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어 쓴 기초영문법
-
[18.11] 관계부사는 <관계사+부사>의 역할이다풀어 쓴 기초영문법/33. 관계사절, 관계사가 이끄는 절 2018. 2. 12. 12:47
관계부사는 관계사절 속에서 부사의 역할을 합니다. 부사의 역할이란 동사의 부족한 부분을 보충해 주는 것입니다. ‘갔다’라는 말로만 부족하니까 어디로 갔는지, 언제 갔는지, 왜 갔는지, 어떻게 갔는지를 부사나 부사구를 가지고 보충해줍니다. 주로 장소, 시간, 이유, 방법을 나타내는 부사나 부사구를 사용합니다. 관계부사도 마찬가지입니다. 장소, 시간, 이유, 방법, 이 네 가지를 나타내고, 종류도 네 가지입니다. where 장소 when 시간 why 이유 how 방법 관계부사도 관계사라서 당연히 선행사가 있습니다. 이 또한 장소, 시간, 이유, 방법을 나타내는 말들입니다. 모든 관계부사가 로 바꿔쓸 수 있다는 것도 함께 알아둡시다. (1) 장소의 관계부사 where 장소를 나타내는 선행사와 함께 쓰입니다. ..
-
[18.12] [좀 더 넓게] 복합관계부사도 있다풀어 쓴 기초영문법/33. 관계사절, 관계사가 이끄는 절 2018. 2. 12. 12:04
관계부사 where, when, how에 -ever를 붙이면 복합관계부사가 됩니다. wherever 어디서/어디로 ~하든, ~하는 곳은 어디든 whenever 언제 ~하든, ~할 때는 언제든 however 어떻게 ~하든, 아무리 ~하도 선행사까지 이미 포함하고 있어서 앞에 선행사가 필요 없습니다. 간단히 ‘어디든’, ‘언제든’, ‘어떠하든’의 뜻이라고 알고 있으면 됩니다. 모두 양보절을 이끕니다. I will follow you, wherever you go. 네가 어디로 가든지, 나는 너를 따른 것이다. Let me know, whenever you come here. 네가 언제 여기 오든, 내게 알려줘. However tired you may be, you must do it. 네가 아무리 피곤해도,..
-
[18.13] 선행사의 생략풀어 쓴 기초영문법/33. 관계사절, 관계사가 이끄는 절 2018. 2. 12. 12:02
굳이 밝힐 필요가 없다면 관계부사 앞에서 선행사를 생략해도 문제가 없습니다. 관계부사 자체에 이미 선행사의 의미가 들어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the place(장소), the time(시간), the day(날), the reason(이유), the way(방법)가 선행사라면 생략해도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This is the place where I stayed. 이곳은 내가 머물던 곳이다. 여기서 the place는 ‘장소’, ‘곳’ 정도의 의미밖에 없습니다. where에 이미 그런 뜻이 들어 있으니 생략해도 됩니다. This is where I stayed. 이곳은 내가 살던 곳이다. 단, 선행사가 어떤 구체적인 장소를 가리킨다면 남겨두어야 합니다. This is the hotel where..
-
[18.14] that은 관계부사로도 쓰인다풀어 쓴 기초영문법/33. 관계사절, 관계사가 이끄는 절 2018. 2. 12. 11:44
that이 관계부사의 역할을 할 때가 있습니다. where, when, why, how 등 모든 관계부사를 대신할 수 있으니 만능일 것 같지만, 무조건 다 되는 건 아닙니다. 선행사가 자주 쓰이는 place, time, year, day, reason, way 등의 명사일 때만 가능합니다. This is the place that he died. 이곳이 그가 죽은 곳이다. He died on the day that I arrived. 그는 내가 도착한 날 죽었다. Is that the reason that you went there? 그게 네가 거기에 간 이유니? Show me the way that1) you made it. 네가 그걸 만든 방법을 보여줘. 네 문장 모두에서 that은 관계부사입니다. ..
