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어 쓴 기초영문법
-
[9.04] 시간을 나타내는 전치사들풀어 쓴 기초영문법/21. 전치사, 명사와 한 덩어리다(1/1) 2012. 10. 12. 11:43
시간을 나타내는 말 앞에 전치사가 놓이면 때를 나타내는 표현이 됩니다. 이때 쓰이는 전치사 대부분은 위치나 장소를 나타낼 때도 쓰이는 것들이지요. 공간을 나타낼 때 쓰는 전치사가 시간을 나타낼 때도 거의 그대로 쓰입니다. on Saturday 토요일에 at five o'clock 5시에 in summer 여름에 공간을 나타낼 때 on은 ‘~ 위에’, at은 ‘~에서’, in은 ‘~안에’와 같은 뜻이지만 시간을 나타낼 때는 그런 의미가 모두 사라지고 ‘~에’란 뜻이 됩니다. 그러니 각각을 구별해 쓰기가 어려워집니다. 어찌보면 규칙이 있어 보이기도 합니다. 긴 시간에는 in을, 그것보다 짧은 시간에는 on을, 딱 정해진 시간에는 at을 쓴다는 거지요. 하지만 대충 그렇다는 거지 꼭 맞지는 않습니다. 게다가 ..
-
[9.05] 전치사로 나타내는 그밖의 것들풀어 쓴 기초영문법/21. 전치사, 명사와 한 덩어리다(1/1) 2012. 10. 12. 11:39
시간과 공간은 세상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에 대해 말할 때 사용하는 가장 중요한 척도입니다. 사람이 사는 현실 세계의 일이라면 그것이 일어난 장소나 시간은 반드시 있습니다. 따라서 사람들은 일단 그것부터 알고 싶어하지요. 좀 어렵게 표현하자면 시간과 공간은 인간이 세계를 인식하는 가장 기초적인 틀이 된다는 것입니다. 전치사는 바로 이 부분에서 가장 많이 쓰입니다. 전치사는 이밖에도 원인과 결과, 수단과 목적, 재료와 제품, 판단과 근거 등 온갖 관계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시간과 공간을 나타낼 때 쓰는 전치사 대부분이 이때도 그대로 쓰이지요. 전치사의 대표적인 뜻을 알면 이런 나머지 뜻도 거의 틀림없이 짐작할 수 있습니다. I suffered from a headache. 나는 두통 때문에 고생했다. Sh..
-
[9.06] 전치사는 앞에 나오는 말과 짝을 짓는다풀어 쓴 기초영문법/21. 전치사, 명사와 한 덩어리다(1/1) 2012. 10. 12. 11:36
전치사는 뒤에 나오는 명사와 아주 밀접한 관계에 있습니다. 한 덩어리가 되어 형용사나 부사처럼 쓰이게 되지요. 전치사구를 형용사구나 부사구라 하는 것도 그 때문입니다. 하지만 뜻밖에도 명사 앞에 어떤 전치사가 나와야 하는지 알려면 전치사 앞의 말을 봐야 할 경우가 매우 많습니다. Look at this picture. 이 그림을 봐라. 여기서 this picture 앞에 전치사 at이 나온 건 앞에 있는 동사 look 때문입니다. ‘~을 보다’란 뜻으로 쓰일 때 동사 look은 꼭 전치사 at과 결합합니다. look을 가지고 ‘~를 찾다’란 뜻으로 쓰려면 전치사 for를 써야 하지요. I am looking for them. 나는 그것들을 찾고 있다. 동사뿐만이 아닙니다. 형용사나 명사 중에도 일정한 전..
