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어 쓴 기초영문법
-
[19.04] 행위자를 나타내는 전치사들풀어 쓴 기초영문법/34. 수동태, be동사의 시제를 본다 2018. 3. 2. 18:21
수동태 문장에서 행위자를 나타낼 때는 주로 전치사 by를 쓴다고 했습니다. 전치사 by에 ‘~에 의해’라는 뜻이 있기 때문입니다. The patriot was killed by people. 애국자가 사람들에게 죽임을 당했다. 하지만 by 이외에도 at, with, in, to 등의 다양한 전치사로 행위자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언제 이들 전치사를 사용할까요? 과거분사를 보면 됩니다. 각각 좋아하는 전치사가 따로 있습니다. She was surprised at the news. 그녀는 그 소식에 놀랐다. I am pleased with my students. 나는 나의 학생들 때문에 기쁘다. I am interested in music. 나는 음악에 흥미가 있다. The doctor is known to..
-
[19.05] 구동사는 수동태에서도 떨어지지 않는다풀어 쓴 기초영문법/34. 수동태, be동사의 시제를 본다 2018. 3. 2. 18:04
동사가 부사나 전치사 등과 합쳐져서 마치 하나의 동사처럼 쓰이는 것을 구동사라 한다고 했습니다. 늘 한 덩어리로 뭉쳐 다니는 것이 원칙이지만 때론 그 원칙이 깨질 때가 있었습니다. 동사에 부사가 붙어 만들어진 구동사의 경우입니다. I turned it down. 나는 그것을 거절했다. 특히 대명사(윗 문장에서는 it)가 목적어일 경우 구동사를 쪼개고, 꼭 그 사이에 자리를 잡는다고 했습니다. 하지만 이건 능동태의 경우입니다. 수동태가 되면 달라집니다. 목적어가 주어로 빠져나면서 동사와 부사가 다시 달라붙게 되기 때문입니다. It was turned down by me. 그것은 나에 의해 거절되었다. 따라서 구동사의 수동태는 오히려 간단합니다. 구동사 전체를 하나의 덩어리로 보는 것입니다. laugh at..
-
[19.06] [좀 더 넓게] 명사절이 목적어로 쓰였을 때풀어 쓴 기초영문법/34. 수동태, be동사의 시제를 본다 2018. 3. 2. 17:50
주어와 동사가 있는 절이 문장의 목적어로 쓰일 수 있다는 건 이미 배웠습니다. 명사절이라 한다고 했지요. They1) say that he is honest. 사람들은 그가 정직하다고 말한다. that 이하가 명사절입니다. that절이라고도 합니다. ‘그가 정직하다는 것을’이란 뜻의 목적어로 쓰였습니다. 따라서 이 부분을 주어로 수동태 문장을 만들 수 있습니다. That he is honest is said. 그는 정직하다고 말하여진다. 영어는 이처럼 긴 주어가 문장의 앞에 나오는 걸 좋아하지 않는다고 했습니다. 가주어 it을 사용해 주어로 쓰인 that절을 문장의 뒤로 보내면 더 좋은 문장이 됩니다. It is said that he is honest.2) 하나의 예만 더 봅시다. Everyone3) ..
-
[19.07] 문장의 종류에 따른 수동태 문장풀어 쓴 기초영문법/34. 수동태, be동사의 시제를 본다 2018. 2. 26. 13:11
평서문뿐 아니라 부정문, 의문문, 명령문 등 모든 종류의 문장을 수동태 문장으도 만들 수 있습니다. 복잡할 것 같지만 뜻밖에 단순합니다. 기본 원리만 충실히 따라주면 됩니다. (1) 부정문 be동사로 시작하는 수동태 동사는 be동사 뒤에 not을 붙이면 됩니다. I am not satisfied with the result. 나는 그 결과에 만족하지 않는다. The mountain was not covered with the snow. 그 산은 눈으로 덮여 있지 않았다. 조동사도 쓰였다면 조동사 뒤에 not을 붙입니다. It should not be done. 이것은 되어져서는 안 된다. → 이건 하면 안 된다 You will not be fired.1) 너는 해고되지 않을 것이다. (2) 의문문 be동..