-
[18.15] 관계사의 생략풀어 쓴 기초영문법/33. 관계사절, 관계사가 이끄는 절 2018. 2. 10. 00:15
관계사절의 핵심은 관계사입니다. 관계사가 있어야 관계사절이 만들어집니다. 그런데 핵심적인 것이라면 제 자리를 든든히 지켜줘야 하는데 그렇지가 못합니다. 사람들은 번거롭게 격식을 차리보다는 간단하고 편한 걸 좋아합니다. 없어도 아무렇지 않다면 가능하면 없애려 합니다. 관계사도 예외는 아닙니다. 조건이 허락한다면 관계대명사와 관계부사를 생략하기도 합니다. (1) 관계대명사의 생략 목적격 관계대명사는 언제든 생략할 수 있습니다.1) 동사의 목적어든 전치사의 목적어든 가리지 않습니다. The boy you met yesterday is my son. 당신이 어제 만난 소년이 내 아들이다. 관계절의 주어 you 앞에 관계대명사 whom2)이나 that이 사라졌습니다. 타동사 met3)의 목적어로 쓰인 관계대명사가..
-
[18.16] 꼭 기억해두자!풀어 쓴 기초영문법/33. 관계사절, 관계사가 이끄는 절 2018. 2. 10. 00:05
선행사에 대해 말하는 문장을 관계사절이라고 합니다. 관계사절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건 관계사입니다. 관계사로 시작하기 때문에 관계사절이라 합니다. 관계대명사 관계형용사 관계부사 관계사절 속에서의 역할에 따라 관계사는 세 종류로 나뉘어집니다. 관계대명사는 대명사의 역할을, 관계형용사는 형용사의 역할을, 관계부사는 부사의 역할을 합니다. 대명사, 형용사, 부사의 개념을 분명히 알고 있다면 이해하는 건 어렵지 않습니다. who(whom, whose), which, that, what whoever(whomever, whosever), whichever, whatever, as, but, than 이것들은 관계대명사입니다. 각각 어떻게 쓰이는지 알아두도록 합시다. who, which, that, what..
-
[18.17] [좀 더 깊게] 관계사절이 있는 문장 해석하기풀어 쓴 기초영문법/33. 관계사절, 관계사가 이끄는 절 2018. 2. 10. 00:00
영어는 우리말과 어순이 다른데 거기에 관계사절까지 더해지면 해석하기가 꽤나 까다로워집니다. 대충 뭔 뜻인지 안다 해도 막상 우리말로 옮기려면 막막해지기 쉽습니다. 뭔가 요령이 필요합니다. What was the name of the boy who won the race? 경기에서 우승한 그 소년의 이름은 무엇이었니? 영어와 우리말의 어순이 크게 다르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경기에서 이긴’이란 말만 봐도 우리말에서는 제일 앞에 나왔지만, 영어에서는 제일 뒤에 나왔습니다. 영어와 우리말의 순서가 반대인 상황입니다. 하지만 이렇게 반대라고 해서 무조건 뒤에서부터 해석하려 들면 안 됩니다. 때론 앞에서부터 해석해야 하는 것도 있습니다. 대책 없이 앞뒤로 왔다 갔다 하다가는 뜻을 놓치기 쉽습니다. 좋은 방법은 ..
-
[17.00] 비교법이란...풀어 쓴 기초영문법/31. 비교법, 같음과 다름을 말하는 방법 2018. 2. 9. 18:49
여러 개를 놓고 서로의 같은 점과 다른 점을 찾는 걸 비교라고 합니다. 비교를 하게 되면 그들 사이의 관계뿐 아니라, 각각에 대해서도 더 잘 알 수 있습니다. 뭐든 제대로 알려면 반드시 다른 것과 비교해 봐야 합니다. 비교를 통해 알게 되는 것은 결국 비교된 것들의 같음과 다름입니다. 말로 표현할 때는 기본적으로 다음 세 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영철이는 소영이만큼 머리가 좋다. 소영이는 영철이보다 키가 더 크다. 소영이는 반에서 가장 크다. 첫 문장은 같음을 말하고 있습니다. 소영이와 영철이의 지능을 비교해서 둘 다 같다고 말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둘째 문장과 셋째 문장은 다름을 말하고 있습니다. 둘째 문장은 두 사람을 비교한 결과가 서로 다르다고 말하고 있다면, 셋째 문장은 반 아이들 모두를 비교한 결..
