 개밖에 안 되는 원소들이 수없이 많은 ..
-
[15.01] 문장의 5형식 공부에 앞서 미리 알아두어야 할 것들풀어 쓴 기초영문법/27. 문장의 5형식, 문장을 만드는 원리 2018. 1. 29. 12:34
문장의 5형식을 공부하기에 앞서 다음 세 가지 사실은 꼭 알아둡시다. 이것들만 분명히 해두면 복잡할 것 같은 문장의 5형식도 의외로 단순합니다. (1) 순서보다 각 요소들이 중요하다 각 형식을 이루고 요소들의 순서가 바뀌어도 그 형식 자체는 변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는 1형식 문장입니다. 하지만 순서가 바뀌어 가 되도 1형식 문장인 건 여전합니다. 바뀐 거라면 보통의 문장이 의문문으로 변한 것뿐입니다. 1형식의 의문문이 된다는 것입니다. 그렇다고 순서를 무시하라는 건 아닙니다. 영어는 정말 순서가 중요해서 그에 따라 뜻이 변할 때도 있기 때문입니다. John loves Ann. 존은 앤을 사랑한다. Ann loves John 앤은 존을 사랑한다. 하지만 이렇게 변해도 로 된 3형식 문장이란 건 변하..
-
[15.02] 문장의 형식을 구성하는 요소풀어 쓴 기초영문법/27. 문장의 5형식, 문장을 만드는 원리 2018. 1. 29. 12:19
문장을 형식을 결정하는 요소에는 주어, 동사, 목적어, 간접목적어, 직접목적어, 보어, 목적격 보어, 이렇게 7가지가 있다고 했습니다. 이것들이 서로 결합해 문장이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따라서 문장의 형식을 알려면 이것들이 뭔지부터 알아야 합니다. (1) 주어(S)와 동사(V) 문장이 되려면 주어와 동사 이 두 가지는 꼭 있어야 합니다. 이 둘만 가지고도 간단한 문장을 만들 수 있습니다. she wept.1) 그녀는 울었다. wept가 동사입니다. 동사는 ‘가다’, ‘자다’, ‘쉬다’처럼 행동이나 움직임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하지만 ‘생각하다’, ‘꿈꾸다’ 등과 같이 보통은 행동이라 하지 않는 걸 나타내는 말도 동사일 수 있습니다. 주어는 동사가 가리키는 행동의 주체를 나타내는 말입니다. 예를 들어, ‘..
-
[15.03] [좀 더 넓게]가주어와 가목적어풀어 쓴 기초영문법/27. 문장의 5형식, 문장을 만드는 원리 2018. 1. 29. 11:38
to부정사나 동명사, 또는 명사절1)이 문장의 주어로 쓰일 수 있습니다. To collect coins is great fun. 동전 수집하기는 아주 재미있다. Crying over spilt milk is no use. 쏟아진 우유를 놓고 우는 것은 소용없다 . That he will come is certain. 그가 올 것이라는 사실2)은 분명하다. 이렇게 되면 주어가 길어지는데, 영어는 긴 말을 주어로 쓰는 걸 좋아하지 않습니다. 몸보다 머리가 큰 가분수처럼 여겨서 균형이 맞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대개 이것들을 문장의 뒤로 보냅니다. 그때 원래 주어의 자리에는 it을 대신 넣어주게 되는데, 이것을 ‘가주어’라 한다고 했습니다. It is great fun to collect coins. ..
-
[15.04] 1형식 문장, 형식은 간단해도 긴 문장이 될 수 있다풀어 쓴 기초영문법/27. 문장의 5형식, 문장을 만드는 원리 2018. 1. 29. 11:02
의 형식을 가진 문장입니다. 완전자동사가 쓰여야 만들어지는 문장으로, ‘~가 ...한다’는 식의 뜻을 가집니다. 간단한 형식이지만 이것만으로 꽤 다양한 표현이 가능합니다. I read. 나는 읽는다. He can read and write.1) 그는 읽고 쓸 수 있다. They have studied. 그들은 공부했다. They should study. 그들은 공부해야 한다. Someone is talking. 누군가 이야기하고 있다. Someone should have talked. 누군가 말했어야 했다. Someone could be running. 누군가 달리고 있을 것이다. The little boy must have seen. 그 작은 소년이 분명 보았을 것이다. The police office..
-
[15.05] [좀 더 넓게] <There+자동사>로 시작하는 1형식 문장풀어 쓴 기초영문법/27. 문장의 5형식, 문장을 만드는 원리 2018. 1. 29. 10:45
영어에서는 의 형태로 시작하는 문장이 자주 쓰입니다. 주어가 동사 뒤에 따라 나옵니다. There is a boy across the street. 길 건너편에 한 소년이 있다. There were many people in the theater. 극장에 많은 사람이 있었다. There lived a great king in this kingdom. 이 왕국에는 위대한 왕이 살았었다. There stands a church on the hill. 언덕 위에 교회가 하나 서 있다. there란 원래 ‘거기’란 뜻이지만, 이런 식으로 쓰일 때는 아무 의미가 없습니다. 주어를 나중에 말하기 위해 형식적으로 앞에 쓴 말입니다. there가 앞으로 나오면서 주어와 동사의 순서가 바뀌긴 했지만 이것도 기본적으로는 ..