-
[9.07] [좀 더 깊게] 전치사가 부사로 쓰일 때풀어 쓴 기초영문법/21. 전치사, 명사와 한 덩어리다(1/1) 2012. 10. 12. 11:32
한 단어로 된 전치사들은 그 자체로 부사이기도 합니다. 뒤에 명사나 명사 상당어와 없이 자체의 의미로도 쓰인다는 것입니다. 예컨대 on은 명사와 함께 쓰이면 ‘~위에’란 뜻의 전치사지만 다음과 같이 쓰이면 부사입니다. I will go on. 나는 계속 갈 것이다. on 뒤에 명사가 오지 않았기 때문에 부사입니다. 이때는 ‘계속’이란 뜻이 되지요. 많은 전치사들이 이런 식으로 부사로 쓰이기도 합니다. 전치사 부사 in ~ 안에 안으로 out ~ 밖에/~밖으로 밖으로 up ~ 위로 위로 down ~ 아래로 아래로 into ~ 안으로 안으로 along ~ 을 따라 쭉 across ~ 저쪽에 저쪽으로 by ~ 곁에 가까이 over ~ 위로 넘어서 on ~ 위에 위에 전치사일 때와 부사일 때의 뜻이 비슷한 경우..
-
[9.08] 꼭 기억해두자!풀어 쓴 기초영문법/21. 전치사, 명사와 한 덩어리다(1/1) 2012. 10. 12. 11:28
전치사 뒤에 나오는 말을 전치사의 목적어라고 합니다. 전치사의 목적어가 되려면 명사나 명사처럼 쓰일 수 있는 말이어야 하지요. 특히 인칭대명사일 때는 반드시 me, you, him, her, it, us, them과 같은 목적격만 쓰일 수 있습니다. 전치사구는 형용사나 부사의 역할을 한다. 전치사와 그 목적어가 한 덩어리로 합쳐진 걸 전치사구합니다. 전치사구는 형용사럼 명사를 꾸미거나 부사처럼 동사를 꾸밉니다. 전치사가 공간을 나타낼 때는 정확히 어떤 상황을 말하는지 알아야 한다. 전치사가 시간을 나타낼 때는 뒤에 올 수 있는 시간의 단위를 알아야 한다. 나머지의 경우는 대표적인 뜻을 가지고 뜻을 추측해 본다. 전치사는 관계를 나타낸다고 했습니다. 관계란 시간과 공간, 원인과 결과, 수단과 목적 등등을 ..
-
[8.00] 관사란...풀어 쓴 기초영문법/19, 관사, 명사가 뒤따라 온다는 신호(1/2) 2012. 10. 10. 20:06
관사1)가 뭐냐는 질문에 열에 아홉은 a나 an 그리고 the2)라고 대답합니다. 맞습니다. 이 셋이 관사입니다. 영어의 관사는 딱 이 셋입니다. 게다가 an은 a가 변한 것입니다. 뒤에 모음이 나올 경우 발음 및 청취의 편의를 위해 n을 하나 더 넣은 것입니다. 그러니 관사는 a와 the 딱 두 개라고 해도 됩니다. 둘밖에 되지 않는 관사를 무시할 수 없는 건 정말 많이 쓰이기 때문입니다. 영어에서 the는 첫 번째로 많이 쓰이는 단어입니다.3) a는 다섯번째, an은 마흔 네번째입니다. a와 an을 하나로 합쳐 센다면 등수는 더 높아집니다. 관사가 뭐냐는 질문에 a와 the라고 대답하는 건 사실 관사가 뭔지에 대한 설명이라기보다 그냥 예를 든 것에 불과하다는 것입니다. 과일이 뭐냐는 질문에 사과, 오..
-
[8.01] 정관사와 부정관사풀어 쓴 기초영문법/19, 관사, 명사가 뒤따라 온다는 신호(1/2) 2012. 10. 10. 20:03
관사를 공부할 때 먼저 알아야 할 게 있습니다. the를 정관사, a와 an1)을 부정관사라고 한다는 것입니다. 이 명칭 속에 관사를 이해하는 커다란 비밀이 들어 있지요. 정관사의 ‘정’은 정할 정定입니다. 정해진 것에 대해 말할 때 쓰는 관사라서 이런 이름이 붙었습니다.2) 반대로 부정관사의 ‘부정’은 아닐 부(不)에 정할 정(定)입니다. 정해지지 않은 것을 말할 때 쓰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었습니다.3) 정해진 것과 정해지지 않은 것에 대해서는 앞에서 간단히 설명했습니다. ‘그 공’이라고 할 때의 공은 정해진 것인 반면, ‘아무 공’이라고 할 때의 공은 정해지지 않은 것입니다. ‘그 공’이라고 할 때는 정관사 the를 써서 the ball이라 하고, ‘아무 공’이라고 할 때는 부정관사 a를 써서 a..