-
[19.08] [좀 더 넓게] 수동태 문장에도 형식이 있을까?풀어 쓴 기초영문법/34. 수동태, be동사의 시제를 본다 2018. 2. 26. 12:59
영어의 문장은 문장의 5형식 중 하나에 속한다고 했습니다. 당연히 수동태 문장도 그중 하나에 속하게 됩니다. 단, 어떤 형식에 속하는지 알고 싶다면 의미는 빼고 형식만 봐야 합니다. 특히 수동태 동사, 즉 를 하나의 동사로 보는 게 핵심입니다. ① 3형식 문장에서 만들어진 수동태 문장 The house was built by John. 주어+동사+부사어 She was surprised at the news. 주어+동사 +부사어 문장의 형식을 따질 때 부사어는 고려하지 않으니까 두 문장 모두 의 형식을 가진 1형식 문장입니다. ② 4형식 문장에서 만들어진 수동태 문장 I was given these books by Jenny. 주어+동사+목적어+부사어 These books were given me by J..
-
[19.09] 문장의 일부만 수동일 수 있다풀어 쓴 기초영문법/34. 수동태, be동사의 시제를 본다 2018. 2. 26. 12:39
이제까지 우리는 수동태의 문장에 대해 배웠습니다. 주어에 딸린 동사가 수동태면 문장 전체가 수동태 문장이 되었습니다. 그런데 문장의 일부만 수동의 의미를 가질 수가 있습니다. 문장 속의 to부정사나 분사가 수동태일 경우입니다. 앞서 이미 설명했듯이 to부정사와 분사의 수동태는 다음과 같습니다. ■ to부정사의 수동태 to be+과거분사(p.p.) / to have been+과거분사(p.p.) ■ 현재분사의 수동태 being+과거분사(p.p.) / having been+과거분사(p.p.) 이런 형태의 to부정사나 분사가 문장 속에 쓰이면 그 부분만 수동의 뜻을 가집니다. She seems1) to be shocked at the news. 그녀는 그 소식에 충격을 받은 것처럼 보인다. She seems t..
-
[19.10] [좀 더 넓게] 수동태가 없는 동사도 있다풀어 쓴 기초영문법/34. 수동태, be동사의 시제를 본다 2018. 2. 26. 12:22
타동사만이 수동태가 될 수 있지만, 그렇다고 모든 타동사가 수동태가 될 수 있는 건 아닙니다. 수동태가 될 수 없는 타동사도 있습니다.1) 대표적인 것이 ‘가지다’란 뜻으로 쓰일 때의 동사 have입니다. I have an idea. 나는 생각이 하나 있다. 분명 have는 an idea라는 목적어를 가지는 타동사지만 이 문장은 수동태가 될 수 없습니다. An idea is had by me. X 생각이 나에 의해 가져졌다. (?) 많이 쓰이는 타동사 중에 수동태로 이처럼 수동태로 쓸 수 없는 것들이 있습니다. afford 감당하다 resemble 닮다, become 어울리다2) cost 비용이 들다 수동태는 어떤 구체적 동작이 '되어지는' 상황을 보여줍니다. 하지만 위에 나오는 동사들은 구체적으로 특정..
-
[19.11] 꼭 기억해두자!풀어 쓴 기초영문법/34. 수동태, be동사의 시제를 본다 2018. 2. 26. 11:44
가장 편한 건 능동태 문장입니다. 능동태는 만들기도 쉽고 이해하기도 쉽습니다. 솔직하고 분명하다는 느낌을 주지요. 반면 수동태 문장은 어쩐지 에둘러 말하는 느낌이 강합니다. 수동태 문장의 장점이 뭔지 생각해 보자. 수동태 문장을 쓰는 데는 나름대로 이유가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건 행위자를 말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입니다. 또 말한다 하더라고 문장의 뒷부분으로 돌릴 수가 있습니다. 말할 때마다 누가 했는지 꼭 말해야 한다는 것은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그게 누군지 모를 수도 있고, 안다 하더라도 말하고 싶지 않을 때가 있습니다. 그럴 때 써먹을 수 있는 것이 수동태 문장입니다. 능동태 문장과 수동태 문장은 서로 관계가 있다. 능동태 문장은 수동태 문장으로, 수동태 문장은 능동태 문장으로 바뀔 수가 있습니..