-
[15.06] 2형식 문장, 주어를 설명하는 말이 있다풀어 쓴 기초영문법/27. 문장의 5형식, 문장을 만드는 원리 2018. 1. 29. 10:40
의 형식으로 된 문장입니다. 불완전자동사가 쓰일 때 만들어지는데, 이때 보어는 주어를 설명하기 때문에 주격 보어라고 합니다. 동사에 따라 뜻이 달라지긴 하지만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뜻을 가집니다. ~는 ...이다. ~가 ...이 되다. ~가 ...인 채로 있다. ~가 ...처럼 느껴지다. ~가 ...처럼 보이다. 예를 들면 이런 문장들입니다. He is a genius. 그는 천재다. She was beautiful. 그녀는 아름다웠다. The truth is that we did nothing. 진실은 우리가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He became an artist. 그는 예술가가 되었다. She went mad.1) 그녀는 미쳤다. He will make a scholar.2) 그는 학자..
-
[15.07] 3형식 문장, 목적어로 나올 수 있는 건 다양하다풀어 쓴 기초영문법/27. 문장의 5형식, 문장을 만드는 원리 2018. 1. 29. 10:36
로 이루어진 문장입니다. ‘~가 ...을 --하다’란 뜻의 문장이 됩니다. 완전타동사가 쓰여야 이런 문장이 만들어지는데, 중요한 건 동사의 뒤에 나오는 목적어로 어떤 것이 쓰이느냐입니다. 다양한 형태의 목적어가 있습니다. I made it. 내가 그것을 만들었다. I received a letter from him. 나는 그에게서 편지를 받았다. I dreamed a strange dream.1) 나는 이상한 꿈을 꾸었다. He overworked himself.2) 그는 너무 힘들게 일했다. We love each other. 우리는 서로를 사랑한다. She decided to become a teacher. 그녀는 선생님이 되기로 결심했다. I have enjoyed talking to you. 당신..
-
[15.08] 4형식 문장, 두 개의 목적어가 나온다풀어 쓴 기초영문법/28. 문장의 5형식, 문장을 만드는 원리 2018. 1. 26. 10:42
의 형식으로 된 문장입니다. 기본적으로 ‘~에게 ...을 주다’란 뜻을 가집니다. 이런 문장을 아무렇게나 만들 수 있는 건 아닙니다. 이런 문장을 만들 수 있는 동사를 써야 합니다. 수여동사라고 하는 것들입니다. ‘상을 수여하다’라고 할 때의 바로 그 수여로 ‘주다’란 뜻입니다. 누군가에게 무언가를 준다는 의미의 동사들이라서 이런 이름이 붙었습니다. He gave me a ball. 그는 내게 공을 주었다. I sent him a letter. 나는 그에게 편지를 보냈다. I bought her a new bag. 나는 그녀에게 새 가방을 사 주었다. Mother made me a dress. 엄마가 나에게 새 옷을 만들어 주었다. He lent me five dollars. 그는 나에게 5달러를 빌려 ..
-
[15.09] 4형식 문장은 3형식 문장으로 바꿀 수 있다풀어 쓴 기초영문법/28. 문장의 5형식, 문장을 만드는 원리 2018. 1. 22. 12:41
4형식 문장은 3형식으로 문장으로 바뀔 수 있습니다. 4형식 문장을 만드는 동사는 3형식 문장을 만드는 동사이기도 합니다. He gave me a ball. 그는 내게 공을 주었다. 이 문장의 간접목적어 me를 ‘전치사구’로 바꾸어 뒤로 보내면 3형식 문장이 됩니다. He gave a ball to me. 그는 내게 공을 주었다. 문장의 형식을 따질 때 to me같은 전치사구는 생각하지 않는다고 했습니다. 따라서 이 문장은 로 이루어진 3형식 문장입니다. 4형식 문장을 3형식으로 바꿀 때 중요한 건 어떤 전치사를 쓰느냐입니다. 동사 give는 to와 함께 쓰이지만 동사에 따라서는 for나 of 또는 on을 쓰기도 합니다. (1) 대부분의 경우는 to를 쓴다 bring, give, hand, pay, se..
-
[15.10] [좀 더 넓게] 대명사는 직접목적어가 될 수 없다풀어 쓴 기초영문법/28. 문장의 5형식, 문장을 만드는 원리 2018. 1. 22. 12:24
4형식 문장에서 대명사는 직접목적어로 쓸 수 없다는 것에 주의해야 합니다. He gave me it. X 그는 내게 그것을 주었다. She find me them. X 그녀는 내게 그것들을 찾아주었다. Bring me those. X 그것들을 내게 가져와라. 정말 대명사를 목적어로 쓰고 싶다면 꼭 3형식 문장으로 써야 합니다. He gave it to me. 그는 내게 그것을 주었다. She find them for me. 그녀는 내게 그것들을 찾아주었다. Bring those to me. 그것들을 내게 가져와라. 다른 경우지만 간접목적어는 반드시 대명사여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는데 그렇지는 않습니다. 이제까지 본 예문들에서처럼 간접목적어로 대명사가 많이 쓰이는 건 사실이지만 그냥 명사가 쓰일 때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