-
[8.02] 관사는 쓸 때, 안 쓸 때를 알아야 한다풀어 쓴 기초영문법/19, 관사, 명사가 뒤따라 온다는 신호(1/2) 2012. 10. 10. 20:01
관사의 쓰임은 까다롭습니다. ‘그’라 해서 무조건 the를 쓰고, ‘아무’라 해서 무조건 a나 an을 쓸 수 있는 건 아닙니다. the가 붙었지만 ‘그’가 아닐 수도 있고, a나 an이 붙었지만 ‘아무’가 아닐 수도 있습니다. 때에 따라 우리말 ‘모든’이 더 어울릴 때도 있습니다. 언제 정관사를 쓰고, 언제 부정관사를 쓸지 쉽고 간단히 설명할 수는 없습니다. 관사야말로 엿장수 맘대로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 정도지요. 영어를 잘하는 사람들도 어렵다고 하는 게 관사고, 심지어 영어를 쓰면 사는 사람들도 쓸지 말지 헷갈리는 게 관사라고 합니다. 영어를 외국어로 배우는 사람들에게는 두 말할 필요도 없습니다. 관사를 공부할 때 중요한 건 쓸 때와 안 쓸 때를 아는 것입니다. 관사는 결국 다음 세 가지의 문제입니..
-
[8.03] 정관사를 쓸 때풀어 쓴 기초영문법/19, 관사, 명사가 뒤따라 온다는 신호(1/2) 2012. 10. 10. 20:00
말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 모두 지금 자신들이 무엇에 대해 말하는지 알고 있을 때 정관사를 씁니다. 너도 알고 나도 아는 그 무엇, 서로 간에 정해진 그 무엇, 그래서 뭔가 특별할 수도 있는 무엇에 대해 이야기한다는 걸 알려주는 게 정관사입니다. 뒤에 오는 명사는 단수일 수도 복수일 수도 있습니다. 셀 수 없는 명사도 가능합니다. 단수와 복수의 구별 없이 the를 쓸 수 있다는 것입니다. (1) 앞에서 말한 것을 다시 말할 때 앞서 ‘공’과 ‘개’의 예를 들어 설명했던 것이니까 a girl이 the girl로 변한 예문만 하나 더 보겠습니다. I met a girl. 나는 어떤 소녀를 만났다. The girl was very cute. 그 소녀는 아주 귀여웠다. (2) 말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 모두가 무엇..
-
[8.04] [좀 더 넓게] 정관사 the는 세 가지로 읽는다풀어 쓴 기초영문법/19, 관사, 명사가 뒤따라 온다는 신호(1/2) 2012. 10. 10. 19:54
the에는 모두 세 가지 발음이 있습니다. 우리에게는 ‘더’와 ‘디’ 또는 ‘디이’처럼 들리지만 애초 한글로는 적을 수 없는 발음입니다. ㄷ처럼 들리는 소리는 발음기호로 [ð]로 적은 소리입니다. 윗니와 아랫니로 혀를 살짝 깨문 다음 그 사이로 공기를 내 뱉음과 동시에 혀를 살짝 집어넣으며 내는 소리입니다. 또 ‘ㅓ’로 들리는 소리도 우리말의 ㅓ와 다릅니다. 발음기호로 [ə]로 적는데 약한 ㅓ 소리입니다. 사실 한글로 ‘더’, ‘디’, ‘디이’로 적은 건 다 틀린 것입니다. [ðə], [ði], [ðiː]로 쓰는 게 맞습니다. ① [ðə 더]로 읽을 때 뒤에 나오는 낱말이 자음으로 시작할 때입니다. 자음이란 우리말로 ㄱ, ㄴ, ㄷ, ㄹ……과 같은 소리입니다. 영어에서는 a, e, i, o, u를 뺀 나머..