-
[19.12] [좀 더 깊게] 능동태가 수동의 뜻을 가질 수도 있다풀어 쓴 기초영문법/34. 수동태, be동사의 시제를 본다 2018. 2. 26. 11:42
그 형태를 기준으로 동사를 수동태와 능동태로 구분합니다. 의 형태를 가져야만 수동태인 것입니다. 이 형태를 갖지 않은 동사는 능동태로 본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능동태의 형태를 가진 동사가 수동의 뜻을 갖는 경우가 있습니다. This book reads well. 이 책은 잘 읽힌다. 동사 reads는 분명 능동태입니다. 앞에 be동사가 없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뜻은 분명 수동입니다. 책이란 사물은 읽는 행동을 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동사 reads를 ‘읽는다’가 아니라 ‘읽힌다’로 봐야 합니다. 이렇게 형태로는 능동태지만 뜻은 수동인 동사들이 있습니다.1) 대개 자동사로 쓰이고 로 된 1형식 문장을 만듭니다. This kind of fabric cleans easily. 이런 종류의 직물은 때가..
-
[18.00] 관계사절이란...풀어 쓴 기초영문법/32. 관계사절, 관계사가 이끄는 절 2018. 2. 23. 12:17
영어 문법에서 가장 복잡하고 까다로운 부분을 하나 꼽으라면 관계사절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런 저런 까다로운 문법용어들이 많이 나오는데다가 외워야 할 것도 적지 않습니다. 처음 공부할 땐 이런 복잡한 것을 실제 말할 때 쓸 수 있을지 의문이 들 정도입니다. 더구나 우리말에는 관계서절이란 게 아예 없습니다. 이해하는 데 더욱 애를 먹을 수밖에 없습니다. 관계사절을 대충 공부하고 넘어갈 수 없는 것은 아주 많이 쓰이기 때문입니다. 좀 긴 문장이다 싶으면 관계사절이 쓰입니다. 이 때문에 문장이 길어진다고 해도 될 정도입니다. 물론 관계사절을 몰라도 간단한 일상적 대화는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책을 읽거나 신문을 읽거나 하는 일은 거의 불가능합니다. 어렵다고 대충 넘어가서는 애써 영어를 공부하는 보람도 없..
-
[18.01] 선행사에 대해 이야기하는 두 가지 방법풀어 쓴 기초영문법/32. 관계사절, 관계사가 이끄는 절 2018. 2. 23. 12:10
관계사절이 선행사에 대해 이야기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먼저 우리말을 가지고 생각해 봅시다. “그는 두 아들이 있다.”란 문장이 있다고 해 봅시다. 이때 ‘두 아들’에 대해 뭔가 더 이야기하고 싶으면 다음 두 가지 방법으로 말할 수 있습니다. 그는 의사인 두 아들이 있다. 그는 두 아들이 있는데, 그들은 의사이다. 모두 두 아들에 대한 설명이지만 차이가 있습니다. 위의 것은 ‘두 아들’이란 말 앞에 꾸며주는 말을 붙인 거고, 아래 것은 ‘두 아들을’ 설명하는 문장이 뒤따라 나옵니다. 그런데 영어의 관계사절도 이와 비슷하게 그 쓰임을 나누어 구별할 수 있습니다. He has two sons who are doctors. 그는 의사인 두 아들이 있다. He has two sons, who are ..
-
[18.02] 관계대명사는 <대명사+접속사>의 역할을 한다풀어 쓴 기초영문법/32. 관계사절, 관계사가 이끄는 절 2018. 2. 23. 12:07
관계대명사는 관계사절 속에서 대명사 역할을 합니다. 대명사는 앞에 나오는 명사를 대신하는 말입니다.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의 역할을 하거나,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입니다. 관계대명사도 그런 역할을 합니다. 보통의 대명사와 다른 점이 있다면, 자기가 속한 절의 앞쪽에 나온다는 것입니다. 관계대명사는 또 접속사의 역할도 합니다. 보통 문장은 앞의 명사, 즉 선행사 뒤에 바로 붙여 쓸 수가 없습니다. 하지만 관계대명사가 있는 문장은 앞의 명사 뒤에 바로 붙여 쓸 수 있습니다. 그렇게 되면 관계사절이 문장 속의 문장으로 들어갈 수 있게 됩니다. 문장 속에 문장을 넣을 때 사용하는 단어를 접속사라고 하는데, 관계대명사도 그런 역할을 하는 셈입니다. 관계대명사에는 모두 네 가지가 있습니다. 모두 이미 본 적이..