-
[17.01] '원급'으로 비교하기풀어 쓴 기초영문법/31. 비교법, 같음과 다름을 말하는 방법 2018. 2. 9. 18:28
형용사나 부사의 기본 형태를 원급이라고 합니다. 동사의 기본형을 ‘원형’이라 한다면, 형용사와 부사의 기본형은 ‘원급’이라 하지요. 사전을 찾을 때는 바로 이 원급을 사용합니다. 뒤에 -er이나 -est가 붙지 않아야 합니다. 그리고 이 원급으로 비교의 문장을 만들 때 쓰는 형식이 입니다. 같음을 나타내는 문장이 됩니다. Jenny is as tall as Henry. 제니는 헨리만큼 키가 크다. I love him as much as she.1) 그녀가 그를 사랑하는 만큼 나도 그를 사랑한다. 그런데 이 형태에 변화를 주게 되면 다름을 나타낼 수도 있습니다. (1) 배수를 쓰는 경우 앞에 twice(두 배)처럼 배수를 나타내는 말을 넣으면 ‘몇 배 ~한’이란 뜻이 됩니다. This country is ..
-
[17.02] '비교급'으로 비교하기풀어 쓴 기초영문법/31. 비교법, 같음과 다름을 말하는 방법 2018. 2. 9. 18:20
형용사나 부사의 비교급은 더함이나 덜함을 말할 때 쓰입니다. ‘다름’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Henry is taller than Jenny. 헨리는 제니보다 더 키다 크다. 비교급 앞에 를 쓰면 구체적으로 얼마나 큰지도 나타낼 수 있습니다. Henry is two inches taller than Jenny. 헨리는 제니보다 2인치 더 키다 크다. 어떤 경우든 이 기본입니다. ‘더’ 아닌 ‘덜’의 의미로 앞에 less를 써도 형태는 그대로입니다. Jenny is less tall than Henry. 제니는 헨리보다 덜 크다. 하지만 늘 그렇듯 기본형이 잘 지켜지지는 않는다는 것이 문제입니다. 여러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1) 비교급 앞에 the가 붙는 경우 이런저런 저런 이유로 비교급 앞에 the가 ..
-
[17.03] [좀 더 넓게] <as+원급+as> 형태의 특별한 표현들풀어 쓴 기초영문법/31. 비교법, 같음과 다름을 말하는 방법 2018. 2. 9. 18:10
‘얼음장처럼 차가운’, ‘눈처럼 흰’, ‘수정처럼 맑은’과 같은 비유적인 표현을 쓸 때 의 형식을 많이 사용합니다. 재미있는 표현이 많습니다. as cold as ice 얼음처럼 차가운 as white as snow 눈처럼 흰 as clear as crystal 수정처럼 맑은 as light as a feather 깃털처럼 가벼운 이것들은 우리말에도 비슷한 표현이 있지만, 영어에만 독특하게 쓰이는 것들도 있습니다. 영어를 쓰는 사람들의 발상이 들어 있는 것들입니다. as good as gold 금처럼 얌전한 as cool as a cucumber 오이처럼 냉정한 as black as thunder 우레처럼 검은 → 매우 화가 난 as dead as a doornail 대갈못처럼 꼼짝 안 하는 → 아주 죽..
-
[17.04] '최상급'으로 비교하기풀어 쓴 기초영문법/31. 비교법, 같음과 다름을 말하는 방법 2018. 2. 9. 18:03
한 집합에 속한 다른 모든 것들과 비교해서 최고인 것에 대해 쓰는 게 최상급입니다. 최고의 것은 딱 하나 정해진 것이니까 앞에는 정관사 the를 붙이지요. Henry is the tallest of all his classmates. 헨리는 반 친구들 중에서 가장 키가 크다. 최고의 것은 막연할 수가 없습니다. 반드시 무언가의 집합에서 최고가 됩니다. 그냥 ‘키가 제일 큰 사람’이라고 해서는 안 됩니다. ‘우리 반에서’, ‘우리 학교에서’와 같이 범위를 정해줘야 합니다. 그래서 최상급 뒤에는 전치사 of, among, in 등이 오고 그 뒤에 집합을 나타내는 말이 오게 되어 있습니다. 물론 몇 가지 변형도 있습니다. (1) 뒤에 that (has) ever lived와 같은 말이 붙을 때 ‘이제까지 존재..