-
[8.05] 정관사 the의 특별한 쓰임풀어 쓴 기초영문법/19, 관사, 명사가 뒤따라 온다는 신호(1/2) 2012. 10. 10. 19:51
뒤따라 나올 명사가 가리키는 건 너도 알고 나도 알는 것이라는 신호를 보내는 게 정관사의 역할입니다. 하지만 이밖에도 정관사의 특별한 쓰임이 있습니다. 정관사의 주된 역할에서 벗어난 것들이지만 오히려 그렇기 때문에 따로 알아두어야 합니다. (1) 명사 없이 형용사 하고만 쓰일 때 형용사 뒤에 명사가 숨어 있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 사람들, 사람, 것, ~함 그 자체 숨어 있을 가능성이 가장 높은 건 ‘사람들’입니다. 예컨대 ‘가난한’이란 뜻의 형용사 poor나 부하다는 뜻의 형용사 rich 앞에 정관사 the가 쓰였다면, 그 뒤에 ‘사람들’이란 명사가 숨어 있다고 보면 됩니다.1) the poor 가난한 사람들(빈자) the rich 부한 사람들(부자) ‘사람들’이란 명사로는 억지스럽다면 글의 앞뒤를 ..
-
[8.06] 부정관사의 쓰임풀어 쓴 기초영문법/19, 관사, 명사가 뒤따라 온다는 신호(1/2) 2012. 10. 10. 19:46
부정관사에는 a와 an 두 가지가 있습니다. 둘 다 같은 뜻이지만, a는 뒤에 자음이 나올 때 쓰고, an은 뒤에 모음이 나올 때 씁니다. a는 약한 ‘어[ə]’1)고 an은 약한 ‘언[ən]’입니다2). 부정관사는 가리키는 게 뭔지 분명하지 않을 때 씁니다. 막연한 ‘아무것’ 또는 ‘어떤 것’에 대해 말할 때 쓰지만, 그것은 반드시 하나여야 합니다. 뒤에 반드시 단수형 명사가 온다는 뜻입니다. (1) 막연한 것 하나를 가리켜 ‘어떤 하나의’란 뜻으로 무언가에 대해 처음 이야기를 꺼낼 때, 딱 뭐라 정해지지 않은 것에 대해 이야기할 때 사용합니다. A boy came to see me. 어떤 소년 한 명이 나를 보러 왔다. 꼭 뭐라 말할 필요가 없는 것에 대해서도 쓸 수 있습니다. ‘뭐가 있더라.’란 식..
-
[8.07] [좀 더 넓게] a와 an을 구별해 쓰기 연습풀어 쓴 기초영문법/20. 관사, 명사가 뒤따라 온다는 신호(2/2) 2012. 10. 10. 19:39
부정관사 a와 an은 뒤에 나오는 소리에 따라 구별해 사용한다고 했습니다. 글자가 아니라 소리입니다. ‘화재’라고 할 때는 a fire1)지만, 알파벳 F를 말할 때는 an F가 됩니다. F는 ‘에프[ef]’로 읽기 때문에 모음으로 시작합니다. a fire 화재 / an F 알파벳 가운데 자음을 나타내는 글자이지만, 그 이름은 모음으로 시작하는 것이 몇 개 더 있습니다. a hen 암탉 / an H a lion 사자 / an L a man 남자 / an M a nail 못 / an N a radio 라디오 / an R a sandwich 샌드위치 / an S a xylophone2) 실로폰 / an X 나머지 글자들은 an나 a 둘 중의 하나로 통일이 됩니다. 이것들은 모음을 나타내는 글자는 모음으로 시..