-
[18.03] 관계대명사의 '격'풀어 쓴 기초영문법/32. 관계사절, 관계사가 이끄는 절 2018. 2. 23. 12:04
관계대명사도 주격, 소유격, 목적격 같은 격을 가진다는 점에서 다른 대명사와 마찬가지입니다. 관계사절에서의 역할에 따라 격이 정해집니다. 관계대명사가 주격으로 쓰인 경우입니다. I have a book which1) is very interesting. 나는 아주 재미있는 책을 한 권 가지고 있다. 이 문장은 다음 두 개의 문장을 관계대명사 which를 써서 연결한 것입니다. I have a book. / It is very interesting. 나는 너에게 편지를 주었다. / 그건 아주 재미있다. 두 문장의 a book과 it은 같은 걸 가리키지만 역할은 다릅니다. 첫 문장의 a book은 목적어고, 둘째 문장에서는 it은 주어입니다. 그런데 이 it이 which로 변한 것입니다. 그러니 which는..
-
[18.04] 관계대명사 that을 쓸 때풀어 쓴 기초영문법/32. 관계사절, 관계사가 이끄는 절 2018. 2. 23. 11:57
꼭 관계대명사 that을 써야 할 때가 있습니다. 주로 선행사가 뭔가 특별한 것, 정해진 것을 가리킬 때입니다. 뭔가 정해진 걸 가리키는 지시대명사 that을 생각해 보면, 관계대명사 that의 가진 이런 성질을 기억하기 쉽습니다. (1) 선행사가 일 때 사람과 사람이 아닌 것 모두에 쓸 수 있는 관계대명사는 that밖에 없습니다. 어쩔 수 없이 that을 쓰는 것입니다. This is a story about a boy and his dog that lived together. 이것은 함께 살았던 소년과 그 소년의 개에 관한 이야기다. (2) 선행사에 이 쓰였을 때 최상급 앞에는 원래 the가 붙습니다. 최고의 것은 동시에 유일한 것이고, 유일한 것은 하나로 정해진 것이라서, 무언가 정해진 것에 많이 ..
-
[18.05] 관계대명사 that을 쓸 때 조심할 것들풀어 쓴 기초영문법/32. 관계사절, 관계사가 이끄는 절 2018. 2. 23. 11:51
사람과 사람이 아닌 것에 모두 쓸 수 있다는 점에서 that은 만능 관계대명사처럼 보입니다. who를 쓸지 which를 쓸지 고민할 필요 없이 무조건 that만 쓰면 될 거라 생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that에도 한계가 있습니다. 쓸 수 없을 때가 있기 때문입니다. 그땐 who나 which를 써야 합니다. (1) 소유격으로 쓸 수 없다 who나 which에는 소유격이 있지만 that에는 없습니다. 소유격을 쓰려면 who나 which의 소유격으로 쓰이는 whose나 of which를 빌려야 합니다. (2) 계속적 용법으로 쓸 수 없다 that은 계속적 용법으로 쓰지 않습니다. 관계대명사 중 계속적 용법으로 쓸 수 있는 것은 who와 which뿐이기 때문입니다. 즉, 관계대명사 that 앞에는 쉼표가 찍힐..
-
[18.06] 관계대명사 what에는 선행사가 포함되어 있다풀어 쓴 기초영문법/32. 관계사절, 관계사가 이끄는 절 2018. 2. 23. 11:51
관계대명사는 앞에 있는 선행사를 받는다고 했습니다. 관계대명사 앞에 선행사가 있어야 한다는 뜻입니다. 하지만 관계대명사 what은 앞에 선행사 없이도 쓰일 수 있습니다. 자체 내에 이미 선행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He bought the thing which he wanted.1) 그는 자기가 원한 것을 샀다. 선행사 the thing을 관계대명사 which가 받고 있습니다. which는 동사 wanted의 목적어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여기서 the thing과 which를 한 단어로 줄일 수 있습니다. He bought what he wanted. 그는 자기가 원한 것을 샀다. 문장이 훨씬 간결해졌습니다. 관계대명사 what 안에 이미 선행사 the thing이 압축되어 들어간 것입니다. Do the..