-
[17.05] [좀 더 넓게] 최상급 없는 최상급풀어 쓴 기초영문법/31. 비교법, 같음과 다름을 말하는 방법 2018. 2. 9. 17:56
최상급을 쓰지 않고도 최상급을 나타내는 방법이 있습니다. 그는 달리기를 가장 잘한다. 다른 누구도 그보다 달리기를 잘하지 못한다. 그는 다른 어떤 사람보다 달리기를 잘한다. 각각 표현 방법이 다르기는 해도 세 문장 모두 같은 사실을 말하고 있습니다. ‘가장’이 들어간 첫 문장이 최상급을 쓴 것이라면, 나머지 둘은 최상급을 쓰지 않는 방법이라 할 수 있습니다. Mt. Baekdu is the highest mountain in Korea. 백두산은 한국에서 제일 높은 산이다. 이건 최상급이 들어간 문장입니다. 이걸 최상급 없이 같은 뜻의 문장으로 만들 수 있는데, 부정문을 쓰는 방법과 긍정문을 쓰는 방법이 있습니다. (1) 부정문을 사용하는 방법 주어 앞에 no라는 부정어를 쓰면 되는데, 원급을 써서 만들..
-
[17.06] 꼭 기억해두자!풀어 쓴 기초영문법/31. 비교법, 같음과 다름을 말하는 방법 2018. 2. 9. 17:36
무언가를 비교한 결과 같은 점과 다른 점을 발견하면, 그걸 문장으로 표현할 수 있어야 합니다. 다음 세 가지가 기본이 될 것입니다. 같음, 다름, 최고임 비교의 결과를 이렇게 세 가지로 나타낼 수 있듯이 형용사나 부사에도 세 종류가 있습니다. 원급, 비교급, 최상급 이것들이 긍정의 문장에서 쓰이면 원급은 ‘같음’을, 비교급은 ‘다름’을, 최상급은 ‘최고임’을 나타냅니다. 비교를 통해 파악한 세상의 모습을 그대로 담아낼 수 있게끔 언어 또한 그렇게 발전한 것입니다. 비교문의 형식을 익혀둔다. 원급, 비교급, 최상급을 써서 비교의 문장을 만드는 기본적 형식을 익혀두도록 해야합니다. 긍정문으로 할 때는 어떤 내용이 담기고, 부정문으로 할 때는 어떤 내용이 담기는지도 알아두어야 합니다. 형식뿐 아니라 뜻도 알아..
-
[17.07] the same과 different풀어 쓴 기초영문법/31. 비교법, 같음과 다름을 말하는 방법 2018. 2. 9. 17:31
무언가 두 개를 두고 ‘같다’고 말하거나 ‘다르다’고 말하는 것도 일종의 비교 문장입니다. 이때 많이 쓰는 게 바로 the same1)과 different입니다. the same이 ‘같다’, ‘똑같다’의 뜻이라면 different는 ‘다르다’는 뜻입니다. the same은 그냥 쓰일 수도 있고, as와 함께 쓰일 수도 있습니다. as와 쓰일 때는 그 뒤에 비교의 대상이 나옵니다. Those two cars are the same. 그 두 대의 차는 같은 것이다. Mine is the same as yours. 내 것은 네 것과 같다.2) different도 the same처럼 두 가지 방법으로 쓰입니다. 홀로 쓰일 수도 있고 전치사 from과 같이 쓰일 수도 있습니다. 미국식 영어에서는 가끔 from 대..
-
[16.00] 문장의 종류란...풀어 쓴 기초영문법/29. 문장의 종류, 주어와 동사를 본다 2018. 2. 7. 18:43
크게 보면 영어에는 모두 네 종류의 문장이 있습니다. 평서문, 의문문, 명령문, 감탄문 평서문은 '무엇이 어찌어찌 하다'고 주장하는 문장으로 글로 쓰면 마침표(.)로 끝납니다. 주장이 사실일 필요는 없습니다. “지구는 목성 주위를 돈다.”는 문장은 거짓이지만 문장이고, 그중에서도 평서문입니다. 의문문은 무언가를 묻는 문장입니다. 묻는다는 건 답을 요구하는 것입니다. 글로 쓸 때는 물음표(?)로 끝나고, 말로 할 때는 보통 끝을 올리는 게 특징입니다. 명령문은 남에게 뭔가 요구한다는 점에서는 의문문과 비슷합니다. 의문문이 말로 답해 주기를 요구한다면 명령문은 행동으로 답해 주기를 요구합니다. 글로 쓸 때는 평서문과 같이 마침표로 끝납니다. 끝으로 감탄문1)은 자신의 느낌을 강하게 표현하는 문장입니다. 듣는..