-
[8.08] 아무 관사도 쓰지 않을 때풀어 쓴 기초영문법/20. 관사, 명사가 뒤따라 온다는 신호(2/2) 2012. 10. 10. 19:35
갓이란 게 내 머리에 쓰는 것이지만 그렇다고 맘대로 썼다 벗어다 할 수 있는 건 아닙니다. 격식을 차려야 하는 장소에 있다면 싫다고 맘껏 벗어버릴 수 없습니다. 관사도 마찬가지입니다. 있어야 할 곳에는 반드시 있어야 합니다. 단수 명사가 그런 경우입니다. 우리말에서는 “머리에 쓰는 게 뭐니?”라고 물을 때 “모자요!”라고 해도 되지만 영어에서는 그냥 “hat.”이라고만 안 됩니다. 단수명사는 홀로는 쓰이지 않기 때문입니다. “hats."라고 복수로 쓰거나 "a hat.”이라고 관사를 붙여 말해야 합니다. "the hat."도 가능하지만 이 경우에는 해당하지 않습니다. an apple, a banana and an orange 사과, 바나나, 그리고 오렌지 이처럼 과일의 종류 같은 것을 나열하거나 할 때 ..
-
[8.09] [좀 더 깊게] 전체에 대해 말하는 법풀어 쓴 기초영문법/20. 관사, 명사가 뒤따라 온다는 신호(2/2) 2012. 10. 10. 19:30
굳이 ‘모든’이란 말을 쓰지 않아도 전체에 대해 말할 수가 있습니다. 우리말이라면 그냥 그 종류의 이름을 말하기만 하면 됩니다. 고래는 포유동물이다. 여기서 ‘고래’가 가리키는 게 ‘모든 고래’입니다. 고래 중 일부만 포유동물이라 말하는 게 아닙니다.1) 모든 고래가 포유동물이란 사실을 생각해 보면 바로 알 수 있습니다. 영어도 이와 비슷한 방법으로 전체에 대해 말할 수 있습니다. 모두 세 가지 방법입니다. (1) 를 쓰는 방법 정관사 뒤에 꼭 단수명사여야 합니다. The whale is a mammal. 고래는 포유동물이다. the whale을 ‘그 고래’라고 새기면 안 됩니다. ‘고래라는 것’ 정도면 좋습니다. 고래라는 동물 전체를 말하는 거지요. 개도, 원숭이도, 상어도 아닌 ‘고래’라는 종을 말하..
-
[8.10] [좀 더 깊게] 관사와 함께 쓸 수 없는 것들풀어 쓴 기초영문법/20. 관사, 명사가 뒤따라 온다는 신호(2/2) 2012. 10. 10. 19:27
관사는 꾸미는 말 중 가장 앞에 나오려는 속성도 있기 때문에 앞에 나오려는 성질을 가진 다른 말들과 함께 오는 것을 싫어하기도 합니다. 대표적으로 소유대명사와 지시형용사가 그런 성질을 가졌습니다. ■ 소유형용사 my, your, his, her, its, our, their1) ■ 지시형용사 this, that, these, those 소유대명사도 지시형용사도 꾸미는 말 중에 가장 앞에 나오려는 성질이 있습니다. 따라서 정관사나 부정관사를 함께 쓰면 이상한 표현이 되어 버립니다. the my boy X a my car X the our school X a that pencil X 비슷한 이유로 관사와 함께 쓰지 않는 것들이 더 있습니다. every(모든)와 each(각각)라는 형용사입니다.2) an ev..
-
[8.11] 관사의 위치풀어 쓴 기초영문법/20. 관사, 명사가 뒤따라 온다는 신호(2/2) 2012. 10. 10. 19:24
관사는 명사를 꾸민다는 점에서 일종의 형용사이지만 쓰이는 위치가 다릅니다. 형용사는 명사 뒤에 나올 수 있지만 관사는 반드시 명사 앞에 나옵니다. 뒤에 명사가 나올 것임을 알려주는 역할을 하지요. 관사는 또 명사를 꾸미는 다른 모든 말들보다 앞에 나와야 합니다. 다른 형용사들보다도앞에 나오고, 그 형용사를 꾸미는 부사보다도 앞에 나옵니다. a very clever boy 아주 똑똑한 소년 the most clever boy 가장 똑똑한 소년 하지만 늘 이렇지 않다는 게 문제입니다. 형용사나 부사 중에는 관사보다 앞서 나오는 게 있습니다. (1) 양이나 수를 나타내는 몇 가지 형용사 다음과 같은 형용사들은 명사를 꾸미는 말들 중 가장 앞에 나옵니다. half, all, both, double1) 정관사조차..