-
[18.07] [좀 더 넓게] 복합관계대명사풀어 쓴 기초영문법/32. 관계사절, 관계사가 이끄는 절 2018. 2. 23. 11:48
관계대명사 who, which, what에 -ever를 붙이면 새로운 관계대명사가 만들어집니다. whoever (whomever, whosever)1), whichever whatever 두 단어가 합쳐진 것이라서 복합관계대명사라고 합니다. 명사의 역할을 하는 명사절, 부사의 역할을 하는 부사절을 이끌 수 있습니다. ① 명사절을 이끌 때 복합관계대명사로 시작하는 관계사절이 주어나 목적어 등으로 쓰일 때입니다. 각각 다음과 같은 뜻을 갖게 됩니다. ‘누구든’, ‘어느 것이든’, ‘무엇이든’으로 알아두면 간단합니다. whoever = anyone who ~하는 사람은 누구든지 whichever = anything that ~하는 것은 어느 것이든 whatever = anything that ~하는 것은 무엇..
-
[18.08] [좀 더 넓게] 복합관계형용사도 있다풀어 쓴 기초영문법/32. 관계사절, 관계사가 이끄는 절 2018. 2. 23. 11:45
관계형용사 which와 what에 -ever가 붙은 걸 복합관계형용사라고 합니다.1) ‘형용사’이기 때문에 뒤에 명사와 함께 쓰이게 되는데 다음과 같은 뜻입니다. whichever = any of the ... that 어느 ...든 whatever = any ... that 어떤 ...든2) 복합관계형용사는 ‘형용사’이면서 ‘관계사’입니다. 뒤따르는 명사를 꾸밈과 동시에 관계절을 이끌게 됩니다. ① 명사절을 이끌 때 복합관계형용사가 들어간 절이 문장의 주어나 목적어로 쓰이기 때문에 명사절이라고 합니다. You may take whichever picture you like. 네가 좋아하는 아무 그림이나 가져도 된다. Whatever orders he gives are not obeyed.3) 그가 내리..
-
[18.09] 관계대명사로 쓰이는 as, but, than풀어 쓴 기초영문법/33. 관계사절, 관계사가 이끄는 절 2018. 2. 12. 13:15
원래 이 셋은 접속사였지만, 관계대명사로 쓰이게 되었습니다. 앞에 나온 선행사를 받아서 관계사절을 이끌 수 있습니다. 문법에서는 유사관계대명사 또는 의사관계대명사라고 합니다. 유사와 의사1)는 모두 ‘닮은’ 또는 ‘비슷한’이란 뜻입니다. 진짜 관계대명사는 아니지만 관계대명사의 자리에서 관계대명사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입니다. (1) as 선행사에 the same, such, as와 같은 말이 나올 때 사용합니다. 이들은 원래 as와 짝을 이루길 좋아합니다. This is the same bag as I lost. 이것은 내가 잃어버린 것과 같은 가방이다. Read such books as will benefit you. 너에게 도움을 줄 책을 읽어라. As many people as came ..
-
[18.10] 관계형용사는 <관계사+형용사>의 역할이다풀어 쓴 기초영문법/33. 관계사절, 관계사가 이끄는 절 2018. 2. 12. 12:57
관계대명사가 형용사처럼 쓰일 때가 있습니다. 관계형용사라고 합니다. which, what1) 관계형용사는 관계절 속에서 형용사의 역할을 합니다. 뒤에 있는 명사를 꾸밈과 동시에 관계절을 이끕니다. I said nothing, which fact made him angry. 나는 아무 말도 안했는데, 그 사실이 그를 화나게 했다. which의 선행사는 바로 앞의 문장입니다. 내가 말을 안 했다는 사실입니다. 그런데 which 뒤에 명사 fact가 나왔습니다. which가 이걸 꾸미고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그냥 fact가 아니라 which fact, 즉 ‘그가 말을 안했다는 사실’이 된 것입니다. 관계형용사는 뒤에 나온 명사와 짝을 이루어 관계절의 주어 또는 목적어가 될 수도 있습니다. 위의 문장이 가 주..