-
[16.01] 의문문에는 두 종류가 있다풀어 쓴 기초영문법/29. 문장의 종류, 주어와 동사를 본다 2018. 2. 7. 18:35
‘의문'은 의심할 의(疑)에 물을 문(問)입니다. 의심이 생겨 묻는다는 뜻입니다. 의문문은 바로 그런 일을 하는 문장입니다. 그런데 영어에서 문장이 그런 일을 하려면 반드시 동사가 주어 앞에 나와서 의 형식을 가져야 합니다. 그런데 여기에 두 종류가 있습니다. 그냥 로 시작하는 경우와 먼저 의문사가 나오고 그 뒤에 가 나오는 경우입니다. 앞의 것을 의문사가 있는 의문문이라 하고 뒤의 것을 의문사가 있는 의문문이라고 합니다. ■ 의문사가 없는 의문문: Are you Korean? 당신은 한국인입니까? ■ 의문사가 있는 의문문: Who are you? 당신은 누구입니까? 의문사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주로 많이 쓰입니다. who, when, where, what, why, how1) 물론 이게 다는 아닙니다..
-
[16.02] 의문사가 없는 의문문풀어 쓴 기초영문법/29. 문장의 종류, 주어와 동사를 본다 2018. 2. 7. 18:30
의문사가 없는 의문문1)은 평서문을 의문문으로 만드는 것입니다. 간단히 동사를 주어 앞으로 보내어 의 순서로 만들면 될 것 같지만 그게 안 될 때가 있습니다. 주어의 뒷자리에 떡 버티고 앉아 절대 움직이지 않으려는 동사가 있기 떄문입니다. 뭔가 다른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의문문을 만드는 방법에 여러 가지가 있는 건 그 때문입니다. (1) be동사가 쓰였을 때 be동사는 본동사로 쓰였든 조동사로 쓰였든 쉽게 주어 앞으로 갈 수가 있습니다. 그래서 바로 의문문이 만들어집니다. He was smart. 그는 똑똑했다. was가 be동사입니다. 동사는 이것 하나밖에 없으니 본동사이면서 일반동사로 쓰인 것입니다. 이걸 부담 없이 주어 앞으로 보내면 의문문이 만들어집니다. Was he smart? 그는 똑똑했니?..
-
[16.03] 부가의문문을 알아두자풀어 쓴 기초영문법/29. 문장의 종류, 주어와 동사를 본다 2018. 2. 7. 17:17
의문문이 아닌 문장에 짤막한 의문문을 덧붙일 수 있습니다. 부가의문문1)이라 하는데 여기서 ‘부가’란 '덧붙였다'라는 뜻입니다. 문장의 뒤에 살짝 덧붙이는 의문문이 부가의문문인 것입니다. “그 연극 정말 재밌었어.”라는 평서문 뒤에 “그렇지 않니?”란 질문을 살짝 덧붙이는 식입니다. “그 연극 정말 재밌었어, 그렇지 않니?” 뭘 물으려 한다기보다 연극이 재밌었다는 사실을 강조하려는 것 같지 않나요? 영어의 부가의문문도 비슷합니다. 물을 때보다 강조하려 할 때 많이 사용합니다. The show was very nice, wasn't it? 쇼가 아주 좋았어, 그렇지 않니? John did his best, didn't he? 존은 최선을 다했어, 그렇지 않니? Jenny can drive a car, ca..
-
[16.04] 의문사가 있는 의문문풀어 쓴 기초영문법/29. 문장의 종류, 주어와 동사를 본다 2018. 2. 2. 13:13
의문사1)가 있는 의문문은 의문사로 시작한다는 점만 다를 뿐 의 형식을 사용하는 것은 같습니다. be동사, 일반동사, 조동사 중 무엇이 쓰이느냐에 따라 만드는 방법이 달라지는 것도 의문사 없는 의문문과 같습니다. (1) be동사가 쓰였을 경우 be동사가 주어의 앞에 오면서 의문문의 형태를 가집니다. Where is she? 그녀는 어디 있니? What are you doing now? 너는 지금 무엇을 하고 있니? (2) 일반동사만 쓰였을 경우 주어 앞에 do동사를 써서 의 형태를 만들어준다는 점에서 의문사가 없는 의문문과 같습니다. What did you eat? 너는 무엇을 먹었니? Where does he live? 그는 어디서 삽니까? Which do you prefer, coffee or t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