-
[8.12] 꼭 기억해두자!풀어 쓴 기초영문법/20. 관사, 명사가 뒤따라 온다는 신호(2/2) 2012. 10. 10. 19:22
관사에는 정관사와 부정관사 두 종류가 있습니다. 명사 앞에 나와서 뒤에 명사가 나올 것이며, 그 명사는 어떤 것이 될지 알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정관사는 정해진 명사가 올 것임을 부정관사는 정해지지 않은 명사가 올 것임을 말해 준다. 정관사의 ‘정’은 정해졌다는 뜻이고, 부정관사의 ‘부정’은 정해지지 않았다는 뜻입니다. 말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 모두 지금 무엇에 대해 말하는지 알고 있다면 ‘정’이고, 그렇지 않다면 ‘부정’입니다. 뜻도 많고 쓰임도 복잡한 게 관사이지만 여기서 크게 벗어나는 일은 없습니다. 정관사, 부정관사, 무관사 관사에서 중요하는 건, 언제 정관사를 쓰고, 언제 부정관사를 쓰는지 또 언제 아무것도 쓰지 않은지를 아는 것입니다. 특히, 관사를 쓰지 않는 경우, 즉 무관사를 무시하면 안 ..
-
[8.13] [좀 더 넓게] 관사의 쓰임 정리풀어 쓴 기초영문법/20. 관사, 명사가 뒤따라 온다는 신호(2/2) 2012. 10. 10. 19:20
관사의 기본적인 쓰임을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정해져 있음 (특정) 정해져 있지 않음 (불특정) 단수 the dog 특정한 개 the apple 특정한 사과 a dog 불특정한 개 an apple 불특정한 사과 복수 the dogs 특정한 개들 the apples 특정한 사과들 some dogs 불특정한 개들 some apples 불특정한 사과들 정관사와 부정관사의 차이는 뒤에 나오는 명사가 정해진 것이냐 아니냐입니다. 정해진 것을 특정이라고 하고, 정해지지 않은 것을 불특정이라고 합니다. 특정한 것은 ‘어떤’이란 뜻에, 불특정한 것은 ‘아무 ’란 뜻에 해당한다고 보면 됩니다. 불특정한 여러 개를 나타낼 때 쓰는 관사는 따로 없습니다 없어. 부정관사 뒤에는 복수형이 올 수 없기 때문이지요. 무관..
-
[7.00] 부사란...풀어 쓴 기초영문법/17. 부사, 위치와 순서를 본다(1/2) 2012. 10. 5. 12:19
부사1)는 버금 부(副)에 말 사(詞), ‘버금가는 말2)’이란 뜻입니다. 첫째를 ‘으뜸’이라 하고, 둘째를 ‘버금’이라고 합니다. 그럼 첫째 가는 말은 뭘까요? 바로 동사입니다. 바늘이 실보다 먼저 가듯 동사가 나와야 부사가 나옵니다. ‘가다’는 동사입니다. ‘가다’라고만 해도 말은 되지만 더 자세히 말하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가긴 가는데 어떻게, 언제, 어디서, 어디로 가는지 말하고 싶습니다. 이걸 해결해 주는 게 부사입니다. “어떻게 갔니?”라고 물었을 때 “빨리 갔다.”라고 답할 수 있습니다. ‘빨리’가 ‘어떻게’에 해당하는 말로 부사입니다. 동사를 꾸미는 게 부사가 하는 역할의 전부는 아닙니다. 형용사를 꾸밀 수도 있습니다. 아주 아름다운 풍경 ‘아주’가 형용사인 ‘아름다운’을 꾸미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